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갈수록 커지는 사이버 공격의 파급력, 예방이 중요하다

      2017.06.27 by 알약(Alyac)

    • FFmpeg 로컬파일공개 취약점 발견!

      2017.06.27 by 알약(Alyac)

    •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10 내부 빌드 및 소스의 일부분 온라인에 유출 돼

      2017.06.26 by 알약(Alyac)

    • 성큼 다가온 랜섬웨어 위협 – ‘워너크라이’ ‘에레부스’ 랜섬웨어가 남긴 것

      2017.06.26 by 알약(Alyac)

    • Linux에서 Stack Clash 취약점 발견!

      2017.06.26 by 알약(Alyac)

    • 잔인한 캥거루(Brutal Kangaroo): CIA가 개발한 인터넷이 연결 되지 않은 네트워크를 은밀히 해킹하는 악성코드

      2017.06.23 by 알약(Alyac)

    • WannaCry, 호주의 신호, 속도 위반 카메라 55개 공격 해

      2017.06.23 by 알약(Alyac)

    • [스미싱][Web발신] 저희결혼식에와주셔서감사해요잘살께요^^ 웨딩포토보내드립니다^^

      2017.06.23 by 알약(Alyac)

    갈수록 커지는 사이버 공격의 파급력, 예방이 중요하다

    2017년 5월 12일, 전 세계적인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여 크게 이슈가 되었습니다. 스스로를 워너크라이(WannaCry)라는 랜섬웨어로 칭하는 사이버 공격은 최신 제로데이를 이용하여 빠른 확산에 성공했습니다. 해외 보안 업체 시만텍은 랜섬웨어의 경우, 작년 한 해에만 매일 4,000건 이상의 공격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사이버 공격은 더욱 스마트해지며 그 파급력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는 전통적인 방식인 파일 암호화기능을 수행하지만, SMBv1 취약점과 전자메일을 이용한 방법이 추가된 형태입니다. SMBv1 제로 데이 공격은 445포트가 열려있을 경우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직접 공격할 수 있으며, 전자메일 피싱으로 악성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로컬 망에서도 악..

    전문가 기고 2017. 6. 27. 13:17

    FFmpeg 로컬파일공개 취약점 발견!

    최근 FFmpeg의 HLS 재생목록 처리과정에서 로컬파일공개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FFmpeg는 오디오 및 비디오 포멧파일들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입니다. FFmpeg는 HLS 재생목록을 처리할 수 있으며, 알려진 재생목록은 외부 파일 호출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보안전문가는 avi파일 중의 GAB2자막모듈을 통해 FFmpeg의 이러한 특성 이용하면, XBIN codec을 통하여 비디오변환 웹사이트의 로컬파일들을 획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보안 전문가는 외부파일호출을 포함하는 HLS 재생목록을 이용하여 실제로 임의의 로컬파일을 읽어들이는 취약점을 재현해 내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Google, Yahoo, Youtube등 대형 동영상 사이트 및 스트..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7. 13:03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10 내부 빌드 및 소스의 일부분 온라인에 유출 돼

    Microsoft's Private Windows 10 Internal Builds and Partial Source Code Leaked Online 마이크로소프트의 일급 비밀인 윈도우 10 빌드를 담은 거대한 아카이브와 프라이빗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가 유출되어 온라인에 공개되었습니다. BetaArchive 웹사이트에 업로드 된 유출 파일들은 32TB이상으로,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엔지니어들이 테스트를 목적으로 만든, 아직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윈도우 10 및 윈도우 서버 2016 빌드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유출된 윈도우 10 내부 빌드에는, 해당 코드가 OS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함수들을 호출하는지 알려주는 비공개용 디버깅 기호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비공개용..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6. 16:30

    성큼 다가온 랜섬웨어 위협 – ‘워너크라이’ ‘에레부스’ 랜섬웨어가 남긴 것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지난 5월 우리나라는 약 한달새 연달아 등장한 랜섬웨어 이슈로 인해 보안 업계와 사용자 모두 긴장을 늦출 수 없었습니다. 불특정 다수를 노려 사용자들의 보안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던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사태와, 웹 호스팅 업체를 노린 APT 공격으로 추정되는 리눅스 기반의 '에레부스(Erebus)’ 랜섬웨어 사태 때문입니다. 이 두 사건에는 분명 주목해야 할 다른 점이 있으며,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먼저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불특정 다수를 노린 무작위 랜섬웨어 공격이었으며 네트워크를 타고 전파되는 웜의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전파되었습니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사태 발생 당시 주중 업무를 마치고 주말이..

    전문가 기고 2017. 6. 26. 15:59

    Linux에서 Stack Clash 취약점 발견!

    지난달, Unix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시스템에서 "Stack Clash"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는 UNIX 시스템에서 root권한을 획득하여 모든 권한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UNIX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시스템, 예를들어 Linux, OpenBSD, NetBSD, FreeBSD 및 Solaris등에 존재합니다. 보안연구원들은 i386과 amd64플랫폼에서만 Stack Clash 취약점의 영향을 테스트 해 보았지만,다른 플랫폼도 역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였습니다. 해당 문제점은 2005년, Linux가 Stack guard page 매커니즘을 도입한 후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의 핵심도 역시 2005년부터 이미 존재하던 문제점..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6. 14:11

    잔인한 캥거루(Brutal Kangaroo): CIA가 개발한 인터넷이 연결 되지 않은 네트워크를 은밀히 해킹하는 악성코드

    Brutal Kangaroo: CIA-developed Malware for Hacking Air-Gapped Networks Covertly WikiLeaks가 Vault7 시리즈의 일환으로 “썸드라이브(thumb drives)를 이용해 주로 기업이나 주요 인프라들에서 사용 되는 인터넷이 연결 되지 않는 폐쇄된 네트워크”를 타겟으로 하는 CIA의 툴을 공개하였습니다. 인터넷이나 다른 외부 네트워크들로부터 격리 된 Air-gapped 컴퓨터들은 가장 안전한 컴퓨터들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Brutal Kangaroo(v1.2.1)이라 명명된 이 툴은 2012년 CIA가 직접적으로 접근 하지 않고도 폐쇄적인 네트워크나 인터넷에 연결 되지 않은 에어갭 컴퓨터들에 침투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 버..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3. 16:35

    WannaCry, 호주의 신호, 속도 위반 카메라 55개 공격 해

    최근 호주 카메라 운영사인 Redflex를 통해 55개의 신호 위반 카메라 및 속도 위반 카메라들이 WannaCry랜섬웨어에 감염되었습니다. WannaCry는 중요한 파일들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계자들은 “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시스템 패치가 완료 되었다. 카메라들에서 WannaCry를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나머지 웹사이트들은 수일 이내에 수정 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호주 당국은 이러한 감염이 ‘인재’라기 보다는 타겟형 사이버 공격의 결과라 생각한다며, WannaCry가 USB 드라이브를 통해 감염 된 것으로 추측 된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카메라에서 소프트웨어 바이러스가 발견되긴 했지만, 카메라의 시스템은 손상 되지 않았다. 우리는 카메라가 감염된 시간에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3. 15:42

    [스미싱][Web발신] 저희결혼식에와주셔서감사해요잘살께요^^ 웨딩포토보내드립니다^^

    [6월 넷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 저희결혼식에와주셔서감사해요잘살께요^^ 웨딩포토보내드립니다^^2 [Web발신] 대한통운 미확인 물품이 존재합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 )^처럼예쁘게잘살겠습니다일시:12월3일오후1시장소:메이퀸컨벤션청첩장:{} 2 [Web발신] 사랑하고 아끼면서 잘살겠습니다. 일시: 6월 24일 오후 1시, 청첩장: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7년 6월 17일 ~ 6월 23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7. 6. 23. 10: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25 526 527 528 529 530 531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