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7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5)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5)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7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5)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5)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2017년 되돌아 봐야 할 보안이슈 Top5 : RISEN

      2017.11.24 by 알약(Alyac)

    • [스미싱] 로젠택배모바일앱

      2017.11.24 by 알약(Alyac)

    • Trojan.Ransom.MyRansom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7.11.24 by 알약(Alyac)

    • 지능화된 타깃 공격, 고도화된 대응 방안으로 맞서야

      2017.11.23 by 알약(Alyac)

    • 인텔 프로세서의 심각한 결점, 수백만 대의 PC를 공격에 노출 시켜

      2017.11.23 by 알약(Alyac)

    • 구글, 위치 서비스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도 안드로이드 위치 데이터 수집해

      2017.11.22 by 알약(Alyac)

    • BankBot 플레이스토어에 돌아와

      2017.11.22 by 알약(Alyac)

    • 뱅킹 악성코드, 페이스북, 트위터 심지어 지메일 계정도 탈취할 수 있어

      2017.11.20 by 알약(Alyac)

    2017년 되돌아 봐야 할 보안이슈 Top5 : RISEN

    2017년은 각종 사이버 보안 위협과 신,변종 랜섬웨어, 악성코드의 공격이 증가(Risen)한 해였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는 올해 되돌아 봐야 할 보안이슈 Top 5로 RISEN을 선정하였습니다. 1) 끊임없이 진화하는 랜섬웨어 : Ransomwares prevailing 랜섬웨어가 해커들에게 많은 돈을 벌어다 주는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잡은 지 벌써 몇 년이 흘렀지만, 2017년에도 랜섬웨어의 위협은 여전히 사이버 범죄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랜섬웨어의 공격대상이 불특정 다수였다면, 그 대상이 점차 특정 기업/기관으로 변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 이유는 개인에 비해 기업/기관이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중요 파일이 암호화 되면 그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랜섬 비용..

    전문가 기고 2017. 11. 24. 10:15

    [스미싱] 로젠택배모바일앱

    [11월 넷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 불법주정차(1711-이-2504) 적발되어 안내드립니다. 이미지 > 민원내역 >2 로젠택배모바일앱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 예식일시:2017.11.25 장소 2 ^^ 너 신^문^에 ^났어 ^빨^리 봐^봐!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7년 11월 18일 ~ 11월 24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7. 11. 24. 09:16

    Trojan.Ransom.MyRansom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한국을 집중 공격하는 신종 랜섬웨어 ‘Trojan.Ransom.MyRansom’(이하 마이랜섬 랜섬웨어)가 등장하였습니다. 케르베르(Cerber) 랜섬웨어의 변형으로 매그니튜드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광고 사이트에 악성코드를 심어 유포하는 멀버타이징 방식을 사용합니다. 두 단어를 합쳐 매그니베르(Magniber) 라고도 불립니다. 한국어 윈도우 운영체제 환경에서만 파일 암호화를 진행하는 특징이 있으며 암호화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hwp’ 문서를 비롯해 800개 이상입니다. 본 분석 보고서에서는 MyRansom 랜섬웨어를 상세 분석 하고자 합니다. 악성코드 상세 분석 40a5312f203f48759cbc1c08f91c499a 분석 1) 시스템 언어 확인시스템 언어 환경이 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11. 24. 09:00

    지능화된 타깃 공격, 고도화된 대응 방안으로 맞서야

    사이버 공격자들이 점점 더 지능화된 공격을 행하고 있습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공격을 퍼붓고, 금전적인 수익을 취하기 위해 특정 기업에게 매우 정교하고 계산된 공격을 시도합니다. 빅데이터 의 발달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과 함께 감시해야 할 대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기까지 했습니다. 해외 보안 업체 파이어아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지능형 사이버 공격 노출율이 2015년 기준 38%에 달합니다. 이는 전 세계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며, 미국 평균의 세 배에 육박합니다. 급증하는 공격 방식의 발전과 규모에 비해, 국내 기업 및 기관의 대응 체계 고도화는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직은 보안 인력을 확충하거나, 인적 대응 리소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

    전문가 기고 2017. 11. 23. 17:30

    인텔 프로세서의 심각한 결점, 수백만 대의 PC를 공격에 노출 시켜

    Critical Flaws in Intel Processors Leave Millions of PCs Vulnerable 지난 몇 개월 동안, 여러 연구 그룹들이 인텔의 원격 관리 기능인 Management Engine(ME)에서 원격의공격자들이 타겟 컴퓨터를 제어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들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인텔이 이러한 보안 취약점들이 “영향을 받는 플랫폼들을 잠재적인 위험에 빠트릴 수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인텔은 월요일 보안 공지를 발행해 Management Engine (ME), 원격 서버 관리 툴인 Server PlatformServices (SPS), 하드웨어 인증 툴인 Trusted Execution Engine (TXE)에서 다수의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견 되어 수백만 대의..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1. 23. 16:00

    구글, 위치 서비스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도 안드로이드 위치 데이터 수집해

    Google Collects Android Location Data Even When Location Service Is Disabled Quartz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구글이 올해 초부터 위치 서비스가 완전히 비활성화 된 경우라 할지라도 모든 안드로이드 기기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치 정보 수집을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특정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위치 서비스 옵션을 켜지 않아도, 심지어 SIM카드가 끼워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기에 인터넷만 연결 되어 있으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이 가까운 기지국의 주소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는 가까운 기지국 3개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해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기술인 “기지국 삼각측량(Cell T..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1. 22. 15:46

    BankBot 플레이스토어에 돌아와

    BankBot Returns On Play Store – A Never Ending Android Malware Story 최근 보안 연구원들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사용자들을 노리는 새로운 악성코드 캠페인 2개를 발견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훔치기 위해 실제 뱅킹 어플리케이션을 모방하는 끈질긴 뱅킹 트로이 목마 패밀리인 BankBot의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고 있었습니다. BankBot은 Citibank, WellsFargo, Chase, DiBa 등을 포함한 전 세계 주요 은행들의 정식 뱅킹 앱들에 가짜 오버레이를 표시해 로그인 및 신용카드 정보를 훔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또한 SMS 메시지들에 인터셉트 하거나 전화를 걸고, 감염 된 기기를 추적하고 연락처 정보를 훔치는 등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1. 22. 10:16

    뱅킹 악성코드, 페이스북, 트위터 심지어 지메일 계정도 탈취할 수 있어

    Banking Trojan Gains Ability to Steal Facebook, Twitter and Gmail Accounts 보안 전문가들이 새롭고 정교한 형태의 멀웨어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악명높은 Zeus 뱅킹 트로이목마를 기반으로 하며, 은행 계좌 정보 뿐 아니라 다른 정보들도 탈취합니다. Terdot이라 명명 된 이 뱅킹 트로이목마는 2016년 중반부터 활동했으며, 저장 된 신용 카드 정보, 계정정보 등 브라우징 정보를 탈취하고 방문한 사이트에 HTML 코드 인젝션을 실행하기 위한 중간자 공격용 프록시로써 동작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이 뱅킹 트로이목마가 더욱 진화해 소셜 미디어 및 이메일 계정에 접근해 감염 된 피해자 대신 글을 올리는 등의 행동을 위해 SSL 인증서..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1. 20. 18:03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500 501 502 503 504 505 506 ··· 67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