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애플,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 패치!

      2022.10.27 by 알약4

    • 구글 크롬, 2023년 2월에 Windows 7,8.1에 대한 지원 중단 예정

      2022.10.26 by 알약4

    • 10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85개의 취약점 수정

      2022.10.13 by 알약4

    • MS, Exchange Server에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1040, CVE-2022-41082)에 대한 고객 지침 업데이트

      2022.10.06 by 알약4

    • WhatsApp, 해커가 코드를 실행하고 원격으로 전체 앱 권한 획득 가능한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2022.09.27 by 알약4

    • Cobalt Strik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39197) 주의!

      2022.09.23 by 알약4

    • Apache Kafka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22-34917) 주의!

      2022.09.22 by 알약4

    • 9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63개 취약점 수정

      2022.09.14 by 알약4

    애플,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 패치!

    애플이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을 패치하였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iOS 및 iPadOS 커널에서 메모리 범위를 벗어난 쓰기를 통하여 커널 권한으로 디바스에서 임의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2-42827 영향받는 버전 iOS 16.1 미만 모든 버전 iPadOS 16 미만 모든 버전 패치방법 iOS 16.1 버전으로 업데이트 iPadOS 16 버전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support.apple.com/en-us/HT213489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27. 16:20

    구글 크롬, 2023년 2월에 Windows 7,8.1에 대한 지원 중단 예정

    구글 크롬브라우저는 공지사항을 통하여 2023년 2월부터 윈도우 7과 8.1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원이 중단되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매월 MS에서 제공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어 해킹당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에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안전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위하여 보안 업데이트를 계속 받을 수 있는 Windows 10 이상으로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26. 14:13

    10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85개의 취약점 수정

    Microsoft는 10월 패치 화요일에 85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85개의 취약점에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패치된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COM+ 이벤트 시스템 서비스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2-41033)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는 SYSTEM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 정보 유출 취약점(CVE-2022-41043)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사용자의 인증 토큰에 접근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번 패치 화요일에는 ProxyNotShell이라고 불리는 CVE-2022-41040, CVE-2022-41082 두 가지 제로데이 취약점에 대한 패치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 두 취약점은 Microsoft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13. 11:07

    MS, Exchange Server에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1040, CVE-2022-41082)에 대한 고객 지침 업데이트

    22년 9월 29일, MS는 Microsoft Exchange Server 2013, Exchange Server 2016 및 Exchange Server 2019에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에 대한 내용을 공개하였습니다.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은 CVE-2022-41040, CVE-2022-41082로, ProxyNotShell이라고 불립니다. CVE-2022-41040는 SSRF 취약점으로, Exchange Server에 대한 인증된 공격자가 CVE-2022-41082 취약점을 트리거 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CVE-2022-41082 취약점은 공격자가 Microsoft Exchange Server에서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하도록 허용합니다. 이 두 개의 취약점은 현재 공격에 악용중이며, 이..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6. 15:14

    WhatsApp, 해커가 코드를 실행하고 원격으로 전체 앱 권한 획득 가능한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메신저 앱 중 하나인 WhatsApp이 안드로이드 및 iOS 버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제로데이 취약점 두가지를 수정했습니다. 취약점 번호 정수 오버플로 버그(CVE-2022-36934)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화상 통화중에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특수하게 조작된 임의 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정수 언더플로 버그(CVE-2022-27492)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임의로 코드 실행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단,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기위해서는 사용자 상호 작용이 필요합니다. 영향받는 버전 CVE-2022-36934 안드로이드용 v2.22.16.12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용 비즈니스 v2.22.16.12 이전 버전 iOS v2.22.16.12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9. 27. 10:25

    Cobalt Strik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39197) 주의!

    Cobalt Strike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Cobalt Strike의 Beacon에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공격자는 Beacon 구성에서 가짜 사용자 이름을 설정하여 XSS 트리거 하여 CS Server 에서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취약점번호 CVE-2022-39197 영향받는 버전 Cobalt Strike 4.7 이하 버전 패치방법 Cobalt Strike 4.7.1 버전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www.cobaltstrike.com/blog/out-of-band-update-cobalt-strike-4-7-1/

    국내외 보안동향 2022. 9. 23. 09:17

    Apache Kafka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22-34917) 주의!

    Apache Kafka에서 서비스 거부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은 클라이언트가 브로커(Broker)에게 많은 양의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이를 통해 브로커가 OutOfMemoryException을 발생시키고 서비스 거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2-34917 영향받는 버전 apache kafka 2.8.0 - 2.8.1 버전 apache kafka 3.0.0 - 3.0.1 버전 apache kafka 3.1.0 - 3.1.1 버전 apache kafka 3.2.0 - 3.2.1 버전 패치방법 apache kafka 2.8.2, 3.0.2, 3.1.2, 3.2.3 버전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kafka.apache.org/cve-..

    국내외 보안동향 2022. 9. 22. 15:56

    9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63개 취약점 수정

    Microsoft는 9월 패치 화요일에 63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63개의 취약점에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패치된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공용 로그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 권한상승 취약점(CVE-2022-37969) 해당 취약점은 CLFS 드라이버 취약점으로, 성공적으로 악용 시 공격자가 시스템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캐시 추측 제한 취약점(CVE-2022-23960) Spectre-BHB로 알려진 취약점으로 CVE-2022-23960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번에 패치된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 중 CVE-2022-37969 취약점은 악용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어 사용자들의 빠른 패치가 필요합니다. 9월 전체 보안업데이트 항목은 여기서 확인..

    국내외 보안동향 2022. 9. 14. 14:0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