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1)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2)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89)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1)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2)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89)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2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8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mb

    • SMBleed: 윈도우 SMB 프로토콜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2020.06.10 by 알약(Alyac)

    • TrickBot 공격 집단의 새로운 모듈 'nworm' 발견

      2020.06.01 by 알약(Alyac)

    •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수천 곳, 새로운 Blue Mockingbird 그룹의 악성코드에 감염

      2020.05.26 by 알약(Alyac)

    • 스스로 확산되는 LockBit 랜섬웨어, 시스템 225개 빠르게 감염시켜

      2020.05.06 by 알약(Alyac)

    • 마이크로소프트, 악성코드 차단을 위해 Exchange 관리자에 SMBv1 비활성화 권장

      2020.02.13 by 알약(Alyac)

    • Samba UAF(CVE-2017-14746) 및 메모리 유출 취약점(CVE-2017-15275) 주의!

      2017.12.05 by 알약(Alyac)

    • Bad Rabbit 랜섬웨어, NSA 익스플로잇 사용해

      2017.10.27 by 알약(Alyac)

    • SambaBleed(CVE-2017-12163) 취약점 발견!

      2017.09.25 by 알약(Alyac)

    SMBleed: 윈도우 SMB 프로토콜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SMBleed: A New Critical Vulnerability Affects Windows SMB Protocol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공격자가 이를 악용할 경우 원격으로 커널 메모리를 유출할 수 있으며 이전에 공개된 웜 취약점과 병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 공격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MBleed(CVE-2020-1206)"라 명명된 이 취약점은 SMB의 압축 해제 기능에 존재합니다. 이는 취약한 윈도우 시스템을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악성코드 공격에 노출시키는 3개월 전 밝혀진 SMBGhost 또는 EternalDarkness 취약점(CVE-2020-0796)에 존재했던 것과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0. 09:30

    TrickBot 공격 집단의 새로운 모듈 'nworm' 발견

    Nworm: TrickBot gang’s new stealthy malware spreading module Trickbot 뱅킹 트로이목마가 한 단계 더 진화해 스텔스 모드를 사용하여 탐지되지 않은 채 조용히 윈도우 도메인 컨트롤러를 감염시키는 새로운 악성코드 확산 모듈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뱅킹 트로이목마로 시작된 TrickBot 악성코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악성 모듈을 추가하여 진화해 왔습니다. 이 악성 모듈의 역할은 네트워크를 통한 측면 확산, 활성 디렉터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탈취, 쿠키 및 OpenSSH 키 탈취, RDP/VNC/PuTTY 크리덴셜 탈취 등이 있었습니다. 또한 TrickBot은 네트워크 침투 후 랜섬웨어를 배포하기 위해 Ryuk과 같은 랜섬웨어 운영자들과 함께 파트너를..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 08:40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수천 곳, 새로운 Blue Mockingbird 그룹의 악성코드에 감염

    Thousands of enterprise systems infected by new Blue Mockingbird malware gang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수천 곳이 Blue Mockingbird 해킹 그룹의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보입니다. Red Canary의 악성코드 분석가가 이달 초 발견한 Blue Mockingbird 그룹은 2019년 12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연구원들은 Blue Mockingbird가 ASP.NET 앱을 사용하며 UI 컴포넌트로 Teleric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인터넷에 공개된 서버를 공격한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들은 CVE-2019-18935 취약점을 악용하여 해킹한 서버에서 웹 셸을 설치합니다. 이후 Juicy Potato 기술을 통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6. 09:59

    스스로 확산되는 LockBit 랜섬웨어, 시스템 225개 빠르게 감염시켜

    LockBit ransomware self-spreads to quickly encrypt 225 systems LockBit 랜섬웨어가 단 몇 시간 만에 기업 네트워크를 해킹하고 수 백대 기기에 랜섬웨어를 배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 9월 시작된 LockBit은 비교적 새로운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입니다. 개발자는 지불 사이트와 악성코드 개발을 담당하고, 협력자들은 이 서비스에 가입해 랜섬웨어를 배포합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LockBit 개발자는 랜섬머니의 약 25~40%를, 배포를 맡은 협력자는 60~75%를 가져갑니다. 단 3시간 만에 기업 네트워크 암호화해 이 사건 대응을 담당한 McAfee Labs와 Northwave는 공동으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는 LockBit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6. 08:53

    마이크로소프트, 악성코드 차단을 위해 Exchange 관리자에 SMBv1 비활성화 권장

    Microsoft Urges Exchange Admins to Disable SMBv1 to Block Malware 마이크로소프트가 Exchange 서버에서 악성코드와 공격 위협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SMBv1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비활성화 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6년부터 관리자들에게 네트워크에서 SMBv1 지원을 중단할 것을 권장해왔습니다. SMBv1에는 이후 버전에 추가된 보안 기능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후 버전에 추가된 보안 기능은 암호화, 중간자 공격(MitM)을 방지하기 위한 무결성 체크, 안전하지 않은 게스트 인증 차단 등이 있습니다. “최근 공격(Emotet, TrickBot, WannaCry 등)으로부터 Exchange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Exchang..

    국내외 보안동향 2020. 2. 13. 08:43

    Samba UAF(CVE-2017-14746) 및 메모리 유출 취약점(CVE-2017-15275) 주의!

    Samba는 Linux와 Unix환경에서 SMB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SW로, *nix영역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 9월, Samba SMB1 프로토콜에서 UAF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취약점은 Samba 4.0.0 이전 버전들이 영향을 받습니다. 취약점 번호는 CVE-2017-14746입니다. * UAF 취약점 : UAF 취약점이란 Use-After-Free 공격의 약자로, 메모리 해제 후 재사용에 관한 취약점 입니다. 그리고 2017년 11월 21일, RedHat은 메모리 유출 취약점을 발견하였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만든 request를 영향받는 버전의 Samba를 사용하는 서버에 전송하여 메모리에 있는 정보들을 유출시킬 수 있습니..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2. 5. 14:29

    Bad Rabbit 랜섬웨어, NSA 익스플로잇 사용해

    Bad Rabbit Ransomware Outbreak Also Used NSA Exploit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큰 혼란에 빠지게 한 Bad Rabbit 랜섬웨어 사건이 발생한지 이틀 후, 보안 연구원들은 계속해서 해당 멀웨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커스텀 스캐닝 매커니즘을 사용해 초기 피해자로부터 근처 컴퓨터로 배포되는 것으로 추측 되었으나, 금일 새로이 발표 된 보고서에 의하면 Bad Rabbit은 배포 프로세스를 강화하기 위해 수정 된 버전의 NSA 익스플로잇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SA가 개발하고 온라인에 유출 된 사이버 무기를 글로벌 랜섬웨어가 악용한 것은 올해만 세 번째입니다. WannaCry가 NSA 사이버 무기를 사용한 첫 번째 랜..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0. 27. 16:06

    SambaBleed(CVE-2017-12163) 취약점 발견!

    해당 취약점은 Samba SMB1에 존재하는 것으로, 쓰기 권한이 있는 Samba 계정을 갖고 있는 공격자가 원격에서 Samba 서버의 메모리 정보를 탈취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취약점 내용 SMBv1 프로토콜이 사용자 request 범위에 대해 엄격히 검사하지 않아 사용자가 이미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여 서버의 메모리 정보가 파일에 작성되도록 허용합니다. 하지만 서버 메모리 내 어떠한 정보가 유출될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17-12163 영향받는 버전 모든 Samba 버전 패치방법 1) Samba 4.6.8, 4.5.14 및 4.4.16로 업데이트 (▶ 참고)2) SMBv2 사용smb.conf의 [global]에서 설정을 "server min protocol = SMB2..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5. 15: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