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보기 (463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59) N
    • 국내외 보안동향 (2700)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944) N
    • 전문가 기고 (102)
    • 알약人 이야기 (61) N
    • PC&모바일 TIP (106)
    • 스미싱 알림 (454)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463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59) N
      • 국내외 보안동향 (2700)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944) N
      • 전문가 기고 (102)
      • 알약人 이야기 (61) N
      • PC&모바일 TIP (106)
      • 스미싱 알림 (454)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PC보안

    • 알약이 알려드리는 안전한 공공 와이파이 사용 수칙 5가지!

      2022.06.24 by 알약5

    • '안전하게 인터넷 연결하기' 지금 알약이 알려드립니다!

      2021.12.21 by 알약5

    •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꼭 해야할까?

      2021.09.23 by 알약5

    • 애드웨어 vs 스파이웨어 무엇이 다를까? 나를 스파잉하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삭제하세요!

      2021.01.19 by 알약5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9.20 by 알약(Alyac)

    • Trojan.Ransom.Sodinokibi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9.20 by 알약(Alyac)

    • Trojan.Ransom.Filecod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8.26 by 알약(Alyac)

    • Trojan.MSIL.Bladabindi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7.26 by 알약(Alyac)

    알약이 알려드리는 안전한 공공 와이파이 사용 수칙 5가지!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최근 사무실을 떠나 공유 오피스나 카페, 호텔 등 다양한 장소에서 업무를 보는 일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바일의 경우에도 데이터보다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해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즐기곤 하는데요. 공공 와이파이의 경우 혹시 모를 해킹의 위협이나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사용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외부에서 공공 와이파이, 공공 네트워크에 접속 할 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알아볼까요? 첫째,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신중하게 선택하기 공공 와이파이 접속 후 별다른 보안 조치를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접속할 네트워크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모르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공공 ..

    PC&모바일 TIP 2022. 6. 24. 09:00

    '안전하게 인터넷 연결하기' 지금 알약이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지난 17일, 알약이 2.5.7.7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알약 업데이트에서는 인터넷 연결시 보이는 팝업창이 개선되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함께 확인해볼까요? 1) 알약이 내 PC를 어떻게 보호하고 있는지 확인 OK! 새로운 알약이와 함께 알약이 사용자의 PC를 어떻게 보호하는 중인지 알 수 있도록 팝업창이 개선되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알약이 항상 감시하고 있어요. 시스템 파일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고 의심되면 알약이 바로 알려줘요. 24시간 지키고 있어요. 알약은 악성코드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차단해요. 안심하고 PC를 사용할 수 있어요. 기존에는 단순히 인터넷 연결이 되었음을 안내하는 내용이었다면, 위와 같이 개선된..

    PC&모바일 TIP 2021. 12. 21. 12:58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꼭 해야할까?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앱들을 일상 생활 곳곳에서 이용하는 요즘, 오늘은 안전한 PC&모바일 이용을 위해 지켜야 할 보안수칙들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더 나은 단말기 사용자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기능 개선, 버그 수정 등을 포함한 제조사의 애프터 서비스입니다.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면, 업데이트를 통해 확장/개선된 기능과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사용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버그 등의 보안 결함을 개선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기기 이용이 가능합니다. ▶ 깨알 보안상식 !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앱은 ‘와이파이 연결 시 자동 업데이트’ 기능으로 꾸준히 최신 버전을 유지..

    PC&모바일 TIP 2021. 9. 23. 15:15

    애드웨어 vs 스파이웨어 무엇이 다를까? 나를 스파잉하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삭제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어 외에도 다양한 브라우저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는 구글 크롬(Chrome)일 것입니다. 구글 크롬의 다양한 장점 중 하나는 바로 편리하고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죠. 이러한 확장 프로그램은 인터넷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능을 제공해 주는데요. 구글 계정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두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최근 12월 17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확장 프로그램에서 악성 코드를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는 15개의 악성 코드가 발견되었으며, 모두 사용자 수가 300만 명 이상인 인기 프로그램이었습..

    PC&모바일 TIP 2021. 1. 19.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URL을 통해서 유포되고 있는 악성 앱의 종류가 더욱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해당 악성 앱은 유명 택배 앱으로 위장하여 사용자를 속입니다. 또한 분석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암호화를 통해서 악성 행위와 관련된 코드를 숨기고 so 파일을 활용하여 복호화 합니다. 기기 모델, 전화 번호 등의 기기정보와 문자 관련 정보, 주소록 등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고 C&C서버를 통해 원격 명령을 보내 사용자 몰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C&C 주소도 변경할 수 있어 유의가 필요합니다. [그림] 수신 문자를 탈취하는 코드 일부 현재 알약M에서는 해당 악성 앱을“Trojan.Android.Agent”탐지 명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관련 상세 분석보고서는 T..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9. 20. 15:00

    Trojan.Ransom.Sodinokibi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입사지원서를 위장한 악성 메일을 유포하고 있는 정황이 확인되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악성 메일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위장하여 사용자에게 악성코드를 유포합니다. 주된 악성행위로 정보 탈취를 수행하고 소디노키비 랜섬웨어를 다운로드 합니다. 수집되는 정보로는 브라우저 기록 정보, 시스템 정보 등이 있습니다. 또한 가상화폐 지갑 수집 대상에 있어 사용자에게 2차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 담당자들은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첨부파일 실행을 지양하여야 하며 사용중인 백신 업데이트의 최신화와 정기점검을 습관화 하여야 합니다. [그림 1] ‘입사지원서'로 위장한 악성 메일 [그림 2] 시스템 정보 수집 코드 일부 현..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9. 20. 13:52

    Trojan.Ransom.Filecod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랜섬웨어 수가 급증하면서 파일을 암호화 하는 대신 파일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악성코드 유형이 발견되었습니다.‘GermanWiper’라 불리는 이 악성코드는 대부분 랜섬웨어와 동일한 증상을 보입니다. 제외 확장자 및 문자열이 존재하고 복호화를 위한 랜섬노트를 생성하거나 바탕화면도 변경합니다. 하지만 파일 암호화 대신 파일의 데이터를 ‘0’으로 덮어 씌운다는 점에서 기존 랜섬웨어와 차이점이 있다. 데이터가 파괴된 파일은 랜섬웨어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확장자가 추가됩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파일 암호화를 위장한 ‘Trojan.Ransom.Filecoder’에 대해 상세 분석하고자 합니다. 악성코드 상세 분석 1. 프로세스 인젝션공격자는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8. 26. 13:00

    Trojan.MSIL.Bladabindi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어벤져스 엔드게임 영화 토렌트 파일로 위장한 악성 파일이 발견되었습니다. 파일명은 ‘Avengers Endgame.2019-1080p.FHDRip.H264.AAC-RTM rcs.torrent’(이하 ‘Trojan.MSIL.Bladabindi’)로 토렌트 파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악성 행위를 하는 실행 파일입니다. 최초 악성 파일은 패킹 및 난독화되어 있으며, 50여개의 다양한 명령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 악성 행위를 시도하거나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Trojan.MSIL.Bladabindi’ 악성코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7. 26. 14:53

    추가 정보

    인기글

    1. -
      -
      Atlassian Confluenc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6134) 주의!

      2022.06.03 13:50

    2. -
      -
      매그니배르(Magniber) 랜섬웨어, 타이포스쿼팅 방식을 통해 또 다시 유포중!

      2022.06.24 16:28

    3. -
      -
      보안 솔루션을 가장한 악성 앱 분석

      2022.06.08 11:23

    4. -
      -
      새로운 ‘DogWalk’ 윈도우 제로데이 버그 발견

      2022.06.08 09:00

    최신글

    1. -
      -
      ESRC 5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 -
      -
      국회입법조사처 사칭하여 '국방·외교·안보'분야 교수 해킹을 시도하는 北 연계 해킹공격 주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3. -
      -
      [보안뉴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문종현 센터장 인터뷰!

      알약人 이야기

    4. -
      -
      OpenSSL 원격 메모리 손상 버그 주의!

      국내외 보안동향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