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rojan.Android.KRBanker

    •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3.03.24 by 알약5

    • 대출 신청서를 사칭한 신종 스미싱 공격 방식 주의!!

      2021.07.13 by 알약1

    •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1.05.21 by 알약5

    • [대출금융 위장 스미싱] Trojan.Android.KRBanker 분석 보고서

      2020.06.18 by 알약(Alyac)

    • 저금리 대출 문자메시지로 시작되는 신종 카카오톡 스미싱 공격 등장!!

      2020.04.14 by 알약(Alyac)

    •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8.11.22 by 알약(Alyac)

    • 끊임없이 진화하는 뱅킹 악성앱 주의!

      2018.03.21 by 알약(Alyac)

    • [알약 악성코드 분석리포트] Trojan.Android.KRBanker

      2014.06.02 by 알약(Alyac)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발견된 Trojan.Android.KRBanker 악성 앱은 분석을 어렵게 하기 위해 압축 해제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게 제작되어 유포되고 있습니다. 이 악성 앱은 기기에서의 설치는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설치에 문제가 없으며 설치 후 정상적으로 악성 행위를 수행합니다. 이렇게 압축 포맷을 수정하게 되면 악성 앱의 발견을 늦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백신에서 악성 앱의 탐지가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런 악성 앱은 스미싱 공격을 통해 꾸준하게 유포되고 있습니다. 공격자는 악성 앱을 개선하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악성 앱의 생존율이 높아지면 공격자는 이를 통한 수익을 실현할 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3. 24. 09:00

    대출 신청서를 사칭한 신종 스미싱 공격 방식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전화상담을 통해 대출신청서 파일을 카카오톡 메신저로 전달하는 스미싱 공격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용자에게 전달된 메시지에는 “신청서.zip”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유도하고 앱 설치에 필요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허용” 옵션까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신청서.zip” 파일 내부는 실제 대출신청서가 아니라 “신청서.apk” 안드로이드 파일이 압축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압축 파일 내의 앱을 실행하면 실제 저축은행 앱처럼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정상적인 앱으로 믿고 대출 신청을 진행하게 되지만, 실제 앱은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악성 앱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기 정보 탈취 - 공..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7. 13. 11:45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은행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의 특징은 링크로 접속 시 은행의 대출 관련 내용으로 꾸며진 가짜 웹페이지를 노출시킵니다는 점입니다. 때마침 피해자가 대출에 관심이 있다면 악성 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하게 되며 공격자는 설치된 악성 앱을 통해 피해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여 2차 공격인 보이스피싱을 수행하게 됩니다. Trojan.Andorid.KRBanker 공격은 2차 공격을 통한 금전 갈취가 주요 목적입니다. 스미싱 공격의 표적이 되어 금전 갈취를 당하게 된다면 피해자는 경제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스미싱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런 스미싱 공격들의 피해 예방은 보기보다 간단합니다. 수신 문자의 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21. 09:00

    [대출금융 위장 스미싱] Trojan.Android.KRBanker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스미싱을 통해 주로 유포되는 KRBanker 악성앱이 '간편 대출 이용안내' 키워드를 활용하여 꾸준하게 사용자들을 현혹시키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미싱 내용에는 실제 존재하는 금융기관의 이름을 활용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의심을 하지 않도록 스미싱 내 URL을 클릭 시, 실제처럼 꾸며진 가짜 은행 사이트로 접속하게 하여 공격자가 원하는 악성 앱을 사용자가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 KRBanker 스미싱 악성앱 상세 분석 은행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의 특징은 링크로 접속 시 은행의 대출 관련 내용으로 꾸며진 가짜 웹 페이지를 노출시킨다는 점입니다. 때마침 피해자가 대출에 관심이 있다면 악성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하게 되며 공격자는 설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6. 18. 18:07

    저금리 대출 문자메시지로 시작되는 신종 카카오톡 스미싱 공격 등장!!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저금리 대출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후 전화상담을 통한 사용자에게만 카카오톡 메시지를 보내어 악성 앱을 다운로드 받게 하는 최신 스미싱 공격이 등장하였습니다. [그림 1] 최신 스미싱 공격에 사용 된 문자 메시지 사용자가 받은 문자메시지에는 기존에 발견되었던 스미싱 메시지와는 다르게 악성 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당 문자메시지를 받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화상담이 이루어지고 상담이 완료된 사용자에게만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스미싱 메시지를 전달하게 됩니다. [그림 2] 카카오톡으로 전달 된 스미싱 메시지 화면 카카오톡으로 전달된 메시지에는 기존 은행에서 대출 신청 시 받는 메지시와 유사하게 꾸며져 있으며 대출 신청서 작성..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4. 14. 10:33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등을 결합한 형태로 악성 앱들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해당 앱들은 주로 1 금융 관련 앱을 사칭하였으나 최근에는 국가기관, 2 금융 사칭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기 및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기기의 통화 상태를 감시합니다. 특히, 해당 앱은 분석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중국 Qihoo 360사의 패킹 기술을 적용하였습니다. 본 분석 보고서에서는 “Trojan.Android.KRBanker”를 상세 분석하고자 합니다. 악성코드 상세 분석 1. 패킹 특징 중국 Qihoo 360사의 패킹 된 앱은 일반 앱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합니다. 앱의 권한과 컴포넌트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매니페스트를 보면 일반 안드로이드 앱에..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1. 22. 13:00

    끊임없이 진화하는 뱅킹 악성앱 주의!

    금융기관 앱을 사칭하여 기기정보 및 뱅킹 관련 정보들을 탈취하는 악성앱 변종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2013년 이후 그 수량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꾸준히 발견되고 있으며, 그 수법 또한 점점 정교해 지고 있습니다. 일단 이러한 악성앱에 감염되면 중요 금융정보들을 탈취당하여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존 악성 뱅킹앱들은 은행들을 사칭하여 기기정보 및 뱅킹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가 직접 기입하도록 유도하여 탈취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악성 뱅킹앱들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행동 없이도 주소록, 문자 메세지를 몰래 탈취하고, 특정 대부업체로 전화를 걸면 이를 자동으로 가로채게 하여 공격자가 원하는 번호로 변경하는 행위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알아차리기 어려워졌습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3. 21. 11:43

    [알약 악성코드 분석리포트] Trojan.Android.KRBanker

    Trojan.Android.KRBanker -ALYac Division Malware Research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73%에 달합니다. 이는 국민 10명중 7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폭발적인 스마트폰 성장세에 발맞춰, 악성앱 또한 폭발적인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악성앱 중 현재 국내에서 가장 위협적인 악성앱은 문자메시지로 유포되고 있는 스미싱(SMS + Phising의 합성어)앱입니다. 스미싱 메시지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기업에서 보내는 메시지로 가장하고 있어, 무심코 URL을 클릭하는 등 메시지에 반응하면 금전적으로 손실을 입거나, 민감한 금융정보를 도난 당하게 됩니다. ‘Trojan.Android.KRBanker’는 사용자의 금융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4. 6. 2. 11: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