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Yanluowang 랜섬웨어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2022.04.19 by 알약4

    • RPC(Remote Procedure Call) Runtim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6809) 주의!

      2022.04.18 by 알약4

    • GitHub, 해커가 훔친 OAuth 접근 토큰을 통해 조직 수십 곳 해킹했다고 밝혀

      2022.04.18 by 알약4

    • Microsoft Office 2013, 2023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2022.04.18 by 알약4

    • 해커가 자신의 로그인 크리덴셜을 만들도록 허용하는 Cisco 취약점 수정

      2022.04.18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Zloader 봇넷 해체를 위한 조치 취해

      2022.04.15 by 알약4

    • 구글 크롬, 현재 악용중인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1364) 패치

      2022.04.15 by 알약4

    • 새로운 ZingoStealer 인포스틸러, 더 많은 악성코드와 크립토마이너 드롭해

      2022.04.15 by 알약4

    Yanluowang 랜섬웨어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Free decryptor released for Yanluowang ransomware victims Kaspersky가 Yanluowang 랜섬웨어의 암호화 알고리즘에서 취약점을 발견해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RannohDecryptor 유틸리티에 Yanluowang 랜섬웨어 변종에 암호화된 파일 해독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이 랜섬웨어를 분석한 결과, 알려진 평문 공격을 통해 피해자의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랜섬웨어 변종은 3GB보다 큰 파일과 3GB보다 작은 파일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합니다. 큰 파일은 매 200MB마다 5MB만큼 부분적으로 암호화하고, 작은 파일은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암호화합니다. 이 때문에 "원본 파..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9. 09:00

    RPC(Remote Procedure Call) Runtim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6809) 주의!

    CVE-2022-26809 취약점은 RPC(Remote Procedure Call) Runtime 중 존재하는 취약점입니다. 공격자가 특정 RPC 호출은 RPC 호스트에 보내는 것으로 취약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악용될 경우 RPC 서버 권한으로 서버에서 원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영향받는 버전 모든 버전의 Windows 및 Windows Server 패치방법 ​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임시조치방법 네트워크 방화벽에서 445포트 차단 참고 : 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vulnerability/CVE-2022-26809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8. 16:08

    GitHub, 해커가 훔친 OAuth 접근 토큰을 통해 조직 수십 곳 해킹했다고 밝혀

    GitHub Says Hackers Breached Dozens of Organizations Using Stolen OAuth Access Tokens 클라우드 기반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인 Github가 지난 금요일 한 공격자가 훔친 OAuth 사용자 토큰을 악용해 여러 조직의 개인 데이터를 무단으로 다운로드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GitHub의 Mike Hanley는 보고서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NPM을 포함한 조직 수십 곳에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타사 OAuth 통합업체인 Heroku와 Travis-CI에 발급된 도난 당한 OAuth 사용자 토큰을 악용했습니다.” OAuth 접근 토큰은 앱 및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8. 14:00

    Microsoft Office 2013, 2023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Microsoft: Office 2013 will reach end of support in April 2023 MS는 이번주 초, 2023년 MS Office 2013의 지원이 종료될 것임을 밝혔습니다. "5년의 일반 지원과 5년의 연장 지원이 끝나는 2023년 4월 11일, Office 2013의 지원이 종료됩니다. 지원이 종료된 후에는 더 이상 보안 업데이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지원이 종료된 후에는 더 이상 보안 업데이트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잠재적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Office 2013 클라이언트를 Microsoft 365에 연결하면 성능 또는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개인 및 기업 사용자들은 지원이 종료되기 전에 상위 버전으로 업데이..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8. 13:06

    해커가 자신의 로그인 크리덴셜을 만들도록 허용하는 Cisco 취약점 수정

    Cisco vulnerability lets hackers craft their own login credentials Cisco가 WLC(Wireless LAN Controller)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취약점인 CVE-2022-20695 (CVSS v3 10.0점)을 경고하는 보안 권고를 발표했습니다. 공격자는 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여 원격으로 유효한 비밀번호 없이도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깃 장치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버그는 비밀번호 유효성 검사 알고리즘의 부적절한 구현으로 인해 발생하며, 디폴트 구성이 아닌 상태에서 표준 인증 절차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공격자는 조작된 크리덴셜을 통해 다양한 수준의 권한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관리자 권한까지 얻..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8. 09:00

    마이크로소프트, Zloader 봇넷 해체를 위한 조치 취해

    Microsoft has taken legal and technical action to dismantle the Zloader botnet 마이크로소프트가 전 세계 통신 업체와 사이버 보안 회사의 도움을 받아 ZLoader 트로이 목마가 사용하는 C2 인프라를 해체했습니다. 회사는 현재 등록된 추가 DGA 도메인 319개와 함께 ZLoader 운영자가 사용하는 65개 도메인을 싱크홀하도록 허용하는 법원 명령을 받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보고서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Microsoft의 DCU(디지털 범죄 부서)가 봇넷인 ZLoader를 방해하기 위해 법적 및 기술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ZLoader는 전 세계 기업, 병원, 학교, 가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돈을 훔치도록 설계..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5. 14:00

    구글 크롬, 현재 악용중인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1364) 패치

    최근 Google이 제로데이 취약점이 패치 된 Windows, Mac 및 Linux용 Chrome 100.0.4896.127를 출시했습니다. 이번 크롬 업데이트에서 CVE-2022-1364 제로데이 취약점이 패치되었습니다. CVE-2022-1364 취약점은 Chrome V8 JavaScript 엔진에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버퍼 범위를 초과한 메모리를 읽거나 써서 브라우저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임의코드 실행도 가능합니다. 구글은 "CVE-2022-1364에 대한 익스플로잇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해당 제로데이를 악용하는 공격을 감지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공격 수행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구글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될 때까지 버그의..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5. 10:24

    새로운 ZingoStealer 인포스틸러, 더 많은 악성코드와 크립토마이너 드롭해

    New ZingoStealer infostealer drops more malware, cryptominers 새로운 인포 스틸러인 ZingoStealer가 강력한 데이터 도용 기능 및 추가 페이로드를 로드하고 모네로를 채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새로운 악성코드는 최근 소스코드를 500달러에 판매하려 시도한 "Haskers Gang"이라는 공격자 그룹이 무료로 개발 및 배포했습니다. Cisco Talos의 연구원이 해당 광고를 발견한 직후, ZingoStealer는 개발을 맡을 새로운 공격자에게 이를 넘겼습니다. 공격자들은 텔레그램과 디스코드 채널 모두에서 이 인포 스틸러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악성코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배포 또한 매우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5.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