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왜 계속 광고창이 뜰까?

      2017.03.07 by 알약(Alyac)

    • PowerShell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DNS 쿼리를 사용하는 새로운 파일리스 공격

      2017.03.06 by 알약(Alyac)

    • RebreakCaptcha – 구글의 API를 사용해 ReCaptcha v2 우회하는 방법 발견 돼

      2017.03.03 by 알약(Alyac)

    • [스미싱] [민방위] 민방위교육 인터넷으로 진행합니다.

      2017.03.03 by 알약(Alyac)

    •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

      2017.03.02 by 알약(Alyac)

    • 내 스마트폰 화면 옆 사람에게 보여주지 마세요! 알약 ‘사생활 노출 보호’ 기능 추가

      2017.03.02 by 알약(Alyac)

    • SHA-1, 더이상 안전하지 않아

      2017.02.27 by 알약(Alyac)

    • CloudFlare를 사용하는 수 백만 사이트들에서 중요 정보를 유출하는 심각한 버그 발견

      2017.02.27 by 알약(Alyac)

    왜 계속 광고창이 뜰까?

    왜 계속 광고창이 뜰까? 안녕하세요. 알약맨입니다.오늘은 PC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광고창에 대응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웹 서핑을 자주 하신다면 아래 이미지가 어딘가 익숙하실지도 모르겠네요. ‘명절 후 컴퓨터 모습.jpg’라는 짤(?)입니다. ^^; 명절을 맞아 찾아온 사촌 동생이 PC를 사용하면서 각종 툴바, 광고 프로그램, 가짜 백신 등 광고성 제휴 프로그램(이하 PUA)을 설치해 바탕화면과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엉망이 되었다는 슬픈 이야기... 이 사진과 스토리는 한때 많은 네티즌들의 공감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 PUA(Potentially Unwanted Application)란? 사용자가 대게 원하지 않는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광고를 띄우는 제휴 프로그램이나 검색 도우미 등을 의미..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7. 3. 7. 09:55

    PowerShell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DNS 쿼리를 사용하는 새로운 파일리스 공격

    PowerShell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DNS 쿼리를 사용하는 새로운 파일리스 공격NEW FILELESS ATTACK USING DNS QUERIES TO CARRY OUT POWERSHELL COMMANDS 최근 DNSMessenger라 불리는 독특한 공격방법이 발견되었는데, 이 공격방법은 악성 PowerShell 명령어를 해킹당한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DNS 쿼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이 방법이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가 대상 시스템에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어렵게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공격은 조작된 Word문서를 사용자들에게 발송하여 메세지 열람을 위해서 "컨텐츠를 활성화" 하라고 요구함으로써 시작됩니다. 만약 수신자가 공격자의 의도대로 컨텐츠를 활성화 한다면,..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6. 17:04

    RebreakCaptcha – 구글의 API를 사용해 ReCaptcha v2 우회하는 방법 발견 돼

    RebreakCaptcha – 구글의 API를 사용해 ReCaptcha v2 우회하는 방법 발견 돼ReBreakCaptcha – How to breaking Google’s ReCaptcha v2 using Google’s APIs 최근 보안 연구원이 구글의 reCaptcha V2 인증 시스템을 우회하는 PoC를 고안해 냈습니다. 이 방법은 ReBreakCaptcha라 명명되었습니다. 이 PoC는 구글의 웹기반 툴을 사용합니다. 제작자에 따르면, ReBreakCaptcha를 사용하면 “웹의 어디에서나 구글의 reCaptcha v2를 쉽게 우회할 수 있다.” CAPTCHA 서비스는 한번에 수 천개의 계정들을 등록하는 봇이나 스크립트를 무효화 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ReCaptcha는 이미지, 오디오, 텍..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3. 17:45

    [스미싱] [민방위] 민방위교육 인터넷으로 진행합니다.

    [3월 첫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저)☆(희^♡^)☆(결> 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7. 3. 3. 14:16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Over 130 Google Play Apps Tried to Infect Users with Windows Malware 최근 공식 구글플레이 마켓에 등록된 132개 앱들이 사용자들에게 윈도우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것이 확인되었습니다. 7명의 개발자가 만든 이 앱들은 로컬 HTML 페이지에 악성 도메인으로 연결시키는 작은 iframe을 숨겨놓았습니다. 하지만 이 두 조합은 실제로 공존할 수 없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번 경우 개발자는 사실상 무죄이거나 혹은 비난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앱 개발자의 개발 플랫폼이 HTML 페이지를 탐색 후 발견하는 HTML 페이지의 마지막에 악성 컨텐츠를 주입..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2. 15:28

    내 스마트폰 화면 옆 사람에게 보여주지 마세요! 알약 ‘사생활 노출 보호’ 기능 추가

    내 스마트폰 화면 옆 사람에게 보여주지 마세요! 알약 ‘사생활 노출 보호’ 기능 추가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통합 보안 기업 이스트시큐리티가 모바일 보안앱 알약 안드로이드(ALYac Android)에 사생활 노출 보호 기능인 ‘시크릿모드’와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눈보호모드’를 추가했습니다. ▲알약 안드로이드 ‘시크릿모드’ 적용 예시 새롭게 추가된 ‘시크릿모드’는 주변 사람이 자신의 스마트폰 화면을 알아볼 수 없게 해주는 일종의 가림막 기능으로, 스마트폰 화면을 주변에서 내용을 인식할 수 없도록 시야각을 줄여줍니다. 스마트폰으로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SNS를 사용하거나 모바일 금융 거래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확인하는 생활 방식이 보편화되며, 많은 사용자들이 사생활 정보 노출에 대해 걱정하고 계십니다.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7. 3. 2. 11:20

    SHA-1, 더이상 안전하지 않아

    SHA-1, 더이상 안전하지 않아Announcing the first SHA1 collision HASH 함수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정 길이의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연산기법으로, 브라우저 보안, 코드 라이브러리 관리, 무결성 체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몇몇 해쉬함수는 더이상 안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SHA-1은 채택된지 10년만에, 처음으로 취약점이 제기되었습니다. 그 후 CWI Amsterdam과 Google의 공동 연구 끝에 SHA1 해쉬충돌을 성공시켰습니다. 이는 즉 SHA-1은 더이상 안전한 알고리즘이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면 안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Google은 몇년동안 SHA-1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으며, 2014년 Chro..

    국내외 보안동향 2017. 2. 27. 14:29

    CloudFlare를 사용하는 수 백만 사이트들에서 중요 정보를 유출하는 심각한 버그 발견

    CloudFlare를 사용하는 수 백만 사이트들에서 중요 정보를 유출하는 심각한 버그 발견 Serious Bug Exposes Sensitive Data From Millions Sites Sitting Behind CloudFlare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이자 웹 서비스 제공자인 CloudFlare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 되었습니다. Cloudbleed라 명명 된 이 심각한 버그는 2014년 발견 된 Heartbleed를 따서 명명되었으나, Heartbleed보다 더욱 심각합니다. 이 취약점은 CloudFlare 네트워크상의 웹사이트들 뿐 아니라 모바일 앱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Cloudbleed란? 1주일 전 Google Project Zero의 보안 연구원인 Ta..

    국내외 보안동향 2017. 2. 27. 10: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46 547 548 549 550 551 552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