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Miner

    • 가상화폐 채굴에 GitHub 인프라 악용돼

      2021.04.05 by 알약4

    • JavaScript 크립토 마이닝 스크립트가 포함된 앱 19종, 구글플레이에서 발견

      2018.02.19 by 알약(Alyac)

    • SCADA 채굴 악성코드 최초 발견!

      2018.02.09 by 알약(Alyac)

    가상화폐 채굴에 GitHub 인프라 악용돼

    Attackers are abusing GitHub infrastructure to mine cryptocurrency GitHub이 가상 화폐를 불법으로 채굴하려 하는 일련의 공격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공격은 적어도 2020년 말 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저장소에서 악성 활동을 발견해 제보하여 알려졌습니다. “저는 악성 GitHub 액션을 제작해 액션이 실행될 때 가상화폐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GitHub 사용자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공격자의 Pull request로 인해 악성 GitHub 액션이 내 GitHub 액션 내에서 트리거됐습니다."라고 유사한 공격을 받은 피해자가 밝혔다. The Record는 소프트웨어 워크플로우의 자동 실행을 허용하도록 구현된 GitHub 액션을 악용하고 있다고..

    국내외 보안동향 2021. 4. 5. 09:00

    JavaScript 크립토 마이닝 스크립트가 포함된 앱 19종, 구글플레이에서 발견

    Sophos는 최근 마이닝 스크립트가 포함된 19개의 앱들을 구글플레이에서 발견하였습니다. 이 앱들은 사용자 모르게 Coinhive 스크립트를 로드합니다. 해당 앱들 분석한 결과, App제작자들은(동일인물 혹은 동일 조직) Coinhive JavaScript 마이닝 스크립트를 app의 /assets 폴더 내 HTML 안에 숨겨놓았습니다. 사용자들이 해당 app을 실행한 후 WebView브라우저를 열면 해당 악성스크립트가 함께 실행됩니다. 만약 브라우저의 실행여부가 app에서 인증되지 않은 경우, WebView모듈은 숨겨져 보여지지 않으며, 이때 악성스크립트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게 됩니다. 만약 app이 신문리더기 혹은 교육일정 확인 기능을 한다면, Coinhive 브라우저 JavaScript 마이닝 코..

    국내외 보안동향 2018. 2. 19. 13:28

    SCADA 채굴 악성코드 최초 발견!

    SCAD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채굴 악성코드 공격이 발견되었습니다. Radiflow 연구원들은 모네로 화폐 채굴을 위해 수도 사업소의 OT(Operational Technology, 운영기술)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악성코드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네트워크 장비의 숨김 모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제작되었고 공격 대상 장비의 보안 툴 기능도 무력화시켜 채굴 작업을 가능한 오래 지속시킵니다. 이제까지는 OT 네트워크의 위협으로 랜섬웨어 공격이 주를 이루었지만, 앞으로는 이 새로운 채굴 악성코드가 OT 네트워크에 더욱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분석을 통해 발견된 감염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HTTP 통신, OT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변경, 악성 IP 연결 시도 등이 있습니다. 출처 :https:..

    국내외 보안동향 2018. 2. 9. 1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