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인터넷 및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호주인들, 10/13부터 모든 디지털 행동 감시 당해

      2015.10.14 by 알약(Alyac)

    • 중국해커들이 비합법적인 앱 산업사슬을 통하여 매일 수 백만불을 벌고 있다.

      2015.10.13 by 알약(Alyac)

    • 윈도우 블루스크린을 위장한 새로운 피싱 방식

      2015.10.08 by 알약(Alyac)

    • Stagefright Bug 2.0 발견 및 패치

      2015.10.07 by 알약(Alyac)

    • HWP 2014 취약점 공격주의

      2015.10.06 by 알약(Alyac)

    • MS, ‘실수’로 테스트패치를 모든 윈도우 7 사용자에게 배포해

      2015.10.05 by 알약(Alyac)

    • Google Play 가 해커의 공격을 받았으며, 몇백만명의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5.09.24 by 알약(Alyac)

    • 변조된 Xcode IDE로 인한 공격으로 애플의 앱스토어에 다량의 악성앱이 등록

      2015.09.23 by 알약(Alyac)

    인터넷 및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호주인들, 10/13부터 모든 디지털 행동 감시 당해

    인터넷 및 휴대폰을 사용하는 호주인들, 10/13부터 모든 디지털 행동 감시 당해Every Call You Make or Text You Send, They'll Be Tracking From Today(10/13) 인터넷과 모바일 폰을 사용하는 호주(Australia) 사람들이라면, 10/13부터 모든 디지털 행동이 기록되게 됩니다.호주정부의 새 데이터 보관법이 시행됨에 따라, 호주의 이동통신사들은 호주인들의 통신 커뮤니케이션간 발생하는 메타데이터를 2년간 보관할 것이라고 합니다.이 법은 국가에 대항하는 조직화 된 테러리스트들과 범죄자들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생긴 것이라 주장되지만, 상당한 개인 정보를 보관할 예정이므로 호주인들은 프라이버시의 엄청난 침해를 겪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14. 16:29

    중국해커들이 비합법적인 앱 산업사슬을 통하여 매일 수 백만불을 벌고 있다.

    중국해커들이 비합법적인 앱 산업사슬을 통하여 매일 수 백만불을 벌고 있다. Chinese Hackers Make Millions of Profits from Underground App Distribution Chains 올해 8월, Ghost Push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변종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 116개가 넘는 국가에서 90만 여대의 안드로이드 기기를 감염시켰으며, 그 규모로 보았을 때 이 악성코드의 배후에는 거대한 산업체인이 있으며, 정교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 됩니다. 또한 이 악성코드 개발자들은 이러한 불법 산업체인을 통하여 매일 최소 405만불의 폭리를 취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Ghost Push 악성코드 Ghost Pus..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13. 13:14

    윈도우 블루스크린을 위장한 새로운 피싱 방식

    윈도우 블루스크린을 위장한 새로운 피싱 방식Malvertising Via Google AdWords Leads to Fake BSOD [이미지 출처 : malwarebytes 블로그] 최근 블루스크린을 위장한 새로운 악성코드 유포방식이 퍼지고 있습니다. 이 악성코드들은 사용자들이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검색을 하는 점을 이용하였으며, 광고 링크들을 검색 결과 최상단에 노출 시켜준 다는 점을 이용하였습니다. 공격자들은 사용자들이 검색페이지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변조된 홈페이지가 가장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도록 조작하여 더 많은 사용자들의 클릭을 유도하였습니다. 사용자들이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블루스크린 이미지를 띄워 마치 사용자의 컴퓨터가 블루스크린이 난 것처럼 위장하였습니다.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8. 09:00

    Stagefright Bug 2.0 발견 및 패치

    Stagefright Bug 2.0 발견 및 패치 10월 1일, 안드로이드 Stagefright 취약점 2개가 새로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는 사용자를 악성 멀티미디어 파일인 MP3나 MP4를 포함하고 있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하여 스마트폰을 해킹할 수 있습니다.(▶ stagefright 취약점 자세히 보기) 새로 발견된 취약점인 CVE-2015-6602, CVE-2015-3876은 둘 다 안드로이드 미디어 플레이백 엔진인 ‘Stagefright’에 존재하며, 안드로이드 OS버전 1부터 최신버전인 5.1.1까지 모두 해당됩니다. Stagefright 버그 2.0 취약점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제작된 음악이나 미디어 파일을 보기만해도 때문에 공격자가 사용자의 안드로이드 기기에 원격으로 코드를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7. 12:50

    HWP 2014 취약점 공격주의

    HWP 2014 취약점 공격주의 한컴오피스2014 제품의 문서파일(HWP) 취약점(CVE-2015-6585)을 이용한 악성파일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해당 제품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보안 취약점은 2015년 09월 07일 한글과컴퓨터 업체에서 제공한 보안업데이트를 통해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HWP 2014 취약점 공격절차 이번 공격은 한컴 오피스 2014 제품을 설치한 특정 환경에서 취약점이 작동하며, 8월 전후부터 보안 업데이트가 완료된 9월 초까지 Zero-Day 공격으로 활용됐습니다. 또한, 한글 2014 환경설정에 존재하는 “악성코드 차단” 동작 기능 설정과는 무관하게 취약점이 작동합니다. 유포과정 공격자는 취약점 모듈을 삽입한 HWP(X) 문서파일을 첨부해 특정..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6. 14:20

    MS, ‘실수’로 테스트패치를 모든 윈도우 7 사용자에게 배포해

    MS, ‘실수’로 테스트패치를 모든 윈도우 7 사용자에게 배포해Microsoft 'Accidentally' pushed 'Test patch' Update to All Windows 7 Users MS가 실수로 테스트패치(KB3877432)를 윈도우 7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였습니다. 이에 사용자들이 Windows Update서비스가 해킹되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는 착각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몇시간 후 MS의 대변인은, "테스트 패치를 잘못 배포했다"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번에 잘못 배포된 테스트 패치의 크기는 4.3MB이며, 이름은 "Windows Language Pack"이며 등급은 "Important"로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URL에 접근할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0. 5. 15:29

    Google Play 가 해커의 공격을 받았으며, 몇백만명의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Google Play 가 해커의 공격을 받았으며, 몇백만명의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Google Play Breached To Hack more than Million Android by Chinese Google은 Digital Bouncer 시스템을 이용하여 악성앱이 Google Play에 등록되어 유포되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하지만 Digital Bouncer은 이미 해커들에 의하여 우회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실제로 이 방법이 적용된 악성앱이 Google Play에 업로드 되어 200만대가 넘는 안드로이드 기기들을 감염시켰으며, 적어도 백만명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감염시킨 것으로 밝혀였습니다. 이 악성앱은 Google Play에 Brain Test 라는 이름으로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24. 16:18

    변조된 Xcode IDE로 인한 공격으로 애플의 앱스토어에 다량의 악성앱이 등록

    변조된 Xcode IDE로 인한 공격으로 애플의 앱스토어에 다량의 악성앱이 등록되었습니다.Tainted Xcode IDE Tricks Apple Developers to Submit Malicious Apps in App Store. 정식 어플리케이션에 내장 된 악성코드인 XcodeGhost으로 인한 대규모 공격으로 인해, 애플의 앱스토어가 멀웨어 투성이가 되었습니다. 정식 앱 개발자에게 오염 된 버전의 애플 Xcode IDE(앱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을 다운로드 하도록 하여, 공격자들은 그들의 악성 코드를 정식 앱에 내장시켜 유저의 패스워드나 개인 정보를 훔치는데 사용했습니다. 오염 된 Xcode 소프트웨어는 중국 서버에서 호스팅 되었고, 개발자들은 애플의 서버에서 공식 버전을 다운로..

    국내외 보안동향 2015. 9. 23.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29 330 331 332 333 334 335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