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ebay

    • REvil 랜섬웨어 그룹, 훔친 데이터를 판매하는 경매 사이트 공개해

      2020.06.03 by 알약(Alyac)

    • 유명 웹사이트 다수, 방문자 포트 스캔해

      2020.06.01 by 알약(Alyac)

    • 구글 검색의 가짜 이베이(eBay) 광고, 기술 지원 사기로 이어져

      2019.03.21 by 알약(Alyac)

    • 해커들이 eBay 및 Amazon에서 판매하는 700달러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출입카드를 복제하였다.

      2016.05.16 by 알약(Alyac)

    • eBay, 멀웨어를 배포할 수 있는 웹사이트 내 결점 고치지 않겠다고 선언

      2016.02.04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이베이(eBay) 데이터 유출, 페이팔(Paypal) 정보는?

      2014.05.22 by 알약(Alyac)

    REvil 랜섬웨어 그룹, 훔친 데이터를 판매하는 경매 사이트 공개해

    REvil ransomware gang launches auction site to sell stolen data REvil(Sodinokibi) 랜섬웨어 운영자가 해킹한 회사의 데이터를 판매하기 위해 eBay와 유사한 경매 사이트를 런칭했습니다. 이 경매 포털은 REvil 랜섬웨어가 가장 최근 내 놓은 협박 전략으로, 다시 한번 랜섬웨어 계의 트렌드세터로 자리매김했습니다. REvil 랜섬웨어는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공격적인 랜섬웨어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 소비자가 아닌 기업을 노립니다. 이들은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기업 네트워크에 침투해 피해자의 파일을 암호화한 후 천문학적인 랜섬머니를 요구합니다. (평균 금액 ~$260,000 상당) 또한 REvil은 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3. 09:37

    유명 웹사이트 다수, 방문자 포트 스캔해

    List of well-known web sites that port scan their visitors 많은 유명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로컬 컴퓨터에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포트를 스캔하는 사기 방지 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주, eBay.com 사이트에서 방문자 컴퓨터의 포트를 스캐닝한다는 소식이 보도되었습니다. 이 포트 스캐닝은 LexisNexis의 ThreatMetrix 사기 방지 스크립트가 실행하며, 해킹된 컴퓨터가 사기성 구매를 시도하는지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능이 실행될 경우 웹소켓을 사용하여 방문자의 컴퓨터에서 TCP 포트 14개를 스캔합니다. 이 포트는 모두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합법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 14:30

    구글 검색의 가짜 이베이(eBay) 광고, 기술 지원 사기로 이어져

    Fake eBay Ad in Google Search Led to Tech Support Scams 지난 주, 이베이 광고로 보이게 만든 가짜 광고가 구글 검색 결과 창에 표시되었습니다. 사용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이베이 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잠그려 시도하는 기술 지원 사기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기술 지원 사기 사이트는 정식 회사인 것처럼 위장하는데 위장이 매우 능숙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검색 엔진의 골칫거리였습니다. 이번 케이스는 기술 지원 사기 사이트는 ‘클로킹(Cloaking)’이라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 방법은 공격자들이 구글(Google), 빙(Bing) 및 기타 검색 엔진의 광고 리뷰 프로세스를 우회하는데 사용됩니다. ※ 클로킹(Cloaking) 이란? 사용..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21. 13:24

    해커들이 eBay 및 Amazon에서 판매하는 700달러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출입카드를 복제하였다.

    해커들이 eBay 및 Amazon에서 판매하는 700달러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출입카드를 복제하였다.Hackers can break into a facility by spending $700 on Amazon or eBay 최근 해커들이 Tech Insider에서 아마존과 eBay에서 구매한 약 700달러 가치의 전자부품들을 이용하여 출입카드를 복제하는 시연들 보였으며, 이 복제한 출입카드를 이용하면 어느 사무실이든지 출입이 가능하였습니다. Tech Insider는 "우리는 해커가 24시간 내에 어느 전자회사에 침투를 성공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metrofader라고 알려진 해커는 출입증 목걸이를 꺼내보였고, 출입증 찍는 기기에 카드를 대자 문이 바로 열렸습니다. 사실 사용한 출입카드는 이전에 탈취된 데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6. 10:33

    eBay, 멀웨어를 배포할 수 있는 웹사이트 내 결점 고치지 않겠다고 선언

    eBay, 멀웨어를 배포할 수 있는 웹사이트 내 결점 고치지 않겠다고 선언 eBay refuses to patch website flaw that can serve up malware eBay가 공격자가 원격으로 유저의 브라우저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을 수정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Check Point는 eBay의 코드 승인을 우회하고 원격으로 악성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취약점을 공개하였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이용하면 사용자 PC의 데이터를 훔칠 수 있으며, 암호화 되지 않은 사이트에 피싱, 악성코드 자동 다운로드 등을 위한 코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플랫폼에서 스크립트와 아이프레임 로딩이 막혀있기 때문에, 공격자는 악성 컨텐츠를 삽입하기 위하여 비표준 프로그래밍..

    국내외 보안동향 2016. 2. 4. 16:55

    [해외보안동향] 이베이(eBay) 데이터 유출, 페이팔(Paypal) 정보는?

    eBay Users Advised to Change Passwords; PayPal’s Status Still Uncertain 이베이 사용자들 패스워드 변경 필요; 페이팔 상태 불확실해 사진 출처: eBay Blog 이베이에서 데이터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사용자들의 민감 정보가 새어나간 만큼 이베이측은 모든 이베이 사용자들에게 패스워드를 변경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현재까지 이베이 소유의 페이팔 크리덴셜이 유출된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베이는 "현재 광범위한 포렌직 연구가 진행중이며, 아직까지 페이팔 고객들의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접근이나 유출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페이팔 고객들과 금융 데이터는 암호화 되어있으며, 다른 정보와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

    국내외 보안동향 2014. 5. 22. 14: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