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Windows 최신 보안 업데이트(KB5012170) 이후, BitLocker 복구로 부팅되는 버그 발생

      2022.08.25 by 알약4

    • GitLa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884) 주의!

      2022.08.24 by 알약4

    • 리눅스 커널 익스플로잇 DirtyCred 공개!

      2022.08.23 by 알약4

    • 애플, 브라우저 및 커널에 존재하는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0-32893, CVE-2022-32894) 패치 공개!

      2022.08.18 by 알약4

    • 구글 크롬(Chrome), CVE-2022-2856 제로데이 취약점 패치 공개!

      2022.08.18 by 알약4

    • CISA,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에 대해 빠른 패치 권고

      2022.08.11 by 알약4

    • 8월 패치 화요일, 'DogWalk' (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121개 취약점 수정

      2022.08.10 by 알약4

    • Cisco VPN router RV 시리즈 취약점(CVE-2022-20842, CVE-2022-20827, CVE-2022-20841) 주의!

      2022.08.08 by 알약4

    Windows 최신 보안 업데이트(KB5012170) 이후, BitLocker 복구로 부팅되는 버그 발생

    MS는 2022년 8월 9일에 릴리스된 Secure Boot DBX용 보안 업데이트(KB5012170)를 설치한 후 다시 시작할 때 BitLocker 복구로 들어가는 버그가 확인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버그는 Secure Boot DBX용 보안 업데이트( KB5012170)에서 발생하며, 22년 8월 릴리즈 된 최신 누적 보안 업데이트, 월간 롤업 또는 보안 전용업데이트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해당 버그는 Windows11 21H2 일부에서 발생하며, 이에 MS는 BitLocker를 사용하는 PC에 KB5012170 보안업데이트를 적용하려면 BitLocker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버그로 인해 BitLocker 복구 페이지로 부팅 되었을 경우, 여기를 참고하여 해결하라고 안..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25. 14:15

    GitLa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884) 주의!

    GitLab이 GitLab CE(Community Edition)와 EE(Enterprise Edition) 버전 모두에서 존재하던 원격코드실행취약점(CVE-2022-2884)을 패치하였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인증된 사용자가 원격에서 GitHub API엔드포인트에서 가져오기를 통하여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2-2884 영향받는 버전 GitLab CE/EE 11.3.4이상 15.1.5 미만의 모든 버전 GitLab CE/EE 15.2.3 미만의 모든 버전 GitLab CE/EE 15.3.1 이전의 모든 버전 패치방법 GitLab CE/EE 15.1.5로 업데이트 GitLab CE/EE 15.2.3로 업데이트 GitLab CE/EE 15.3.1로 업데이트 참고 : htt..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24. 09:29

    리눅스 커널 익스플로잇 DirtyCred 공개!

    블랙햇 보안 컨퍼런스에서 Dirty Cred라는 새로운 Linux 커널 공격방식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는 Dirty Pipe와 같이 Linux 커널을 악용하였지만, 다른 전략을 사용합니다. Dirty Pipe는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는 SUID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읽기 전용 파일에 데이터를 삽입하고 덮어쓸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하지만 컨테이너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일반적인 악용방법이 아니라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이와 비교하였을 때 이번에 발견된 Dirty Cred의 경우 악용이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컨테이너에서 적극적으로 탈출할 수 있습니다. DirtyCred는 권한이 없는 커널 자격증명을 권한이 있는 자격증명과 교환하여 권한상승을 하는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를 통하여 Lin..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23. 16:04

    애플, 브라우저 및 커널에 존재하는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0-32893, CVE-2022-32894) 패치 공개!

    애플(Apple)이 현재 공격자들이 적극적으로 악용하고 있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0-32893, CVE-2022-32894)에 대한 긴급 업데이트를 공개하였습니다. CVE-2022-32893 취약점은 Apple의 브라우저 및 웹킷(WebKit)에 존재하는 원격코드실행(RCE)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제작한 웹 컨텐츠를 통하여 임의 코드실행이 가능하도록 허용합니다. CVE-2022-32894 취약점은 커널에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커널 권한으로 임의코드실행이 가능하도록 허용합니다. 해당 취약점들은 현재 공격자들이 적극적으로 악용중인만큼, iPad 및 iOS 사용자 여러분들은 15.6.1 버전으로, macOS 몬터레이(Monterey)사용자 여러분들은 12.5.2 버전으로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8. 10:29

    구글 크롬(Chrome), CVE-2022-2856 제로데이 취약점 패치 공개!

    구글이 최신버전의 크롬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패치를 공개한 제로데이 취약점은 CVE-2022-2856으로, Intents의 신뢰할 수 없는 입력에 대한 불충분한 유효성 검사에 의해 발생합니다. 구글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업데이트 할 때까지 취약점의 세부정보 및 링크에 대한 엑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CVE-2022-2856취약점을 포함한 11개의 보안관련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 공격자들이 악용중이기 때문에, 윈도우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104.0.5112.102/101 버전으로, macOS 및 Linux용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104.0.5112.101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 구글은 연초 이후 이번 업데이트까지 포함하여..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8. 09:24

    CISA,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에 대해 빠른 패치 권고

    미국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이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을 알려진 악용된 취약점(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에 추가하였습니다. CVE-2022-34713 CVE-2022-34713 취약점은 DogWalk로 알려진 취약점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진단 도구(MSDT)에 존재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MS 8월 정기 업데이트때 패치가 공개되었습니다. CVE-2022-30333 CVE-2022-30333 취약점은 Linux 및 Unix 시스템용 UnRAR에 존재하는 유틸리티 경로 탐색 버그로, 공격자가 압축 해제 작업 중 파일을 쓸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공격자들은 해당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1. 11:00

    8월 패치 화요일, 'DogWalk' (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121개 취약점 수정

    Microsoft는 8월 패치 화요일에 121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여기에는 'DogWalk' 제로데이(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수정된 DogWalk로 알려진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진단 도구(MSDT)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34713)은 2020년 1월 처음 발견되었지만, MS는 보안이슈가 아니라는 이유로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후 발견된 MS 지원진단도구(MSDT)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Follina(CVE-2022-30190)가 DogWalk 취약점의 변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번 8월 정기 업데이트에서 패치를 공개하였습니다. DogWalk 취약점은 현재 공격자들에 의해 활발히 악용중으로 빠른 패치가 필요합..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0. 15:54

    Cisco VPN router RV 시리즈 취약점(CVE-2022-20842, CVE-2022-20827, CVE-2022-20841) 주의!

    Cisco Small Business RV160, RV260, RV340 및 RV345 시리즈 라우터에서 여러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들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임의코드실행이 가능하거나 서비스 거부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내용 Cisco Small Business RV 시리즈 라우터 원격 코드 실행 및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22-20842) Cisco RV340, RV340W, RV345 및 RV345P 듀얼 WAN 기가비트 VPN 라우터의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임의코드실행이 가능하거나 예기치않게 다시 시작되어 서비스 거부(DO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isco Small Business RV 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8. 15:55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