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루트킷

    •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2022.06.14 by 알약4

    • 리눅스 시스템을 노리는 FontOnLake 루트킷 악성코드 발견

      2021.10.12 by 알약4

    • GhostEmperor, 공격에 새로운 윈도우 10 루트킷 사용해

      2021.10.01 by 알약4

    • MosaicRegressor: 실제 공격에 사용된 두 번째 UEFI 루트킷

      2020.10.06 by 알약4

    • FBI와 NSA, 러시아 해커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인 Drovorub 공개

      2020.08.14 by 알약4

    • Skidmap 리눅스 마이너, 백신 탐지 피하기 위해 커널 모드 루트킷 사용해

      2019.09.19 by 알약(Alyac)

    • Qualcomm 칩의 새로운 취약점, 수백만 안드로이드 기기들 위험에 노출시켜

      2019.08.08 by 알약(Alyac)

    • Scranos: 빠르게 진화 중인 루트킷(Rootkit) 지원 스파이웨어 발견

      2019.04.17 by 알약(Alyac)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New Syslogk Linux rootkit uses magic packets to trigger backdoor 새로운 리눅스 루트킷 악성코드인 'Syslogk'가 특수 제작된 "매직 패킷"을 통해 기기에서 휴면 상태인 백도어를 깨워 악성 프로세스를 숨기는 공격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현재 활발히 개발되는 중입니다. 제작자는 오래된 오픈소스 루트킷인 Adore-Ng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Syslogk는 모듈을 리눅스 커널(버전 3.x 지원)에 강제로 로드하고, 디렉토리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숨길 수 있으며, 결국에는 'Rekoobe'라는 백도어를 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매직 패킷을 사용하여 백도어 로드하기 리눅스 루트킷은 운영 체제에 커널 모..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4. 09:00

    리눅스 시스템을 노리는 FontOnLake 루트킷 악성코드 발견

    Researchers Warn of FontOnLake Rootkit Malware Targeting Linux System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크리덴셜을 수집하고 프록시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운영자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기업을 노리는 새로운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사이버 보안 회사인 ESET에서 "FontOnLake"라 명명한 이 악성 프로그램은 "잘 설계된 모듈"이 특징이며, 광범위한 기능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 활발한 개발 단계임을 보여줍니다. VirusTotal에 업데이트된 샘플로 미루어볼 때 이 공격은 최소 2020년 5월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Avast와 Lacework Labs는 동일한 악성코드를 HCRo..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12. 14:00

    GhostEmperor, 공격에 새로운 윈도우 10 루트킷 사용해

    GhostEmperor hackers use new Windows 10 rootkit in attacks 중국어를 구사하는 사이버 스파이들이 지난 1년 이상 동안 동남아시아의 정부 기관과 통신 회사를 노린 공격에 새롭게 발견된 루트킷을 사용하여 최신 윈도우 10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백도어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aspersky 연구원들은 이 그룹을 발견 후 ‘GhostEmperor’라 명명했습니다. 이 해킹 그룹은 해킹된 서버에서 지속성을 유지하는 백도어 역할을 하는 Demodex 루트킷을 사용합니다. 이 루트킷의 주요 목적은 포렌식 조사관과 보안 제품의 탐지를 피하기 위해 악성코드의 아티팩트(파일, 레지스트리 키, 네트워크 트래픽 등)를 숨기는 것입니다. "GhostEmperor는 윈도우 드라..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1. 09:00

    MosaicRegressor: 실제 공격에 사용된 두 번째 UEFI 루트킷

    MosaicRegressor: Second-ever UEFI rootkit found in the wild 실제 공격에 사용된 UEFI 루트킷이 두 번째로 발견되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2019년부터 NGO조직 2곳에 대한 공격을 조사하던 중 이를 발견했습니다.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펌웨어는 컴퓨터의 마더보드에 납땜된 SPI 플래시 스토리지에 설치되기 때문에 OS를 재설치하거나 하드드라이브를 교체해도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악성코드는 높은 지속성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카스퍼스키 연구원인 Mark Lechtik과 Igor Kuznetsov는 이 UEFI 부트킷을 발견 후 MosaicRegressor라 명명했습니다. 이는 모듈형 다단계 악성..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6. 09:25

    FBI와 NSA, 러시아 해커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인 Drovorub 공개

    FBI and NSA expose new Linux malware Drovorub, used by Russian state hackers FBI와 NSA가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 변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공동 보안 권고문을 발행했습니다. 이들은 러시아 군사 해커가 개발해 실제 공격에서 배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FBI와 NSA는 Drovorub로 명명된 이 악성코드가 해킹된 네트워크 내 백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두 기관이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이 악성코드는 APT28 (Fancy Bear, Sednit)의 소행으로 추측됩니다. 이 두 기관은 공동 경보를 통해 미국 민간 및 공공 부문에 대한 보안 인식을 높이고 IT 관리자가 탐지 규칙 및 예방 조치를 신속히 진행하기 바란다고..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4. 14:00

    Skidmap 리눅스 마이너, 백신 탐지 피하기 위해 커널 모드 루트킷 사용해

    Skidmap Linux miner leverages kernel-mode rootkits to evade detection Trend Micro의 연구원들이 탐지를 피하기 위해 커널 모드 루트킷을 활용하는 리눅스 가상화폐 마이너인 Skidmap을 발견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탐지를 피하기 위해 악성 커널 모듈을 로드하기 때문에 다른 유사한 마이너보다 뛰어납니다. 이 가상 화폐 마이너는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 계정에 접근하는데 사용할 비밀 마스터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이 커널 모드 루트킷은 사용자 모드를 사용하는 다른 루트킷에 비해 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영향을 받는 시스템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Skidmap은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비밀 마스터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19. 11:44

    Qualcomm 칩의 새로운 취약점, 수백만 안드로이드 기기들 위험에 노출시켜

    New Flaws in Qualcomm Chips Expose Millions of Android Devices to Hacking Qualcomm의 칩셋에서 OTA(Over-the-air) 방식으로 악성 패킷을 보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도 안드로이드 기기를 원격으로 해킹할 수 있는 치명적인 취약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QualPwn이라 명명되었으며 수백만 대의 안드로이드 기기 및 태블릿을 지원하는 Qualcomm 칩셋의 WLAN 및 모뎀 펌웨어에 존재합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Qualcomm 칩셋에 주요 취약점 2개, 안드로이드용 Qualcomm 리눅스 커널 드라이버에 1개가 존재합니다. 이 둘이 연계되어 사용될 경우, 공격자의 Wi-Fi 범위 내 타깃 안드로이드 기기를 완전히 제어할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8. 8. 14:32

    Scranos: 빠르게 진화 중인 루트킷(Rootkit) 지원 스파이웨어 발견

    Scranos: New Rapidly Evolving Rootkit-Enabled Spyware Discovered 루트킷을 지원하는 강력한 스파이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해커들은 크랙 버전 소프트웨어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드라이버, 안티바이러스 제품 등의 정상 소프트웨어로 위장한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있습니다. ※ 루트킷 (rootkit)이란? 공격자가 시스템에 사용자 몰래 침입하기 위해 설치해 둔 프로그램으로 백도어, 원격 접근 프로그램, 침입 흔적 로그 삭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Scranos로 명명된 이 루트킷 악성코드는 작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아직 개발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새로운 컴포넌트를 테스트하고 예전 컴포넌트들을 정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더욱 심각한 위협..

    국내외 보안동향 2019. 4. 17. 13: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