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스미싱] [Web발신][CJ대한통운]김동아 주소가 틀렸습니다.문자로 확인하십시오.

      2018.09.14 by 알약(Alyac)

    •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되고 있는 혹스(Hoax) 메일 주의!

      2018.09.14 by 알약(Alyac)

    • 패치 되지 않은 사파리 브라우저, 공격자들이 URL 스푸핑 가능해

      2018.09.13 by 알약(Alyac)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보안 솔루션' 페이지 오픈!

      2018.09.13 by 알약(Alyac)

    • USB 암호화 설정, BitLocker로 간단하게!

      2018.09.12 by 알약(Alyac)

    • 세무사 사무실 사칭 악성 메일 주의

      2018.09.12 by 알약(Alyac)

    • Mirai, Gafgyt IoT 봇넷, 기업 부문 노려

      2018.09.12 by 알약(Alyac)

    • 새로운 Hakai 봇넷, D-Link, huawei 및 realtek 라우터를 타겟으로 해

      2018.09.11 by 알약(Alyac)

    [스미싱] [Web발신][CJ대한통운]김동아 주소가 틀렸습니다.문자로 확인하십시오.

    [9월 셋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CJ대한통운] 9월8일 물품 배송 취소 주소 불명 수정하세요. 2 [Web발신][CJ대한통운]김동아 주소가 틀렸습니다.문자로 확인하십시오.3 [Web발신][CJ대한통운]강기태9월10일택배송달할수없으니주소를변경요망 출처 : 알약M기간 : 2018년 9월 10일 ~ 9월 14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8. 9. 14. 13:22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되고 있는 혹스(Hoax)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입니다. 금일(14일) 오전 6시 정도부터 불특정다수의 사용자에게 협박성 이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유포된 이메일은 '혹스(Hoax)'의 형태로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을 통하여 거짓 정보나 그럴듯한 괴담 등을 보내 사용자들을 속이는 방식입니다. 이번에 유포된 혹스 이메일은 자신이 포르노 사이트에 악성코드를 업로드 하였으며, 해당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이메일 수신자)가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해킹된 사용자의 컴퓨터 웹캠을 통하여 은밀한 영상이 촬영되었고 50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결제하지 않으면 해당 영상을 지인들에게 유포할 것이라는 협박성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다음은 혹스 이메일의 전문입..

    국내외 보안동향 2018. 9. 14. 10:43

    패치 되지 않은 사파리 브라우저, 공격자들이 URL 스푸핑 가능해

    Beware! Unpatched Safari Browser Hack Lets Attackers Spoof URLs 한 보안 연구원이 공격자들이 윈도우용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웹 브라우저와 iOS용 사파리에서 웹사이트 주소를 스푸핑하도록 허용하는 심각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주소창 URL 스푸핑 취약점을 수정했지만, 사파리는 여전히 패치 되지 않아 애플 사용자들이 피싱 공격에 취약하게 됐습니다. 오늘날의 피싱 공격은 매우 정교하며 점점 더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 발견 된 이 취약점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진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 지표인 URL과 SSL을 우회할 수 있어 많은 피해가 우려됩니다. 보안 연구원인 Rafay Baloch가 발견한 이 취약점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9. 13. 16:55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보안 솔루션' 페이지 오픈!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내에 '보안 솔루션' 페이지가 신규 오픈되었습니다! 보안 솔루션 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estsecurity.com/solution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https://www.estsecurity.com/ 기업 및 기관이 IT보안에 대해 보편적으로 어떤 요소들을 고민하시는지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해, 그 고민을 해결하는 데 꼭 필요한 보안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제안하고 추천해드리기 위하여 '보안 솔루션' 페이지를 새롭게 기획하였습니다. 5가지 중요한 보안 이슈들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업 또는 기관의 소중한 자산을 어떻게 보호할 지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중요한 기업 보안 이슈로 꼽으실 ▲ 엔드포인트 보안 ▲ 기업 자산 보호 ▲ A..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8. 9. 13. 14:13

    USB 암호화 설정, BitLocker로 간단하게!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평소 잃어버리면 난처한 상황에 처하는 개인 소지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신가요? 핸드폰 혹은 지갑을 주로 떠올리시겠지만, 최근 점점 큰 용량을 지니면서도 크기가 작아지는 USB 또한 분실 시 상당히 난처해짐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수도 있는데요.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Windows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암호화 기능 'BitLocker'로 USB를 간단히 암호화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해당 기능은 Windows Vista/7의 Ultimate/Enterprise, Windows 8.1/10의 Pro/Enterprise 버전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USB 외에도 외장하드(HDD), Window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도 암호화할 수 있..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8. 9. 12. 20:58

    세무사 사무실 사칭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세무사 사무실을 사칭한 악성 메일로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세무사 사무실 입니다’는 내용으로 첨부된 파일의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악성 메일 본문 악성 메일에 첨부된 파일 ‘432540098765.zip’에는 화면 보호기 파일(Document1.scr)로 위장한 실행 파일이 있습니다. [그림 2] 첨부파일 ‘432540098765.zip’ 만일 이용자가 파일을 실행할 경우, 명령어에 의해 %temp%svhost.exe파일이 생성되고 실행됩니다. 인젝션 되어 실행되는 ‘svhost.exe’는 C&C에 연결하고, 정보 탈취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림 3]..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9. 12. 16:46

    Mirai, Gafgyt IoT 봇넷, 기업 부문 노려

    Mirai, Gafgyt IoT Botnets Reach To the Enterprise Sector 가장 잘 알려진 IoT 봇넷인 Mirai와 Gafgyt의 새로운 변종이 분산형 공격을 위한 DoS 리소스를 추가/보충하기 위해 기업 부문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쪽 악성코드들 모두 몇 년 전 공개 되어 사이버 범죄자들이 그들만의 버전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이 최신 변종은 비즈니스용 기기를 노리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Palo Alto Networks Unit 42에서 공개한 보고서에서는 새로운 Mirai와 Gafgyt가 오래 된 취약점을 악용하는 코드를 추가했다고 밝혔습니다. Mirai는 패치 되지 않은 Apache Struts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노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버전은 지난해..

    국내외 보안동향 2018. 9. 12. 15:21

    새로운 Hakai 봇넷, D-Link, huawei 및 realtek 라우터를 타겟으로 해

    올해 6월 새로운 봇넷인 Hikai가 발견되었습니다. Hakai는 Qbot(Gafgyt、Bashlite、Lizkebab、Torlus혹은 LizardStresser라고도 부름)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2009년에 이미 웜의 형태로 발견되었고 그 소스가 공개된 악성코드입니다. Hakai 봇넷의 첫번째 버전은 복잡하지 않고 별다른 활동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 개발자는 초기에 보안연구원인 Anubhav의 인기를 이용하여 hakai를 홍보하여 사용자들의 주목을 끌려고 했습니다. Anubhav가 말하길 "악성코드 개발자는 심지어 내 사진을 Hakai C&C 서버인 hakaiboatnet[.]pw 메인페이지로 해놓기도 했다"고 밝혔습니다. .pw는 파키스탄 국가의 최상위 도메인으로, .com, .net 등과 동일한..

    국내외 보안동향 2018. 9. 11. 18:1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39 440 441 442 443 444 445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