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 원격 데스크톱에 영향을 미치는 Windows 10 인증 문제 수정

      2021.10.1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10월 패치 화요일 통해 윈도우 취약점 71개 수정

      2021.10.14 by 알약4

    • 윈도우 관리자 권한 얻게 하는 Razer의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돼

      2021.08.23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Print Spooler RCE 제로데이 취약점 경고해

      2021.08.13 by 알약4

    • Microsoft, 2021년 8월 패치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 공개해

      2021.08.12 by 알약4

    • 치명적인 Microsoft Hyper-V 취약점(CVE-2021-28476) 주의!

      2021.07.2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PetitPotam 공격에 대한 완화책 발표

      2021.07.27 by 알약4

    • Sysrv-hello 봇넷, 공격에 14개의 취약점 추가적으로 악용해

      2021.04.01 by 알약4

    마이크로소프트, 원격 데스크톱에 영향을 미치는 Windows 10 인증 문제 수정

    Microsoft fixes Windows 10 auth issue impacting Remote Desktop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패치 화요일을 통해 릴리스된 누적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연결을 시도할 때 스마트 카드 인증이 실패하는 Windows 10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KB5005611 이상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신뢰할 수 없는 도메인의 장치에 연결할 때 스마트 카드 인증을 사용하면 연결 인증에 실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문제의 영향을 받는 Windows 플랫폼에는 클라이언트(Windows 10 21H1, Windows 10 20H2 및 Windows 10 2004)와 서버(Windows Server 2022, Windo..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19. 11:44

    마이크로소프트, 10월 패치 화요일 통해 윈도우 취약점 71개 수정

    Update Your Windows PCs Immediately to Patch New 0-Day Under Active Attack 마이크로소프트가 10월 패치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71개의 Windows 취약점을 수정했습니다. 4개의 제로데이 취약점 해결된 보안 결함 중 2개는 심각도가 높음, 68개는 중요, 1개는 심각도가 낮음으로 평가되었으며, 4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CVE-2021-40449 (CVSS 점수: 7.8) - Win32k 권한 상승 취약점 CVE-2021-41335 (CVSS 점수: 7.8) - Windows 커널 권한 상승 취약점 CVE-2021-40469 (CVSS 점수: 7.2) - Windows DNS 서버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CVE-2021-4..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14. 15:00

    윈도우 관리자 권한 얻게 하는 Razer의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돼

    Razer bug lets you become a Windows 10 admin by plugging in a mouse Razer 마우스나 키보드를 연결하면 Windows 관리자 권한을 얻을 수 있는 Razer Synapse 제로데이 취약점이 Twitter에 공개되었습니다. Razer는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게임용 마우스 및 키보드 제조업체이며, Razer Synapse는 사용자가 하드웨어 장치를 구성하거나 매크로를 설정하고 버튼을 매핑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Razer 장치를 Windows 10 또는 Windows 11에 연결하면 운영 체제가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컴퓨터에 Razer Synapse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제로데이 취약점은 Razer Synapse..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3. 11:3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Print Spooler RCE 제로데이 취약점 경고해

    마이크로소프트가 CVE-2021-36958로 추적되는 Windows Print Spool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 경고하는 보안 권고를 게시했습니다. Windows Print Spooler 서비스가 권한 있는 파일 작업을 부적절하게 수행하는 경우,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이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SYSTEM 권한으로 임의 코드를 실행하고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CVSS 점수 7.3을 받았으며 Microsoft는 이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 방법은 Print Spooler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CVE-2021-36958 취약점에 대한 공개 익스플로잇은 악의적인 공유 프린터에 연결하기 위해 SMB를 활용합니다. SMB 리소스에 대한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3. 11:30

    Microsoft, 2021년 8월 패치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 공개해

    Actively Exploited Windows Zero-Day Gets a Patch Microsoft가 8월 패치 화요일 업데이트에서 7개의 중요한 취약점, 공개되었지만 패치되지 않았던 2개의 취약점, 1개의 제로데이를 포함하여 51개의 취약점을 패치했습니다. 보안 업데이트에는 17개의 권한 상승(EoP) 취약점, 13개의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 8개의 정보 공개 취약점, 2개의 서비스 거부(DoS) 취약점에 대한 패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8월에 해결된 7가지 중요한 취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CVE-2021-26424 - Windows TCP/IP RCE 취약점 CVE-2021-26432 - Windows 서비스의 NFS ONCRPC XDR 드라이버 RCE 취약점 CVE-2021-344..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2. 11:40

    치명적인 Microsoft Hyper-V 취약점(CVE-2021-28476) 주의!

    CVE-2021-28476로 등록된 Microsoft의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수정되었지만 많은 조직들이 여전히 패치를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게스트 VM이 임의의 잠재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주소에서 Hyper-V 호스트의 커널을 강제로 읽도록 허용합니다. 주소의 내용은 게스트 VM으로 반환되지 않으며, 매핑되지 않은 주소 읽기로 인해 Hyper-V 호스트의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웨어 장치의 특정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호스트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zure 서비스는 이 문제로부터 안전하지만 일부 로컬 Hyper-V는 패치가 배포될 때 모든 관리자가 Windows 컴퓨터를 업데이트하..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29. 12:00

    마이크로소프트, PetitPotam 공격에 대한 완화책 발표

    Microsoft publishes mitigations for the PetitPotam attack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격자가 도메인 컨트롤러를 탈취하도록 허용하는 PetitPotam NTLM 공격에 대한 완화법을 공개했습니다. 며칠 전, 보안 연구원인 Gilles Lionel(Topotam으로도 알려짐)은 공격자가 원격으로 윈도우 기기에서 시스템을 강제로 인증하고 비밀번호 해시를 공유하도록 허용하는 Windows OS의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공격은 원격으로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되는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유지 보수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EFSRPC(Encrypting File System Remote) 프로토콜을 악용합니다. PetitPotam 기술은 지원되는 대부분의 W..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27. 09:00

    Sysrv-hello 봇넷, 공격에 14개의 취약점 추가적으로 악용해

    仅仅一周,那个打鸡血的Sysrv-hello僵尸网络又多了14种漏洞武器 Tencent Security Threat Intelligence Center는 작년 12월에 발견된 Sysrv-hello 봇넷이 최근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을 감지했습니다.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과 같은 다양한 악성 소프트웨어에 대한 포괄적인 공격 기능을 갖추고 있는 Sysrv-hello 봇넷의 공격 대상은 Linux와 Windows 운영 체제를 모두 포함합니다. Tencent Security는 올해 1월, Sysrv-hello 봇넷이 Weblogic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0-14882)을 사용하여 확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2021년 3월에 Sysrv-hello 봇넷은 5가지 새로운 공격 방법을 추가했으며 1..

    국내외 보안동향 2021. 4. 1. 15: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