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Ubuntu 시스템에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21-3490) 발견!

      2021.08.02 by 알약4

    • FIFA 코드 포함한 EA에서 훔친 데이터, 해커 포럼에 유출돼

      2021.08.02 by 알약4

    • Chipotle의 마케팅 계정, 해킹 당한 후 피싱 이메일 보내

      2021.07.30 by 알약4

    • VBA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되는 Internet Explorer 취약점(CVE-2021-26411) 주의!

      2021.07.30 by 알약4

    • 새로운 랜섬웨어 그룹인 Haron과 BlackMatter, 사이버 범죄 포럼에 등장

      2021.07.30 by 알약4

    • MS Hyper-V에서 RCE 및 DoS를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2021.07.30 by 알약4

    • MS Exchange 서버 타깃 공격에 새로운 PlugX의 변종인 THOR 사용돼

      2021.07.29 by 알약4

    • 치명적인 Microsoft Hyper-V 취약점(CVE-2021-28476) 주의!

      2021.07.29 by 알약4

    Ubuntu 시스템에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21-3490) 발견!

    RedRocket CTF 팀의 보안 연구원인 Manfred Paul은 Ubuntu 시스템의 Linux 커널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에서 심각도가 높은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1-3490)에 대한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습니다. eBPF 명령을 삽입할 수 있는 로컬 사용자는 CVE-2021-3490 취약점 사용하여 시스템을 충돌시키거나 시스템에 대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eBPF는 커널 소스 코드를 변경하거나 추가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커널 기술입니다. 이것은 프로그래머가 특정 커널 리소스를 활용하는 BPF 바이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Linux 커널 내부의 일종의 경량 샌드박스 가상 머신(VM)입니다. Paul은 T..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 11:50

    FIFA 코드 포함한 EA에서 훔친 데이터, 해커 포럼에 유출돼

    Threat actors leaked data stolen from EA, including FIFA code 지난 6월, 해커들이 게임 대기업인 EA의 네트워크를 해킹해 약 780GB의 데이터를 훔쳤다고 주장했습니다. 훔친 데이터에는 게임의 소스코드, FrostBite 게임 엔진 및 디버그 툴의 소스코드, FIFA 21 매치메이킹 서버코드, 독점 EA 게임의 프레임워크와 디버그 툴, SDK 및 API 키, XBOX와 SONY의 비공개 SDK 및 API 키, XB PS, EA pfx, 키 포함 crt, FIFA 22의 API 키, SDK, 디버그 툴이 포함됩니다. 이 보안 침해 사고를 최초로 보도한 사이트 중 하나인 Motherboard는 EA에 연락해 데이터 침해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Bleeping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 09:00

    Chipotle의 마케팅 계정, 해킹 당한 후 피싱 이메일 보내

    Chipotle’s marketing account hacked to send phishing emails 해커가 치폴레(Chipotle) 체인점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마케팅 계정을 해킹한 후 이를 사용하여 악성 링크를 포함한 피싱 이메일을 발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의 메시지는 피해자를 금융 비즈니스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서비스로 위장한 크리덴셜 수집 사이트로 안내했습니다. 또한 소수의 메일에만 악성 파일이 첨부되어 있었습니다. Mailgun 계정 해킹 이 악성 이메일 캠페인은 치폴레에서 이메일 마케팅 목적으로 사용하는 Mailgun 계정[mail.chipotle.com]을 해킹해 전송되었으며, 3일 동안 최소 120개의 악성 이메일이 발송되었습니다. 정식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면, 특히 이메일 주소..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30. 14:00

    VBA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되는 Internet Explorer 취약점(CVE-2021-26411) 주의!

    2021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패치된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이 VBA 기반 RAT 악성코드를 설치하기 위한 공격 캠페인에 악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커들은 Internet Explorer 익스플로잇을 통해 대상 PC에 VBA 악성코드를 배포할 수 있으며, 감염된 윈도우 시스템에 저장된 파일에 액세스하고 악성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할 수 있습니다. CVE-2021-26411로 등록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된 웹사이트를 호스팅하고 사용자가 이를 보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웹사이트를 악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콘텐츠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Internet Expl..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30. 11:51

    새로운 랜섬웨어 그룹인 Haron과 BlackMatter, 사이버 범죄 포럼에 등장

    New Ransomware Gangs — Haron and BlackMatter — Emerge on Cybercrime Forums 이번 달, 새로운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프로그램 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중 한 그룹은 지난 몇 달 동안 Colonial Pipeline과 Kaseya에 실행된 주요 공격 이후 활동을 중단한 DarkSide과 Sodinokibi의 후임이라 공언했습니다. 새로운 BlackMatter 그룹의 운영자는 다크넷의 공개 블로그에서 “이 프로젝트는 DarkSide, Sodinokibi, LockBit의 최고의 기능만을 모았다"고 홍보하며 의료 시설 및 석유/가스, 방위, 비영리, 정부 부문과 같은 중요 인프라는 공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Flashpoint에 따르면,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30. 09:00

    MS Hyper-V에서 RCE 및 DoS를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Critical flaw in Microsoft Hyper-V could allow RCE and DoS SafeBreach의 연구원인 Peleg Hadar와 Guardicore의 Ophir Harpaz가 마이크로소프트 Hyper-V의 치명적인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CVE-2021-28476으로 등록되었으며 임의 코드를 실행할 때 DoS 조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마이크로소프트 Hyper-V의 네트워크 스위치 드라이버 (vmswitch.sys)에 존재하며,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2~2019에 영향을 미칩니다. CVE-2021-28476 취약점의 심각도는 10점 만점에 9.9점이며, 지난 5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수정했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30. 09:00

    MS Exchange 서버 타깃 공격에 새로운 PlugX의 변종인 THOR 사용돼

    Chinese cyberspies used a new PlugX variant, dubbed THOR, in attacks against MS Exchange Servers 동남아시아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 연계 해커 그룹 TA416(Mustang Panda, HoneyMyte, PKPLUG)이 이전에 문서화되지 않은 PlugX의 변종을 배포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alo Alto Networks Unit 42 팀의 연구원들은 이 새로운 PlugX 악성코드를 Thor라 명명했습니다. 또한 이 RAT이 해킹된 서버 중 한 곳에서 악용 후 툴(Post Exploitation Tool)로써 사용되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새롭게 발견된 변종은 핵심 코..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29. 14:00

    치명적인 Microsoft Hyper-V 취약점(CVE-2021-28476) 주의!

    CVE-2021-28476로 등록된 Microsoft의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수정되었지만 많은 조직들이 여전히 패치를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게스트 VM이 임의의 잠재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주소에서 Hyper-V 호스트의 커널을 강제로 읽도록 허용합니다. 주소의 내용은 게스트 VM으로 반환되지 않으며, 매핑되지 않은 주소 읽기로 인해 Hyper-V 호스트의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웨어 장치의 특정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호스트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zure 서비스는 이 문제로부터 안전하지만 일부 로컬 Hyper-V는 패치가 배포될 때 모든 관리자가 Windows 컴퓨터를 업데이트하..

    국내외 보안동향 2021. 7. 29. 12: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