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Mac 랜섬웨어인 KeRanger는 Linux.Encoder의 변종이었다!

      2016.03.15 by 알약(Alyac)

    • CVE-2016-3115 : xauth command injection 취약점 발견!

      2016.03.15 by 알약(Alyac)

    • [스미싱] 서울고등법원형사사건의 증인요청 내용확인

      2016.03.11 by 알약(Alyac)

    • 러시아 블랙마켓에서 "말할 수 있는" CERBER 랜섬웨어 판매

      2016.03.11 by 알약(Alyac)

    • 2월 24일, 이스트소프트에 기쁨과 긴장감이 동시에?

      2016.03.11 by 알약(Alyac)

    • 쉽게 루트에 접근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취약점 발견!

      2016.03.09 by 알약(Alyac)

    • 윈도우 악성코드 만큼 복잡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Triada!

      2016.03.04 by 알약(Alyac)

    • 블록체인, 그것이 알고싶다.

      2016.03.04 by 알약(Alyac)

    Mac 랜섬웨어인 KeRanger는 Linux.Encoder의 변종이었다!

    Mac 랜섬웨어인 KeRanger는 Linux.Encoder의 변종이었다!KeRanger Is Actually A Rewrite of Linux.Encoder 비트디펜더는 첫번째 Mac OS X의 랜섬웨어인 KeRanger랜섬웨어가 Linux.Encoder 랜섬웨어의 변종이라고 밝혔습니다. KeRanger 랜섬웨어에 감염된 Mac OS XBT 클라이언트를 분석해 본 결과, 4세대 Linux.Encoder와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Linux.Encoder 랜섬웨어는 2016년에 들어서 이미 몇천대의 Linux 서버를 감염시켰습니다. Mac OS X Mountain Lion에는 Gatekeeper라는 보안 툴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 툴은 사용자가 출처가 불분명한 인스톨 파일들을 설치하는 것을 제..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15. 10:14

    CVE-2016-3115 : xauth command injection 취약점 발견!

    CVE-2016-3115 : xauth command injection 취약점 발견! xauth command injection 취약점(CVE-2016-3115)은 X11 포워딩을 요청할 수 있는 승인된 사용자가 xauth에 명령어를 주입하도록 허용하는 취약점입니다. xauth 명령어를 인젝션 함으로써, 승인 된 사용자 권한을 이용하여 임의의 파일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게 됩니다. 다른 xauth 명령어들은 제한적인 정보 유출, 파일 덮어쓰기 등을 허용하고, 다른 사용자의 xauth를 노출시키기도 합니다. xauth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실행되기 때문에 체한되지 않은 계정에 대한 추가 접근을 제공하지 않지만, sshd_config, ForceCommand, authorized_keys comm..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15. 09:58

    [스미싱] 서울고등법원형사사건의 증인요청 내용확인

    [3월 둘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서울고등법원형사사건의 증인요청 내용확인 2 [Web발신] 휴대폰 시스탬새로고침이 필요해서요 을 클릭해주세요 3 엔씨소프트 택배가 도착하면 내용물을 확인하세요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모♡(바)♡일~v~)♥청d첩e장]이 도착햇어요.. sps 2 [Web발신] 고객님택배 전달불가,조회바랍니다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6년 3월 7일 ~ 3월11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6. 3. 11. 13:10

    러시아 블랙마켓에서 "말할 수 있는" CERBER 랜섬웨어 판매

    러시아 블랙마켓에서 "말할 수 있는" CERBER 랜섬웨어 판매CERBER: Crypto-ransomware that Speaks, Sold in Russian Underground 말할 수 있는 랜섬웨어가 등장하였습니다. RANSOM_CERBER은 음성을 지원하는 랜섬웨어의 변종으로, 감염 PC의 컴퓨터에서 감염됬음을 알리는 경고 음성이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랜섬웨어는 사용자들에게 이미지로 감염 사실을 알리며, 결제할 수 있는 방식 및 파일을 복호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랜섬웨어는 이전에 발견되었었던 'REVETON'의 변종으로 보여지지만, REVETON 랜섬웨어와 다른점은 말하는 언어가 사용자 지역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CERBER은 영어만 할 수 있다고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11. 10:25

    2월 24일, 이스트소프트에 기쁨과 긴장감이 동시에?

    지난 2월 24일, 어찌된 일인지 알약맨이 근무하는 이스트소프트 서울 본사에는 기쁨과 긴장감이 공존해 있었는데요. 기쁨은 다름이 아니라, 이스트소프트가 제 15회 대한민국 SW 기업 경쟁력 "종합 대상"을 수상했다는 소식 때문이었습니다. (와아~짝짝짝!) (사진 앞 줄 두번째)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지식정보화연구센터 등은 매년 공동으로 SW기업에 대한 기업자원/고객만족도 평가를실시해왔습니다. 이스트소프트는 2014년 정보보호부문 최우수상, 2015년 기업역량 강화 부문 대상에 이어 올해도!‘대한민국 SW기업 경쟁력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에 더욱 기쁠 수 밖에 없었는데요~448개 SW기업에 대한 인적자원, 기술력, 시장가치, 국제화, 재무 등 다면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니알약맨도 뿌듯뿌듯 합니다! ..

    알약人 이야기 2016. 3. 11. 09:00

    쉽게 루트에 접근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취약점 발견!

    쉽게 루트에 접근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취약점 발견!Android Vulnerabilities Allow For Easy Root Access 최근 보안연구원들은 Snapdragon을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점을 발견하였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단순히 악성 앱을 실행시키는 것 만으로 공격 기기의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 Snapdragon : Snapdragon이란 퀄컴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북 등을 위한 모바일 SoC(System on Chip) 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공개되기 전에 구글에 제보되었으며, 현재 수정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패치를 바로 업데이트 하기 전까지 사용자들은 여전히 정보 유출과 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CV..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9. 16:50

    윈도우 악성코드 만큼 복잡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Triada!

    윈도우 악성코드 만큼 복잡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Triada!Android Triada trojan 'as complex as any Windows malware' 최근 카스퍼스키 연구원들이 전체 안드로이드 기기의 60%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악성코드를 발견하였습니다. Triada는 안드로이드 4.4.4 및 그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기기에서 동작하며, 인-앱 결제 및 권한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악성코드로, 전문적인 사이버 범죄자들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악성코드는 주로 정식 마켓에서 다운로드 하지 않아 감염되지만, 공식 안드로이드 스토어에 정식 앱으로 위장하여 업로드 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 악성코드의 특징은 모든 앱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격인 Zygote를 사..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4. 16:00

    블록체인, 그것이 알고싶다.

    블록체인, 그것이 알고싶다.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이라는 뜻으로, 데이터의 거래 내역들을 각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분산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입니다.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구현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s)퍼블릭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어느 누구나 열람/송금이 가능한 형태의 블록체인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어느 누구도 특정 기관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탈 중앙화 및 분산 장부 특징을 가진 완전분산형태의 블록 체인입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s)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미리 선정된 특정 거래 증명자들에 의해 컨트롤 되는 형태의 블록체인으로..

    전문가 기고 2016. 3. 4. 14:07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03 604 605 606 607 608 609 ··· 6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