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VMware Workspace One Access과 Identity Manager의 치명적인 취약점 수정해

      2021.08.09 by 알약4

    • Arcadyan 펌웨어에 존재하는 경로 조작 취약점(CVE-2021-20090) 주의!

      2021.08.09 by 알약4

    • CVE-2021-20090 취약점을 악용하는 활발한 공격, 전 세계 IoT 기기 수백만 대 노려

      2021.08.09 by 알약4

    • BlackMatter의 리눅스 버전, VMware ESXi 서버 노려

      2021.08.06 by 알약4

    • PrintNightmare 제로데이 취약점 관련 무료 비공식 패치 공개

      2021.08.06 by 알약4

    • 패치되지 않은 취약점으로 Mitsubishi Safety PLC 원격 공격에 노출돼

      2021.08.06 by 알약4

    • 국가 수준의 스파잉을 허용하는 새로운 DNS 취약점 발견

      2021.08.06 by 알약4

    • TCP/IP 스택에서 INFRA:HALT 취약점 발견!

      2021.08.05 by 알약4

    VMware Workspace One Access과 Identity Manager의 치명적인 취약점 수정해

    VMware addresses critical flaws in its products Mware에서 제품의 여러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 업데이트를 출시했습니다. CVE-2021-22002 및 CVE-2021-22003으로 추적된 몇 가지 취약점은 Workspace One Access(Access), Identity Manager(vIDM), vRealize Automation(vRA), Cloud Foundation, vRealize Suite Lifecycle Manager에 영향을 미칩니다. CVE-2021-22002는 Workspace One Access, Identity Manager와 관련이 있으며 사용자 지정 호스트 헤더를 사용하여 포트 443을 통해 /cfg 웹 애플리케이션과 진단 엔드..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9. 11:30

    Arcadyan 펌웨어에 존재하는 경로 조작 취약점(CVE-2021-20090) 주의!

    Arcadyan 펌웨어를 사용하는 여러 라우터에서 경로 조작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인증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격자는 라우터 설정 변경을 요청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요청 토큰 등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1-20090 패치 방법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모든 SoHo 라우터에서 원격(WAN 측) 관리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고 WAN에서 웹 인터페이스도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 https://www.kb.cert.org/vuls/id/914124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9. 11:00

    CVE-2021-20090 취약점을 악용하는 활발한 공격, 전 세계 IoT 기기 수백만 대 노려

    CVE-2021-20090 actively exploited to target millions of IoT devices worldwide 공격자가 Arcadyan 펌웨어가 설치된 홈 라우터에 Mirai 봇을 배포하기 위해 CVE-2021-20090으로 등록된 치명적인 인증 우회 취약점을 활발히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enable에서는 권고를 발행해 아래와 같이 경고했습니다. “Buffalo WSR-2533DHPL2 펌웨어 버전 1.02 및 이하, WSR-2533DHP3 펌웨어 버전 1.24 및 이하에 존재하는 경로 탐색 취약점으로 인해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원격으로 인증을 우회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일부 IPS 포함 제조사 17곳 이상의 공급 업체에서 제조한 IoT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9. 09:00

    BlackMatter의 리눅스 버전, VMware ESXi 서버 노려

    Linux version of BlackMatter ransomware targets VMware ESXi servers BlackMatter 랜섬웨어 공격 그룹이 VMware의 ESXi 가상 머신 플랫폼을 노리는 리눅스용 암호화 툴을 개발하기 위한 대열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은 더 나은 리소스 관리 및 재해 복구를 위해 서버용 가상 머신을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VMware ESXi가 가장 인기 있는 가상 머신 플랫폼이기 때문에, 기업을 노리는 거의 모든 랜섬웨어들이 가상 머신을 노리는 암호화 툴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VMware ESXi를 노리는 BlackMatter 8월 4일, 보안 연구원인 MalwareHunterTeam이 BlackMatter 랜섬웨어 그룹의 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6. 14:00

    PrintNightmare 제로데이 취약점 관련 무료 비공식 패치 공개

    올해 6월, 'PrintNightmare'(CVE-2021-34527)라는 새로운 Windows 인쇄 스풀러 취약점이 공개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시스템 내에서 권한상승 혹은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 새로운 윈도우 프린트 스풀러 내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MS는 원격코드실행 부분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지만, 특정 조건에서 우회가 가능했습니다. PrintNightmare 취약점은 이미 'PackagePointAndPrintServerList' 그룹 정책을 통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인쇄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승인된 인쇄 서버의 화이트리스트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차단이 가능하나, 그룹 정책을 다루지 않는 사용자들을 위해 무료 마이크로 패치를 출시했습니다. 해당 패치는 0..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6. 13:17

    패치되지 않은 취약점으로 Mitsubishi Safety PLC 원격 공격에 노출돼

    Unpatched Security Flaws Expose Mitsubishi Safety PLCs to Remote Attacks Mitsubishi Safety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에서 패치되지 않은 여러 취약점이 공개되었습니다.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무차별 대입 공격을 통해 모듈에 등록된 합법적인 사용자 이름을 획득하고, CPU 모듈에 무단으로 로그인하고, 서비스 거부(DoS) 조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Nozomi Networks가 공개한 보안 취약점은 CPU 모듈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대상 장치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대상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MELSEC 통신 프로토콜의 인증 메커니즘 구현과 관련이 있습니다. CVS..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6. 11:50

    국가 수준의 스파잉을 허용하는 새로운 DNS 취약점 발견

    New DNS vulnerability allows 'nation-state level spying' on companies 보안 연구원들이 주요 서비스형 DNS 제공 업체에 영향을 미치는 DNS 취약점의 새로운 클래스를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기업 네트워크로부터 민감 정보를 훔치도록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비스형 DNS 제공 업체(관리형 DNS 제공 업체)는 다른 네트워크 자산을 자체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지 않는 다른 조직에게 DNS 임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보안 회사인 Wiz의 연구원들이 Black Hat 보안 컨퍼런스에서 밝힌 바로는, 이러한 DNS 취약점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간단한 도메인 등록 만으로도 국가 수준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명..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6. 09:01

    TCP/IP 스택에서 INFRA:HALT 취약점 발견!

    Forescout와 JFrog Security 연구원은 OT장치에 사용되는 NicheStack에 영향을 미치는 14개의 취약점을 발견하였으며, 이 취약점들을 통틀어 "INFRA:HALT"라고 명명하였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원격제어, 서비스 거부, 정보유출, TCP 스푸핑 및 DNS 캐시 포이즈닝 공격이 가능합니다. NicheStack TCP/IP 스택은 1996년 InterNiche Technologies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여러 OEM들에 의해 여러 형태로 배포되었으며, 다른 TCP/IP 스택의 기초역할을 했습니다. Emerson, Honeywell, Mitsubishi Electric, Rockwell Automation, and Schneider Electric 등이 모두 Nich..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5. 16:0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