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파일리스

    • 새로운 파일리스 악성코드, 탐지를 피하기 위해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저장소로 사용해

      2021.12.17 by 알약4

    • 새로운 Nodersok 악성코드, 윈도우 PC 수 천대 감염시켜

      2019.09.27 by 알약(Alyac)

    • 문서파일 취약점을 활용한 파일리스(Fileless) 악성코드의 스텔스 위협

      2018.01.04 by 알약(Alyac)

    • 파일리스 공격에 사용 되는 USB 악성코드 발견

      2017.09.06 by 알약(Alyac)

    • 알약 2016년 보안 이슈 총정리 및 2017년 예상 이슈 발표

      2017.01.10 by 알약(Alyac)

    새로운 파일리스 악성코드, 탐지를 피하기 위해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저장소로 사용해

    New Fileless Malware Uses Windows Registry as Storage to Evade Detection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한 캠페인을 통해 전파되는 새로운 JavaScript 기반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RAT)이 "파일리스" 기술을 통해 탐지를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revailion의 연구원들이 ‘DarkWatchman’이라 명명한 이 악성코드는 탄력적 도메인 생성 알고리즘(DGA)을 사용하여 명령 및 제어(C2) 인프라를 식별하고,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활용하여 모든 스토리지 관련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안티바이러스 엔진을 우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연구원인 Matt Stafford와 Sherman Smith는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2. 17. 09:00

    새로운 Nodersok 악성코드, 윈도우 PC 수 천대 감염시켜

    Microsoft: New Nodersok malware has infected thousands of PCs 전 세계의 윈도우 컴퓨터 수천 대가 새로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감염된 시스템을 프록시로 변신시키고 클릭 사기를 수행하기 위해 Node.js 프레임워크의 복사본을 다운로드 및 실행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Nodersok'으로 시스코는 'Divergent'라 명명한 이 멀웨어는 지난 여름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사용자 컴퓨터에 강제로 HTA 파일을 다운로드한 악성광고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HTA 파일을 실행하면 엑셀, 자바스크립트, 파워쉘 스크립트를 동반한 다단계 감염 프로세스를 거쳐 마지막에는 Nodersok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이 악성코드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27. 11:20

    문서파일 취약점을 활용한 파일리스(Fileless) 악성코드의 스텔스 위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며칠 전 국내 특정 기관에서 공지한 '북한 2018년 신년사 분석' 내용으로 사칭한 HWP 취약점 기반 악성파일이 발견되었습니다. 수년 전부터 유사한 형태의 스피어 피싱(Spear Phishing) 추정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므로, 이용자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그림 1] 북한 2018년 신년사 분석으로 위장한 악성파일 실행 화면 해당 문서파일 포맷 내부에는 밀봉형 포스트스크립트(Encapsulated PostScript)인 'BIN0004.eps'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HWP 문서파일은 zlib 공개 압축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압축된 부분을 해제하면 아래 비교화면과 같이 내부의 코드를 확인할 수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 4. 17:09

    파일리스 공격에 사용 되는 USB 악성코드 발견

    USB Malware Implicated in Fileless Attacks 8월 초, 수 많은 정식 기능들을 악용한 스크립트인 JS_POWMET.DE를 사용해 파일이 없는 형태로 타겟 시스템에 설치 되는 백도어(BKDR_ANDROM.ETIN)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는 어떤 방식을 통하여 타겟 기기를 감염시켰는지 알아낼 수 없었습니다. 아마 사용자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했거나 다른 악성코드가 해당 악성코드를 드랍한 것으로 추측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 해당 백도어가 어떤 방식으로 설치되었는지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다운로드 된 것도, 드랍된 것도 아니였으며 USB 플래시 디스크를 통해 전달된것이였습니다. 기술적 세부 사항 이 USB 플래시 디스크는 아래 두 개의 악성 파일들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6. 11:06

    알약 2016년 보안 이슈 총정리 및 2017년 예상 이슈 발표

    알약 2016년 보안 이슈 총정리 및 2017년 예상 이슈 발표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 2016년 한 해동안 발생했던 보안 이슈를 돌아보고, 2017년 새롭게 부상할 보안 이슈를 예측해보았습니다. 알약은 다가오는 새 해에도 안전한 통합 보안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계속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7년 예상 보안 이슈 TOP5 1. 랜섬웨어 공격 지속랜섬웨어가 해커로 통칭되는 사이버 공격자들에게 주요한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16년 한 해 동안 공격자들이 랜섬웨어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8억 5천만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7년에도 이같은 랜섬웨어 공격 시도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은 물론 기관 및 기업의 랜섬웨어 감염 피해 규모도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7. 1. 10. 17:1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