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요즘 많은 웹사이트와 앱에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하기’와 같은 간편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복잡한 회원가입 과정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매우 편리한 방식인데요.
하지만 이렇게 편리한 간편 로그인, 과연 안전할까요? 계정을 하나로 통합해 사용하면 해킹 위험이 커지는 것은 아닐까요? 많은 분들이 간편 로그인 기능을 활용하면서도 보안에 대한 우려를 갖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간편 로그인에 숨어 있는 보안 위협과 이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간편 로그인, 편리함 속의 보안 리스크
간편 로그인이 해킹에 취약한 이유는 단순합니다. 하나의 계정이 여러 개의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해커가 사용자의 메인 계정(예: 구글, 카카오 계정)에 침입할 경우, 이 계정을 이용해 로그인된 모든 서비스에 무단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실제 피해 사례
✅ 2023년, 유명 SNS 플랫폼에서 간편 로그인을 악용한 계정 탈취 사건이 발생
✅ 사용자의 구글 계정이 유출되면서 연결된 쇼핑몰, 금융 서비스까지 접근 가능
✅ 공격자는 이를 활용해 금융 거래를 시도하고 개인정보를 유출
또한, 간편 로그인은 피싱 공격에도 취약합니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어 사용자가 계정을 입력하도록 유도한 뒤, 해커가 해당 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입니다.
간편 로그인 기능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면, 최대한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하게 간편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해 지금 소개해드리는 보안 수칙들을 실천해 보세요.
간편 로그인 안전하게 사용하는 보안 수칙
⚠️이중 인증(2FA) 활성화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서비스에서 이중 인증(OTP, 문자 인증)을 설정하면, 계정이 탈취되더라도 추가 인증이 필요하여 해킹을 막을 수 있습니다.
⚠️출처 불분명한 로그인 요청 차단
이메일이나 문자로 온 로그인 요청 링크를 함부로 클릭하지 않고, 항상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서 직접 로그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로그인 기록 정기적으로 확인하기
계정 설정에서 로그인된 기기 및 접속 기록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기는 로그아웃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연결 해제
여러 서비스에 연결된 계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글 마이액티비티(https://myaccount.google.com/permissions)등을 활용해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의 접근 권한을 제거하세요.
간편 로그인은 편리하지만, 보안 위협이 도사리고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계정 하나만 뚫려도 수십 개의 서비스가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설정을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계정 탈취의 위험이 점점 높아지는 만큼, 기업 및 기관에서는 사내 임직원들의 안전한 로그인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스트시큐리티의 보안 솔루션도 고려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알약’ 은 뛰어난 탐지율을 보장하는 듀얼엔진을 탑재하여 글로벌 위협 요소로부터 시스템을 빈틈없이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며, 피싱 페이지를 통해 배포될 수 있는 랜섬웨어와 키로거 등의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PC에서는 해커가 취약점을 통해 계정을 가로챌 수도 있는데요. 이를 예방하려면 보안 취약점을 점검하고, 최신 패치를 자동 적용할 수 있는 ‘알약 내PC지키미’ 와 ‘알약패치관리(PMS)’ 를 사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보안은 한 번 설정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바로 지금 내 계정의 로그인 기록을 확인하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 계정을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작은 습관이 기업과 개인의 보안을 지키는 강력한 방패가 됩니다.
더 많은 보안 솔루션은 아래 배너를 클릭하여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
[이스트소프트x이스트시큐리티] ‘파트너 킥오프 2025’ 성료 소식! (0) | 2025.02.18 |
---|---|
설문조사 통계로 알아본 '생성형 AI 시대, 기업 보안의 현실과 해법' (1) | 2025.01.23 |
서버 증설 없이 늘어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0) | 2025.01.23 |
[영화 속 보안 이야기] 이메일 보안 위협, 우리 회사는 안심해도 될까? (1) | 2025.01.17 |
생성형 AI 도입, 기업 보안은 충분히 대비하고 계신가요? (0) | 2024.12.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