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1500만개의 엔드포인트에 영향을 주는 PCoIP 취약점 주의!

      2022.04.14 by 알약4

    • 새로운 Fodcha DDoS 봇넷, 매일 100명 이상 공격해

      2022.04.14 by 알약4

    • 윈도우 컴퓨터를 공격하는 중국의 Tarrask 악성코드 발견

      2022.04.14 by 알약4

    • NGINX, LDAP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제로데이 취약점 완화법 공유

      2022.04.13 by 알약4

    • 러시아와 연결된 Sandworm APT,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 공격해

      2022.04.13 by 알약4

    • SuperCare Health, 30만명 이상에 영향 미친 데이터 유출 공개해

      2022.04.12 by 알약4

    • Qbot 악성코드, 새로운 윈도우 인스톨러 감염 벡터로 전환해

      2022.04.12 by 알약4

    • Windows 10 버전 1909 및 20H2 지원 종료 예정

      2022.04.11 by 알약4

    1500만개의 엔드포인트에 영향을 주는 PCoIP 취약점 주의!

    Critical HP Teradici PCoIP flaws impact 15 million endpoints 최근 HP가 윈도우, 리눅스 및 MacOS용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치는 Teradici PCoIP 취약점에 대해 공개하였습니다. PCoIP(PC over IP)는 Teradici에서 개발한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로,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약 1500만개의 엔드포인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취약점은 총 10개입니다. 그 중 가장 심각한 취약점은 CVE-2022-0778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SW가 응답하지 않는 루프가 생성되며 사용자가 더 이상 디바이스에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없게되어 매우 심각한 취약점입니다. 이밖에 CVE-2022-22822, CVE-202..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4. 16:39

    새로운 Fodcha DDoS 봇넷, 매일 100명 이상 공격해

    New Fodcha DDoS botnet targets over 100 victims every day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봇넷이 DDoS 공격을 통해 매일 100명 이상의 피해자를 노리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라우터, DVR, 서버를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ihoo 360 Netlab의 연구원들이 새로 발견한 이 악성코드는 Fodcha로 명명되었으며, 3월 29일에서 4월 10일 사이 장치 62,000대 이상에 확산되었습니다. 봇넷에 연결된 고유한 IP 주소의 수도 변동되었습니다. 360 Netlab에 따르면, 이들은 매일 중국 IP 주소를 사용하는 기기 1만대로 이루어진 강력한 Fodcha 봇 군대를 추적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China Unicom (59.9%), China Telec..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4. 14:00

    윈도우 컴퓨터를 공격하는 중국의 Tarrask 악성코드 발견

    Microsoft Exposes Evasive Chinese Tarrask Malware Attacking Windows Computers 중국의 지원을 받는 Hafnium 해킹 그룹이 윈도우 환경에서 지속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새로운 악성코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는 2021년 8월부터 2022년 2월까지 통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및 데이터 서비스 부문 기관을 노렸으며, 2021년 3월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던 공격 중 발견된 초기 패턴을 확장시켰습니다. MSTIC(Microsoft Threat Intelligence Center)에서 방어 회피 악성코드인 "Tarrask"라 명명한 이 악성코드는 시스템에서 "숨겨진" 예약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4. 09:00

    NGINX, LDAP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제로데이 취약점 완화법 공유

    NGINX Shares Mitigations for Zero-Day Bug Affecting LDAP Implementation NGINX 웹 서버 프로젝트의 관리자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참조 구현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완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F5 Networks의 Liam Crilly와 Timo Stark는 지난 월요일 권고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NGINX 오픈소스와 NGINX Plus 자체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참조 구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조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NGINX는 사용자 인증에 LDAP를 사용하는 참조 구현은 아래 세 가지 조건에서만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Python 기반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3. 14:00

    러시아와 연결된 Sandworm APT,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 공격해

    Russia-linked Sandworm APT targets energy facilities in Ukraine with wipers 러시아와 연결된 Sandworm 공격자들이 Industroyer ICS 악성코드(INDUSTROYER2)의 새로운 변종 및 CaddyWiper 와이퍼의 새로운 버전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시설을 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ERT-UA에 따르면, 공격자들은 INDUSTROYER2를 통해 고전압 변전소를 노렸습니다. 연구원들이 분석한 변종은 각 변전소를 공격하도록 커스텀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공격자는 윈도우 기반 시스템을 공격하기 위해 CADDYWIPER 와이퍼를 사용했으며 ORCSHRED, SOLOSHRED, AWFULSHRED 파괴 스크립트를 통해 리눅스 운영 체..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3. 09:00

    SuperCare Health, 30만명 이상에 영향 미친 데이터 유출 공개해

    SuperCare Health discloses a data breach that Impacted +300K people SuperCare Health가 환자와 환자의 파트너, 조직 구성원, 기타 개인의 개인 정보를 노출 시킨 보안 침해 사고에 대해 공개했습니다. 회사는 해당 사고에 영향을 받은 개인 및 법 집행 기관에 사고에 대해 알렸습니다. 회사는 미 보건 복지부 측에 이 데이터 유출 사고가 318,379명의 개인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신고했습니다. 해당 보안 사고는 2021년 7월 27일 회사의 IT 직원이 일부 시스템에서 무단 활동을 발견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SuperCare Health는 2021년 7월 23일 ~ 7월 27일 사이에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으며, 사이버 보안 전문가의 도움..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2. 14:00

    Qbot 악성코드, 새로운 윈도우 인스톨러 감염 벡터로 전환해

    Qbot malware switches to new Windows Installer infection vector Qbot 봇넷이 악성 MSI Windows Installer 패키지가 포함된 암호로 잠긴 ZIP 압축 파일이 첨부된 피싱 이메일을 통해 악성코드 페이로드를 배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bot의 운영자가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들은 피싱 이메일을 통해 타깃 장치에 악성 매크로를 포함한 Microsoft Office 문서를 드롭해 악성코드를 전달하던 이전 방식에서 전략을 변경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이에 대해 지난 1월 마이크로소프트가 기본적으로 Excel 4.0(XLM) 매크로를 비활성화 후 2월 VBA Office 매크로를 통한 악성코드 배포를 차단할 계획을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2. 09:00

    Windows 10 버전 1909 및 20H2 지원 종료 예정

    Windows 10 버전 1909 및 20H2이 5월 10일 마지막 업데이트를 끝으로 지원이 종료됩니다. 지원이 종료된 후에는 새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한 기술지원, 품질 업데이트 및 보안 패치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여러분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실 것을 권고 드립니다. 이번에 지원종료되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10 20H2 Windows 10 Home, Pro, Pro Education 및 Pro for Workstations 버전 (Enterprise, Education 및 IoT Enterprise 의 경우 2023년 5월 9일 서비스 종료 예정) Windows 10 1909 Windows 10 1909 Enterprise, Education 및 IoT Enterp..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11. 16:3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