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랜섬머니

    • 부트 레코드를 암호화하여 PC 실행을 막는 Satana 랜섬웨어

      2016.07.04 by 알약(Alyac)

    • 새로운 랜섬웨어 'Bart' 주의!

      2016.06.28 by 알약(Alyac)

    •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2016.04.18 by 알약(Alyac)

    • KimcilWare 랜섬웨어의 새로운 타깃이 된 Magento

      2016.04.01 by 알약(Alyac)

    • TeslaCrypt 4.0: 더 강해지고 복호화가 불가능해져

      2016.03.21 by 알약(Alyac)

    • 가짜 Visa 카드 이벤트로 위장한 스팸, TeslaCrypt 랜섬웨어로 이어져

      2016.03.04 by 알약(Alyac)

    • 연방 수사관, 은행들에 랜섬웨어 증가 건에 대해 경고

      2016.01.13 by 알약(Alyac)

    부트 레코드를 암호화하여 PC 실행을 막는 Satana 랜섬웨어

    부트 레코드를 암호화하여 PC 실행을 막는 Satana 랜섬웨어Satana Ransomware Encrypts Your Boot Record and Prevents Your PC from Starting 사용자의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를 망가뜨리는 Petya 랜섬웨어와 클래식 랜섬웨어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Satana 랜섬웨어가 등장했습니다. Satana 랜섬웨어는 다른 랜섬웨어 패밀리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며, 암호화시킨 파일 이름은 “email@domain.com___파일명.확장자”와 같이 변경합니다. 그리고 사용자 PC의 MBR 영역을 암호화시키며 자신의 것으로 대체 시켜버립니다. 이후 사용자가 컴퓨터를 부팅시키면 Satana의 MBR 부트 코드가 로드되며..

    국내외 보안동향 2016. 7. 4. 14:58

    새로운 랜섬웨어 'Bart' 주의!

    새로운 'Bart'랜섬웨어 등장!Doh! New "Bart" Ransomware from Threat Actors Spreading Dridex and Locky 최근 새로운 랜섬웨어인 'Bart'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랜섬웨어는 Locky와 Dridex의 제작자가 개발한 것으로 보이며, 랜섬머니로 $2000을 요구합니다. Bart랜섬웨어는 C&C서버에 연결 하기도 전에 사용자들의 파일을 암호화 시킵니다. 이 랜섬웨어는 지난주에 발견되었으며, 역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포함된 zip파일이 첨부된 스팸메일 형식으로 유포됩니다. Bart랜섬웨어는 영어, 이태리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지원하며, 러시아, 우크라이아, 벨라루스 사용자들을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까지는 대부분 미국 사용자들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6. 6. 28. 17:34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Jigsaw Ransomware Decrypted: Will delete your files until you pay the Ransom Jigsaw 랜섬웨어에 일단 감염되면 사용자가 1시간 이내에 랜섬머니 0.4비트코인을 지불하지 않는다면, 시스템 내의 모든 중요문서를 삭제해 버립니다. 더 무서운 것은, 만약 사용자가 컴퓨터를 재부팅 한다면, 이 랜섬웨어는 시스템 중의 천개의 문서를 삭제해 버립니다. 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화면에 영화 의 이미지가 뜨며 사용자를 위협합니다. 하지만 더이상 Jigsaw 랜섬웨어의 위협 때문에 두려움에 떨지 않아도 됩니다. 최근 보안연구원들은 Jigsaw 랜섬웨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Jigsaw 랜섬웨어로 암호화 된 문서를 무료로..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18. 13:23

    KimcilWare 랜섬웨어의 새로운 타깃이 된 Magento

    KimcilWare 랜섬웨어의 새로운 타깃이 된 MagentoMagento becomes fresh target for KimcilWare ransomware Magento를 사용하는 웹 관리자들은 KimcilWare 랜섬웨어를 주의해야 합니다. Magento는 전 세계 20만개 이상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다양한 웹 사이트들의 시스템 및 기능 백엔드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공격자가 웹 도메인의 서버단의 권한을 탈취할 경우, 중요데이터들을 탈취하고 DB에 침투하여 웹 사이트를 하이재킹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자결제의 경우, 금융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더 심각할 것입니다. 최근 KimcilWare라고 불리는 랜섬웨어가 Magento의 전자결제 플랫폼을 지원하는 웹 사이트..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1. 13:09

    TeslaCrypt 4.0: 더 강해지고 복호화가 불가능해져

    TeslaCrypt 4.0: 더 강해지고 복호화가 불가능해져TeslaCrypt 4.0: Bigger, Badder and Unbreakable TeslaCrypt라고 알려진 랜섬웨어가 복호화가 불가능한 암호화로 코드를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TeslaCrypt 랜섬웨어는 초기에는 특정 컴퓨터 게임이 설치된 PC만을 타겟으로 했지만, 지금은 그 범위를 확대하였습니다. 업그레이드 된 TeslaCrypt 4.0은 RSA 4096을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 하며, TeslaCrypt 랜섬웨어로 암호화 된 파일들을 복구할 수 있는 TeslaDecoder 역시 TeslaCrypt 4.0에는 소용이 없습니다. 또한 4GB 이상 파일 암호화 과정에서 파일을 손상시켰던 버그도 수정하였습니다. TeslaCrypt 4.0은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21. 10:50

    가짜 Visa 카드 이벤트로 위장한 스팸, TeslaCrypt 랜섬웨어로 이어져

    가짜 Visa 카드 이벤트로 위장한 스팸, TeslaCrypt 랜섬웨어로 이어져Spam offering fake Visa benefits, rewards leads to TeslaCrypt ransomware 최근 Visa Total Reward 이메일로 위장한 스팸메일을 통하여 랜섬웨어가 유포되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메일에는 Visa 리워드 및 혜택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 브로슈어로 위장한 압축파일이 첨부되어 있으며, 수신자가 이 파일을 열면 난독화 된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보여지게 됩니다. 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열면, 스크립트는 TeslaCrypt 랜섬웨어의 변종을 다운로드 한 후 실행합니다. 실행 후 몇분 후에 모든 파일이 암호화 되었다는 메세지와 함께 비트코인 지불을 요구합니다. 이 랜섬웨어는..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4. 09:00

    연방 수사관, 은행들에 랜섬웨어 증가 건에 대해 경고

    연방 수사관, 은행들에 랜섬웨어 증가 건에 대해 경고Feds Warn Banks of Rising Ransomware Tide 미 FFIEC(Federal Financial Institutions Examination Council: 미 연방금융기관 검사협의회)에서 최근 지속되고 있는 랜섬웨어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의 급격한 증가에 대해 경고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랜섬웨어는 개인사용자들에게 주로 골칫거리가 되어 왔으나, FFIEC는 금융 기관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 횟수 및 심각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이번에 밝혔습니다. 감염된 PC의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 공격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비용인 랜섬머니는 최대 $5,000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Easy Solutions의 분석에 따르면, 은행들을 타겟으로 한 랜섬웨..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 13. 08: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