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웜으로 둔갑 가능한 코드 실행 버그, 7년 동안 Samba에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져

      2017.05.25 by 알약(Alyac)

    • Samba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7494) 발견!

      2017.05.25 by 알약(Alyac)

    • 조심하세요! 당신이 영화를 감상하는 동안 자막 파일이 컴퓨터를 해킹할지도 모릅니다.

      2017.05.25 by 알약(Alyac)

    • 중국 정부용 Win10 테스트 시작

      2017.05.24 by 알약(Alyac)

    • SMB 취약점의 위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7.05.24 by 알약(Alyac)

    •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2017.05.23 by 알약(Alyac)

    • 모든 버전을 타겟으로 하는 CIA 스파잉 프로그램, Athena 공개!

      2017.05.23 by 알약(Alyac)

    • WannaCry 랜섬웨어보다 더 강력한 UIWIX 랜섬웨어

      2017.05.22 by 알약(Alyac)

    웜으로 둔갑 가능한 코드 실행 버그, 7년 동안 Samba에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져

    웜으로 둔갑 가능한 코드 실행 버그, 7년 동안 Samba에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져 A wormable code-execution bug has lurked in Samba for 7 years. Patch now! Samba 네트워킹 유틸리티의 관리자들이 심각한 패치가 널리 설치될 때까지 사용자들에게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패치했습니다. 7년 동안 존재해 온 결점인 CVE-2017-7494는 몇 가지 조건만 충족된다면 코드 한 줄로도 악성 코드를 실행시키는데 악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요구사항에는- 인터넷에서 접근이 가능한 포트 445를 통해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하고- 공유 파일에 쓰기 권한이 있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파일들의 경로에 알려진/추측 가능한 서버를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5. 13:54

    Samba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7494) 발견!

    Samba 원격코드실행취약점(CVE-2017-7494) 발견! Linux 및 UNIX 시스템에서 SMB 프로토콜을 구현시켜주는 Samba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취약점 내용 해당 취약점은 쓰기 권한이 있는 Samba 사용자가 취약점이 존재하는 Samba를 운영중인 서버에서 root로 권한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입니다. 7년동안 존재해온 취약점 CVE-2017-7494는 몇 가지 조건만 충족된다면 코드 한 줄로도 악성코드를 실행시키는데 악용할 수 있습니다. ※ 조건- 인터넷에서 접근이 가능한 포트 445를 통해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 - 공유 파일에 쓰기 권한이 있도록 구성 - 이러한 파일들의 경로에 알려진/추측 가능한 서버를 사용하는 취약한 컴퓨터 이 조건들이 충족될 경우, 원격의 공격자..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5. 13:26

    조심하세요! 당신이 영화를 감상하는 동안 자막 파일이 컴퓨터를 해킹할지도 모릅니다.

    조심하세요! 당신이 영화를 감상하는 동안 자막 파일이 컴퓨터를 해킹할지도 모릅니다. Beware! Subtitle Files Can Hack Your Computer While You're Enjoying Movies Check Point의 연구원 팀이 가장 인기있는 미디어 플레이어 4개에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해커들이 자막 파일에 삽입된 악성코드를 통해 “PC, 스마트TV, 모바일 기기 등 모든 타입의 기기들을 하이잭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보안 소프트웨어를 우회해 공격자가 감염된 기기와 저장된 데이터 전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악성 자막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 백만대의 기기로 배포될 수 있습니다. 해당 취약한 4개의 미디어 플레이어들은 2...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5. 11:10

    중국 정부용 Win10 테스트 시작

    중국 정부용 Win10 테스트 시작 中国政府版Win10发布,目前已经开始试点测试 올해 3월 20일, 중국 정부용 Windows10이 처음 언론에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5월 23일, 상해에서 진행되는 컨퍼런스에서 Windows10 중국정부용이 이미 베타테스트에 들어갔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용 Windows10이 곧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중국 정부용 Windows10은 MS와 China Electronic Technology Cyber Security Co., Ltd.가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이 두 회사는 중국정부용 Windows10을 위해 합작회사인 C&M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를 설립하였습니다. 중국 정부용 Windows10은 기존의 Win..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4. 11:21

    SMB 취약점의 위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SMB 취약점의 위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WannaCry 랜섬웨어 사태 이후, 보안연구원들은 많은 해커들이 Windows SMB 취약점(CVE-2017-0143)을 악용해 공격을 시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Eternalblue SMB취약점(MS17-010)은 이미 Metasploit에도 추가되어 많은 보안연구원과 해커들이 더 쉽게 해당 취약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annaCry와 같은 전세계적인 공격 이외에도, 많은 해커조직과 범죄조직에서 Eternalblue 취약점을 악용하여 크고 작은 공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스트시큐리티는 Eternalblue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EternalRocks 웜 5월 17일, 보안연구원은 SMB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4. 10:24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법인(개인)혐의거래보고내역'과 '납세담보변경요구서'로 위장한 악성 HWP파일이 발견되었습니다. 사용자 분들의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이 HWP 파일은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되는 이른바 스피어피싱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림 1] 악성 HWP파일 실행 시 나타나는 화면 파일명 법인(개인)혐의거래보고내역.hwp 납세담보변경요구서.hwp 유형 한컴오피스 한글 2010 문서 한컴오피스 한글 2010 문서 크기 892KB 927KB 작성자 팀장1 와우폼(www.wowform.com) 마지막 작성자 jikpurid Administrator 만든 날짜 2017-05-22 오전 7:47 2017-05-16 오전 00:4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5. 23. 17:48

    모든 버전을 타겟으로 하는 CIA 스파잉 프로그램, Athena 공개!

    모든 버전을 타겟으로 하는 CIA 스파잉 프로그램, Athena 공개!WikiLeaks Reveals 'Athena' CIA Spying Program Targeting All Versions of Windows 지난주, 위키리크스가 악성코드 프레임워크인 AfterMidnight 와 Assassin 공개에 이어, 5월 19일, 또 한 건의 CIA Vault7 시리즈 중 한 개 프로그램인 - Athena 스파잉 프로그램을 공개하였습니다. Athena 스파잉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는 모든 버전의 윈도우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타겟 시스템에 악성코드 내려줄 수 있습니다. 또한 원격제어가 가능합니다. Athena/Hera라고 불라는 이 프로그램은 스파잉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원격에서 Windows PC를 완벽..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3. 14:48

    WannaCry 랜섬웨어보다 더 강력한 UIWIX 랜섬웨어

    WannaCry 랜섬웨어보다 더 강력한 UIWIX 랜섬웨어 최근 이슈가 되었던 WannaCry 랜섬웨어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두번째 랜섬웨어의 공격이 발생했습니다. UIWIX랜섬웨어는 이번에 새로 등장한 랜섬웨어로, WannaCry와 동일한 취약점을 악용합니다. 하지만 WannaCry와 같은 kill switch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UIWIX 랜섬웨어가 전파되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일부 보안전문가들은 UIWIX 랜섬웨어는 SMB웜이 아니며, 배후에서 해커조직이 수동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유포하는 방식으로 WannaCry와 같은 강력한 전파능력은 없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UIWIX 랜섬웨어는 하드디스크에 존재하는 모든 문서를 스캔합니다. 문서, 이미지파일 등과 같은 90여..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2. 15: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32 533 534 535 536 537 538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