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mageMagick

    • Ghostscript 제로데이용 PoC 익스플로잇 게시돼

      2021.09.08 by 알약4

    • Yahoo 이메일에서 Yahoobleed 취약점 발생

      2017.05.26 by 알약(Alyac)

    • ImageMagick 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6-3714) 발견 !

      2016.05.19 by 알약(Alyac)

    Ghostscript 제로데이용 PoC 익스플로잇 게시돼

    Researcher published PoC exploit for Ghostscript zero-day 보안 연구원인 Nguyen The Duc가 GitHub에 Ghostscript 제로데이 취약점에 대한 PoC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서버를 완전히 해킹하는데 악용할 수 있는 원격 코드 실행(RCE) 이슈 입니다. Ghostscript는 어도비(Adobe) 시스템의 PostScript 및 PDF 페이지 설명 언어용 인터프리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입니다. 문서 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인쇄하고, PostScript와 PDF 파일 간의 변환을 위한 페이지 설명 언어 파일의 래스터화 또는 렌더링에 주로 사용됩니다. 해당 라이브러리는 많은 서버에서 이미지 변환용으로 널리 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8. 14:00

    Yahoo 이메일에서 Yahoobleed 취약점 발생

    Yahoo 이메일에서 Yahoobleed 취약점 발생 18-Byte ImageMagick Hack Could Have Leaked Images From Yahoo Mail Server 최근 이미지 처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ImageMagick이 Yahoobleed 취약점을 발생시켜 야후 메일 사용자들의 메일에 있던 이미지 첨부파일과 신분증 등 주요 정보들이 유출될 위험해 처했습니다. 해당 취약점 발생 후, Yahoo는 ImageMagick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최근 몇 년동안 ImageMagick에서는 취약점이 끊임없이 발생하였습니다. 2014년 5월, 악의적으로 조작된 이미지를 이용해 웹서버에서 악성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 발생하였으며, 2016년, 원격코드실행 제로데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7. 5. 26. 09:30

    ImageMagick 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6-3714) 발견 !

    ImageMagick 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6-3714) 발견 ! ImageMagick 은 이미지 처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수 많은 홈페이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5월 3일, ImageMagick에서 심각한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제작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여 목표 서버에서 악의적인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운영중인 사이트에서 ImageMagick 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아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코드를 수정하여 유효한 이미지 파일만 업로드를 허용하거나, ImageMagick샌드박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조치방법 보러가기 이번 취약점이 공개된 후에 취약점 관련 EXP도 공..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9. 11:1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