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Oracle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점(CVE-2018-2628)

      2018.04.18 by 알약(Alyac)

    • 해커들, 공개 된 Drupal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악용하기 시작해

      2018.04.18 by 알약(Alyac)

    • '알약' 5년 연속 ICSA 인증 획득해 ‘EIST 어워드’ 수상 영예

      2018.04.17 by 알약(Alyac)

    • 방위성 OB들에게 스피어 피싱 메일 대량발송으로 정보유출 우려, 중국 해커들의 소행인가?

      2018.04.17 by 알약(Alyac)

    •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바꿔치기하는 악성코드 주의

      2018.04.17 by 알약(Alyac)

    • 사이버 범죄자들, 안드로이드 뱅킹 악성코드를 배포하기 위해 라우터 DNS 하이잭 해

      2018.04.17 by 알약(Alyac)

    • Sucuri, 대규모 DDoS 공격 받아

      2018.04.16 by 알약(Alyac)

    • 해커들, 탐지를 피하기 위해 새로운 코드 인젝션 기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2018.04.16 by 알약(Alyac)

    Oracle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점(CVE-2018-2628)

    4월 18일, Oracle이 CPU(Critical Patch Update)를 진행하였는데, 이 중에는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원격코드실행, 시스템 권한상승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WebLogic이란 ? WebLogic이란 Oracle회사에서 개발한 Web Application Server로, JAVAE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미들웨어입니다. 공격원리 공격자는 Weblogic 서버에서 오픈해 놓은 T3 서비스와 Socket 연결을 맺고, 공격자가 조작한 패킷을 서버 측에 보내어 역 직렬화로 명령을 실행합니다. CVE번호 CVE-2018-2628 영향받는 버전 Weblogic 10.3.6.0We..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8. 15:54

    해커들, 공개 된 Drupal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악용하기 시작해

    Hackers Have Started Exploiting Drupal RCE Exploit Released Yesterday 최근 Drupal의 취약점의 익스플로잇 코드가 공개되었으며, 해커들이 이를 악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약 2주 전 Drupal의 보안 팀은 매우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Drupalgeddon2로 명명 된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취약한 웹사이트를 완전히 탈취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사는 기술적 세부사항을 공개하지 않은 채 즉시 Drupal의 업데이트 버전을 공개해 백만 개 이상의 사이트들이 패치를 적용할 충분한 시간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틀 후, 연구원들은 이 취약점 (CVE-2018- 7600)에 대한 완벽한 기..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8. 11:14

    '알약' 5년 연속 ICSA 인증 획득해 ‘EIST 어워드’ 수상 영예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통합 백신 알약이 5년 연속 ICSA 인증을 획득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 중인 세계 최대 보안 콘퍼런스 RSA 2018 현장에서 ‘2018 EIST(Excellence in Security Testing) 어워드’를 수상했다는 소식 전해 드립니다. (좌 : 이스트시큐리티 대표 수상자 / 우 : ICSA Lab 잭 월쉬 시큐리티 프로그램 매니저) ICSA 인증은 미국 버라이즌(Verizon) 산하의 보안 테스트 기관인 ‘ICSA Lab’에서 IT 보안제품의 정보보안 품질 수준을 검증해 부여하는 인증으로, 체크마크(CheckMark), VB100과 함께 공신력 있는 세계 3대 보안 인증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의 통합 백신 ‘알약’은 안티바이러스 분야에서..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8. 4. 17. 16:33

    방위성 OB들에게 스피어 피싱 메일 대량발송으로 정보유출 우려, 중국 해커들의 소행인가?

    防衛省OBらに標的型ウイルスメール、中国ハッカー集団関与か 情報流出の恐れ 작년 11월 하순부터 올해 3월 중순에 걸쳐서 방위성 OB와 해양 정책에 관련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내각부와 방위성의 직원을 가장한 악성 메일이 계속해서 수신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렇게 수신된 악성 메일들은 수백 통에 이르며, 이 스피어 피싱 배후에는 중국의 해커 그룹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스피어피싱 메일에 첨부된 악성코드는 사용자 PC 내 정보를 불법으로 유출 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악성메일 수신자들의 일부가 첨부 파일을 열어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밀 정보가 유출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음은 유포되고 있는 스피어피싱 이메일 중 하나 입니다. 일본의 보안 기업인 '라크'의 조사 결과, 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7. 14:48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바꿔치기하는 악성코드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국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악성 메일을 통해 클립보드에 복사된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공격자의 지갑 주소로 바꿔치기하는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서류를 확인하다' 제목으로 첨부 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악성 메일 화면 첨부파일 'Mou & Invoice Files.zip'에는 IBRD(국제부흥개발은행)의 구제금융 관련 내용이 담긴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ure and Development(IBRD).pdf'과 'BTC file.exe' 악성코드가 있습니다. [그림 2] 악성 메일에 첨부된 파일 만일 이용자가 호기심이나 메일 제목에 현혹되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4. 17. 13:55

    사이버 범죄자들, 안드로이드 뱅킹 악성코드를 배포하기 위해 라우터 DNS 하이잭 해

    Cybercriminals Hijack Router DNS to Distribute Android Banking Trojan 보안 연구원들이 현재 진행중인 악성코드 캠페인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사용자의 중요한 정보, 로그인 계정, 이중 인증을 위한 비밀 코드를 훔치는 안드로이드 뱅킹 악성코드를 배포하기 위해 인터넷 라우터를 하이잭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용자들이 Roaming Mantis라 명명 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설치하도록 속이기 위해, 해커들은 취약하거나 보안이 허술한 라우터의 DNS 세팅을 하이잭 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해커들은 DNS 하이재킹 공격을 통해 트래픽에 인터셉트하고, 웹 페이지에 악성 광고를 삽입하고 사용자들을 로그인 계정, 은행 계좌 정보 등과 같은 중요한..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7. 11:50

    Sucuri, 대규모 DDoS 공격 받아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있는 웹사이트 보안업체인 Sucuri가 대규모의 DDoS 공격을 받았습니다. 이번 공격으로 인해 서유럽, 남아프리카 및 일부 미국 동부지역에 서비스 중단이 발생하였습니다. 공격자는 4월 12일 오후 11시(PST) 경부터 DDOS 공격을 시작하였으며, Sucuri는 Tier1과 함께 협력하여 공격을 완화 시켰습니다. Sucuri 대변인은 "이번 공격은 우리들의 일부 포트의 용량과 거의 비슷하여 대기 시간과 패킷 손실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대기 시간과 패킷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고객들이 업데이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 페이지를 운영했다. 또한 업스트림 제공자,NOC 및 파트너들과 함께 공격을 완화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영향받는..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6. 17:55

    해커들, 탐지를 피하기 위해 새로운 코드 인젝션 기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Hackers Found Using A New Code Injection Technique to Evade Detection 연구원들이 Early Bird라는 새로운 코드 인젝션 기술을 발견했습니다. 이 기술은 정교한 악성코드 최소 3개에서 사용 되어 공격자들이 탐지를 피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Early Bird는 메인 스레드가 시작하기 전 공격자들이 악성 코드를 정식 프로세스에 인젝션해 대부분의 안티 바이러스 제품들이 사용하는 윈도우 훅 엔진의 탐지를 피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기술입니다. 연구원들은 Early Bird 코드 인젝션 기술이 “악성 코드를 쓰레드 초기화의 매우 이른 단계에서 로드하여, 많은 보안 제품들이 훅을 배치하기도 전에 로드 되어 악성코드가 탐지 되지 않고 악성 행동을 할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6. 14: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70 471 472 473 474 475 476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