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7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5)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5)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7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5)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5)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저작권 위반 그림 사용 확인 메일'로 위장한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 주의

      2018.01.18 by 알약(Alyac)

    • 뱅킹 악성코드 엑소봇 제작자, 판매 중단 발표

      2018.01.18 by 알약(Alyac)

    • 강력한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스카이고프리 발견

      2018.01.18 by 알약(Alyac)

    • Intel, Meltdown과 Spectre 취약점을 패치할 수 있는 Linux Micro Code 공개

      2018.01.17 by 알약(Alyac)

    • Kotlin 언어로 개발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최초 발견

      2018.01.17 by 알약(Alyac)

    • Mirai OKIRU - 최초로 ARC CPU의 Linux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 발견!

      2018.01.17 by 알약(Alyac)

    • 리눅스/윈도우 서버에서 루비마이너 악성코드 발견

      2018.01.16 by 알약(Alyac)

    • ★알약 10주년 이벤트 9탄★ 랜섬웨어 예방 수칙 공유 이벤트 (~1/22)

      2018.01.16 by 알약(Alyac)

    '저작권 위반 그림 사용 확인 메일'로 위장한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작년부터 Venus Locker 랜섬웨어를 유포한 공격자가 최근에는 ‘저작권법 위반되는 그림을 이용 중이십니다.(제작자 무동의)’ 라는 제목으로 이메일을 유포하고 있습니다. 이 공격자들은 기존에도 ‘교육 일정표’ 확인, 쇼핑몰에서 유출된 ‘고객 개인 정보 리스트’, ‘해외 배송 관련 안내’, ‘eFINE 교통범칙금 인터넷 납부’ 등 사용자들이 현혹할 만한 제목으로 위장하였고, 이번에는 ‘저작권법 위반’으로 모네로(Monero) 가상 화폐 채굴 기능을 포함하여 유포 중입니다. ▶ 가상화폐 모네로(XMR) 채굴기능의 한국 맞춤형 표적공격 증가 ▶ 국가 기관 및 기업 대상으로 랜섬웨어 다량 유포돼… 관계자 주의 필요 ▶ 확장자 숨겨 악성파일 열어보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 18. 16:06

    뱅킹 악성코드 엑소봇 제작자, 판매 중단 발표

    유명 해킹 커뮤니티에서 고도로 진화된 안드로이드 뱅킹 트로이목마의 소스코드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엑소봇(Exobot)이라 불리는 이 악성코드는 2016년 6월 처음 등장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입니다. 이 악성코드 역시 최신 뱅킹 악성코드처럼 달 단위로 임대가 가능합니다. 구매자들은 이 악성코드 소스코드에 대한 접근권한을 갖고있지는 않지만, 엑소봇의 구성 패널을 이용하여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그 후 각자의 공격방법을 이용하여 악성앱을 유포합니다. 엑소봇은 지난 2년간 뱅크봇, GM봇, 마자르(Mazar), 레드얼럿(Red Alert) 등과 더불어 공격을 가장 활발히 수행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입니다. 처음에는 일부 보안 기업에서 해당 악성코드를 마처(Marcher)라고 불렀으나, 결국에는 많은 사람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8. 15:42

    강력한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스카이고프리 발견

    얼마 전, 고도로 진화된 강력한 안드로이드 스파이툴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가 해당 툴을 이용하면, 취약한 기기를 원격으로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스카이고프리(Skygofree)라는 이름을 가진 이 스파이웨어는 표적 감시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지난 4년 간 수많은 사용자를 공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카스퍼스키랩에 따르면, 2014년부터 스카이고프리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하여 공격을 진화시켰습니다. 이 ‘획기적인 새로운 기능’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음성 녹음, 안드로이드 접근 서비스를 이용한 왓츠앱 메시지 탈취, 공격자가 제어하는 악성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연결 등이 있습니다. 카스퍼스키 텔레메트리 데이터에 따르면, 공격자들은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로 위장하여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8. 09:00

    Intel, Meltdown과 Spectre 취약점을 패치할 수 있는 Linux Micro Code 공개

    최근 intel은 Intel CPU의 Spectre와 Meltdown 취약점을 패치할 수 있는 최신 Linux Micro code 데이터 파일을 공개하였습니다. 사용자들은 이 마이크로코드를 이용하여 OS상의 취약점을 패치할 수 있으며, BIOS 업데이트를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번에 Intel에서 공개한 마이크로코드 데이터파일에는 40여종이 넘는 리눅스 버전들의 패치코드가 공개되었으며, 다양한 모델의 Intel CPU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패치가 제공되는 CPU정보는 여기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사용자도 역시 마이크로코드를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Windows의 마이크로코드 패치는 MS의 호환성 테스트 이후에 정식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Linux 사용자들은 Linux 배포판에 포함되어..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7. 17:32

    Kotlin 언어로 개발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최초 발견

    최근 구글플레이에서 Swift Cleaner이라는 앱을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Kotlin언어로 제작된 최초의 안드로이드 악성앱입니다. 이 악성앱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감염시킨 후 끊임없이 광고를 띄울 뿐만 아니라, 원격명령을 실행하고 정보탈취 등 각종 악성행위를 합니다. 여기에서 주의해야할 점은, 이 악성앱이 SMS서버 중 CAPTCHA를 우회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은 모두 Java로 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Kotlin은 안드로이드의 두번째 개발 공식언어가 된 만큼,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Kotlin언어로 제작된 것이 그렇게 신기한 것은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몇년 후에는 안드로이드 앱들이 Kotlin으로 개발될 것..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7. 16:39

    Mirai OKIRU - 최초로 ARC CPU의 Linux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 발견!

    2016년 8월, IoT 디바이스를 타겟으로 공격을 진행하는 Mirai 악성코드가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 1월, 처음으로 ARC CPU를 공격타겟으로 하는 Linux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Linux ELF 악성코드는 MIRAI OKIRU로 명명되었습니다. Linux IoT에 대한 위협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이제는 ARC CPU를 기반으로 하는 IoT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매년 약 10억대의 ARC CPU의 IoT 기기들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해커의 타겟이 된다는건 매우 위험한 것입니다. 만약 이 IoT 기기들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거대한 봇넷을 형성한다면, 해커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 봇넷을 사용할 수 있게되기 때문입니다. Mirai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7. 09:00

    리눅스/윈도우 서버에서 루비마이너 악성코드 발견

    지난주 화요일 루비마이너(RubyMiner)라는 이름의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구 버전의 웹 서버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채굴합니다. 보안 연구원에 따르면, 루미마이너 해킹 그룹은 pof라 불리는 웹서버의 핑거프린팅 툴을 이용해 구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리눅스 및 윈도우 서버를 찾아 공격합니다. 패치되지 않은 서버가 발견되면, 공격자들은 잘 알려진 취약점을 이용해 루비마이너 악성코드를 서버에 감염시킵니다. 최근 공격에서 발견된 취약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통해 루비마이너 공격자들이 윈도우와 리눅스 시스템을 공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안업체는 공격자들의 허니팟 서버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리눅스 시스템의 루비마이너 감염 경로를 파악했습니다. 또한 루비마이너..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16. 16:31

    ★알약 10주년 이벤트 9탄★ 랜섬웨어 예방 수칙 공유 이벤트 (~1/22)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주요 보안위협으로 꼽히는 랜섬웨어는 다양한 감염 방식으로 유포되며, 신·변종 역시 끊임없이 나타나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열 살 알약 이벤트 9탄에서는 꼭 알아둬야할 랜섬웨어 예방 수칙을 확인하고 친구에게 공유하는 '랜섬웨어 예방 수칙 공유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더 안전한 PC 생활과 열 살 알약이 준비한 선물까지 가져보세요! 참여 방법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벤트 포스팅을 확인하고, 랜섬웨어 예방 수칙을 친구에게 알려주세요.▶ 확인하기(클릭) * 자세한 응모 방법은 위 링크로 연결되는 포스팅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응모 기간 및 당첨자 발표일2018년 1월 16일(화) ~ 2018년 1월 22일(월) 23시 59분..

    이벤트 2018. 1. 16. 09:4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91 492 493 494 495 496 497 ··· 67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