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구글

    • Android 사용자의 전화 기능 차단하는 Google 앱 취약점 수정

      2021.08.31 by 알약4

    • 북한 탈륨 그룹, 구글 블로그 이용한 해킹 공격 수행

      2021.07.01 by 알약4

    • 구글, 시스템 컴포넌트 내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RCE 취약점 수정

      2021.06.10 by 알약4

    • 구글 크롬, 개인정보 보호 및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HTTPS를 기본으로 사용할 예정

      2021.03.26 by 알약4

    • 구글, 1월부터 활발히 악용되어 온 크롬의 세 번째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2021.03.16 by 알약4

    • 구글,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크롬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2021.03.03 by 알약4

    • 구글 알림 창, 가짜 어도비 플래시 업데이터 푸시에 악용돼

      2021.02.22 by 알약4

    • 구글, 안드로이드의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수정

      2021.01.07 by 알약4

    Android 사용자의 전화 기능 차단하는 Google 앱 취약점 수정

    Google App bug blocks Android users from receiving, making calls 구글은 일부 안드로이드 폰 모델의 사용자들이 구글 앱 취약점으로 인해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용 구글 검색 앱의 최신 업데이트 이후 특정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전화를 걸고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영향을 받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이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업데이트를 출시했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 휴대폰은 일요일에 게시된 Google 앱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장치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한 사용자는 Google Play 스토어에서 수동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휴대폰에 최신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Google P..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1. 11:35

    북한 탈륨 그룹, 구글 블로그 이용한 해킹 공격 수행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한국 공공기관을 노린 북한 연계 해킹그룹의 공격이 계속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김수키의 구글 블로그를 활용한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난 28일 수행된 이번 공격은 학술대회 참가 양식처럼 위장된 MS Word 문서 파일로 마치 보안 문서처럼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만, 이는 보안 프로그램의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해당 문서는 전형적인 악성 매크로 기법이 적용돼 있고, ‘콘텐츠 사용’ 버튼을 허용할 경우 악성코드가 실행됩니다. 분석에 의하면, 악성코드가 작동하면 국내 중소기업의 홈페이지(daewon3765.○○○[.]com)와 1차 통신을 시도하고, 그다음 공격자들이 구축한 특정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7. 1. 13:00

    구글, 시스템 컴포넌트 내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RCE 취약점 수정

    Google fixes a critical Android RCE flaw in the System component 구글이 6월 보안 공지를 통해 안드로이드 및 Pixel 기기의 취약점 90개 이상을 수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중에는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기기의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는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인 CVE-2021-0507 또한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섹션의 가장 치명적인 취약점은 원격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전송을 통해 권한이 있는 프로세스의 콘텍스트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CVE-2021-0507 취약점은 안드로이드 OS의 시스템 컴포넌트에 존재합니다. 공격자는 특수 제작된 전송을 통해 이를 악용 가능하고 권한이 있는 프로세스의 콘텍..

    국내외 보안동향 2021. 6. 10. 14:00

    구글 크롬, 개인정보 보호 및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HTTPS를 기본으로 사용할 예정

    Chrome to defaults to HTTPS, as Google looks to improve privacy and loading speeds 구글 크롬이 4월 13일 공개되는 브라우저 버전 90 이후부터 주소창에 입력되는 모든 URL에 대해 HTTPS(Hypertext Transport Protocol Secure)를 사용하기 시작할 예정입니다. 구글은 블로그를 통해 크롬이 항상 보안 연결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HTTPS는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트래픽을 암호화하여 공격자가 웹사이트에 입력된 민감 정보를 가로채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사용자를 보호합니다. 구글은 이를 통해 HTTPS를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로딩 속도를 향상할 것..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6. 14:00

    구글, 1월부터 활발히 악용되어 온 크롬의 세 번째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Google fixes the third actively exploited Chrome 0-Day since January 구글이 활발히 악용되고 있는 크롬 브라우저 내 새로운 제로데이 취약점을 수정했습니다. 이는 구글이 한 달 내 수정한 2번째 제로데이 취약점입니다. CVE-2021-21193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Blink 렌더링 엔진 내 use-after-free 취약점입니다. 구글은 이 문제를 곧 출시될 윈도우, 맥, 리눅스용 크롬 버전 89.0.4389.90에서 수정하였습니다. 이 취약점은 지난 3월 9일 익명의 연구원이 구글에 제보했습니다. 당시 구글은 이 취약점이 실제 공격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구글은 다른 취약점 4개 또한 수정했습니..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16. 09:00

    구글,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크롬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Google fixes second actively exploited Chrome zero-day bug this year 구글이 3월 2일 공개된 크롬 89.0.4389.72 버전에서 실제 공격에 적극적으로 악용되는 제로데이 취약점을 수정했습니다. 새로운 버전은 윈도우, 맥, 리눅스 사용자용 Stable 데스크톱 채널에 공개되었습니다. 구글은 크롬 89.0.4389.72 관련 공지에서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구글은 실제 공격에 CVE-2021-21166에 대한 익스플로잇이 존재한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사용자는 설정 > 도움말 > Chrome 정보에서 크롬 89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새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 후, 있을 경우 이를 설치할 것입니..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3. 09:12

    구글 알림 창, 가짜 어도비 플래시 업데이터 푸시에 악용돼

    Warning: Google Alerts abused to push fake Adobe Flash updater 공격자들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원치 않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가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업데이터를 홍보하는데 구글 알림창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는 구글 검색에서 인덱스를 생성하는 인기있는 키워드를 포함한 타이틀로 가짜 기사를 생성합니다. 인덱스가 생성되면, 구글은 해당 키워드를 팔로우하는 사람들에게 알림을 보냅니다. 구글의 리디렉션 링크를 사용하여 가짜 기사를 생성할 경우, 방문자는 아래와 같이 공격자의 악성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하지만 가짜 기사의 URL을 직접 클릭할 경우 웹사이트에는 해당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표시됩니다. 이번 주 Bleeping Computer..

    국내외 보안동향 2021. 2. 22. 14:06

    구글, 안드로이드의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수정

    Google fixed a critical Remote Code Execution flaw in Android 구글이 안드로이드 시스템 컴포넌트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인 CVE-2021-0316을 포함한 취약점 43개를 수정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구글은 보안 패치 레벨 2021-01-05 및 그 이후를 공개하며 해당 취약점을 수정했습니다. 구글은 1월 안드로이드 보안 공지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이슈 중 가장 심각한 것은 System 컴포넌트의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으로, 원격 공격자가 특수 제작한 전송을 사용하여 권한이 있는 프로세스의 컨텍스트 내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공지에서는 치명적인 DoS 취약점인 CVE-2021-03..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 7.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