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애플 iOS, OSX AirDrop 기능 내 버그로 악성코드 설치 가능해

      2015.09.18 by 알약(Alyac)

    • 구글, 안드로이드 새 버전 마시멜로우에서 모바일 랜섬웨어의 스크린 잠금 기능에 대응 예정

      2015.09.17 by 알약(Alyac)

    • Zimperium, 안드로이드 Stagefright 익스플로잇 코드 공개

      2015.09.11 by 알약(Alyac)

    • 캡챠코드를 우회하는 정교한 악성앱,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발견

      2015.09.09 by 알약(Alyac)

    • XMPP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

      2015.09.08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Google, Mozilla, Microsoft 2016년 초 RC4 지원 종료 예정

      2015.09.03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CERT, 벨킨 N600 라우터의 수 많은 버그에 대해 경고

      2015.09.03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JR홋카이도에서 업무용PC가 표적형 메일 ’Emdivi’ 통해 악성코드 감염

      2015.09.02 by 알약(Alyac)

    애플 iOS, OSX AirDrop 기능 내 버그로 악성코드 설치 가능해

    애플 iOS, OSX AirDrop 기능 내 버그로 악성코드 설치 가능해AirDrop Bug in Apple iOS and OSX allows Hackers to Install Malware Silently iOS 9의 등장과 함께 치명적인 애플 iOS, OS X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공격자는 AirDrop 기능의 버그를 이용해 사용자가 파일 수신을 거부하더라도 사용자 기기에 몰래 악성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기기를 재부팅시키면 홈스크린의 권한을 얻을 수 있으며, 해커는 연락처, 카메라, 위치정보, 메시지 내용 등 대부분의 정보에 접근이 가능해집니다.해당 취약점은 AirDrop 기능을 지원하는 iOS 7이상과 Mac OS X 요세미티 이상 버전에 해당합니다. 애플은 iOS 9에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18. 17:00

    구글, 안드로이드 새 버전 마시멜로우에서 모바일 랜섬웨어의 스크린 잠금 기능에 대응 예정

    구글, 안드로이드 새 버전 마시멜로우에서 모바일 랜섬웨어의 스크린 잠금 기능에 대응 예정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우(이하 M)의 변화가 모바일 랜섬웨어 제작자들에게 있어서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랜섬웨어들은, 감염 된 디바이스의 화면을 잠그기 위하여 'SYSTEM_ALERT_WINDOW' 권한을 악용하거나, 'system error'나 'system overlay' 타입의 윈도우를 사용해 디바이스에 떠 있는 모든 창 위쪽에 자신의 화면이 노출되게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윈도우를 생성하려면, "android.permission.SYSTEM_ALERT_WINDOW"의 권한이 필요합니다. 기존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이러한 권한을 사용자가 앱을 최초 설치할 때 일단 1번 허가한..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17. 09:00

    Zimperium, 안드로이드 Stagefright 익스플로잇 코드 공개

    Zimperium, 안드로이드 Stagefright 익스플로잇 코드 공개Zimperium Releases a Working Exploit for Stagefright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Stagefright 취약점의 익스플로잇 코드가 공개되었습니다.(▶ Stagefright 취약점 자세히 보기) Zimperium은 안드로이드 사용자 커뮤니티의 대응도를 확인하고 보안업계의 신속한 업데이트를 촉구하기 위해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Stagefright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들이 첨부파일을 보내기만 해도 안드로이드 기기 권한을 탈취하며, 원격으로 카메라, 마이크 등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이번 공개로 입증되었습니다. 구글은 최근 행아웃과 메신저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자동실행을 차단하며 취약점..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11. 14:24

    캡챠코드를 우회하는 정교한 악성앱,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발견

    캡챠코드를 우회하는 정교한 악성앱,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발견Sophisticated CAPCHA-Bypassing Malware Found in Google Play, According to Bitdefender Researchers 캡챠코드를 우회하는 정교한 안드로이드 악성앱이 구글 플레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앱은 사용자 몰래 프리미엄 요금을 내야하는 유로 서비스에 가입을 하도록 합니다. 비트디펜더에서 Android.Trojan.MKero.A로 탐지하는 이 악성앱은 지난 2014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이 감염된 국가는 러시아 인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 동안 써드파티 앱스토어나 유럽 동부의 로컬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배포되었으며, 공식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나타난 것은 이번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9. 14:20

    XMPP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

    XMPP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Global XMPP Android Ransomware Campaign Hits Tens of Thousands of Devices 최근 XMP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사용자가 Flash 플레이어로 위장한 앱을 다운로드 받으면서 감염은 시작됩니다. 사용자가 해당 APP을 설치하는 과정 중에 APP이 요구하는 권한들에 동의하며, 그렇기 때문에 악성앱들은 감염 디바이스 상의 모든 데이터들을 암호화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염에 성공한 후 악성앱은 사용자에게 NSA를 사칭하여 ‘저작권을 침해했다’라는 경고와 함께 48시간 내에 벌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3배가 될 것이라는 경고창을 띄웁니다. 이 랜섬웨어의 특이한..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8. 13:53

    [해외보안동향] Google, Mozilla, Microsoft 2016년 초 RC4 지원 종료 예정

    Google, Mozilla, Microsoft 2016년 초 RC4 지원 종료 예정Google, Mozilla, Microsoft to Sever RC4 Support in Early 2016 RC4 암호화 알고리즘의 취약성을 이용한 공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Google, Mozilla, Microsoft는 2016년 초부터 브라우저의 RC4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Mozilla 관계자는 2016년 1월 26일 파이어폭스 버전 44의 배포를 시작으로 RC4를 필요로 하는 서버에는 브라우저가 더 이상 연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Google 관계자에 따르면 크롬은 1, 2월 중으로 RC만을 지원하는 HTTPS 서버를 종료할 것이며, Microsoft도 마찬가지로 엣지 및 인터넷 익스플..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3. 16:14

    [해외보안동향] CERT, 벨킨 N600 라우터의 수 많은 버그에 대해 경고

    CERT, 벨킨 N600 라우터의 수 많은 버그에 대해 경고Belkin N600 DB Wireless Dual Band N+ router contains multiple vulnerabilities CERT/CC가 벨킨 홈 라우터의 일부에서 공격자가 DNS 응답을 스푸핑하고, 플레인 텍스트 형태로 보내지는 크리덴셜을 가로채며, 웹 관리 인터페이스에 접근이 가능하고, 취약한 라우터에서 다양한 악성 행위를 할 수 있는 취약점들이 발견 되었다고 사용자들에게 경고하였습니다. 이번 취약점은 벨킨 N600 DB Wireless Dual Band N+ 라우터에서 발견되었으며, 모델명 F9K1102 v2 , 펌웨어 버전 2.10.17 및 하위 버전들도 잠재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벨킨은 현재까지 이 취약점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3. 09:00

    [해외보안동향] JR홋카이도에서 업무용PC가 표적형 메일 ’Emdivi’ 통해 악성코드 감염

    JR홋카이도에서 업무용PC 7대가 바이러스감염, 표적형 메일 ’Emdivi’ 개봉으로JR北海道で業務用PC7台がウイルス感染、標的型メール「Emdivi」開封で 홋카이도여객철도(JR홋카이도)는 2015년8월28일, 업무용PC가 표적형 메일에 의한 사이버공격을 받아서 7대가 악성코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서 8월31일 시점에서 사내에서 외부로의 인터넷접속 제한을 시행중이라고 합니다. 현 시점에서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흔적은 없다고 발표했으며, 열차운행에 관한 시스템에 영향은 전혀 없다고 합니다. JR홋카이도의 설명에 따르면 8월11일에 어느 부서의 사원 2명앞으로 외부에서 표적형 메일이 도착했는데, 그 중 1명이 첨부파일을 열어서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고 합니다. 상세..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2. 08:3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30 331 332 333 334 335 336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