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Liquid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으로 9천만 달러 이상 손실

      2021.08.20 by 알약4

    • 어도비, 포토샵의 치명적인 취약점 2건 수정

      2021.08.19 by 알약4

    • 블랙베리 QNX의 BadAlloc(CVE-2021-22156) 취약점 주의!

      2021.08.19 by 알약4

    • GitHub, 사용자에 이중 인증 활성화 촉구해

      2021.08.19 by 알약4

    • 리얼텍(Realtek) Wi-Fi SDK에서 취약점 발견!

      2021.08.18 by 알약4

    • Colonial Pipeline, 5월 랜섬웨어 공격 이후 발생한 데이터 유출 사고 공개

      2021.08.18 by 알약4

    • Fortinet, FortiWeb OS 명령 주입 취약점 패치 계획 발표해

      2021.08.18 by 알약4

    • Kalay 클라우드 플랫폼의 취약점, IoT 기기 수백만 대 해킹 위험에 노출시켜

      2021.08.18 by 알약4

    Liquid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으로 9천만 달러 이상 손실

    Liquid cryptocurency exchange loses over $90 million following hack 일본에 기반을 둔 가상화폐 거래소인 Liquid에서 웜 월렛 해킹 사고가 발생해 입출금을 중단시켰습니다. Liquid는 일일 거래량 기준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입니다. 해당 거래소는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80만 명이 넘는 고객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올해 일일 거래량이 11억 달러 이상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거래소는 웜 월렛이 해킹된 것을 발견한 이후, 자금을 콜드 월렛으로 옮겼습니다. Liquid는 해당 사고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현재 상황을 조사 중이며 정기적으로 소식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그 동안은 입출금이 중단될 것입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0. 09:03

    어도비, 포토샵의 치명적인 취약점 2건 수정

    Adobe addresses two critical vulnerabilities in Photoshop 어도비(Adobe)가 인기 있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포토샵(Photoshop)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취약점 2건인 CVE-2021-36065 및 CVE-2021-36066을 수정하기 위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윈도우 및 macOS용 소프트웨어 버전에 영향을 미치며, 공격자가 이를 악용할 경우 현재 사용자의 콘텍스트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어도비는 보안 권고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어도비는 윈도우 및 macOS용 포토샵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는 치명적인 취약점 다수를 해결합니다. 해당 취약점 악용에 성공할 경우 현재 사용자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9. 14:00

    블랙베리 QNX의 BadAlloc(CVE-2021-22156) 취약점 주의!

    이전 버전의 BlackBerry QNX RTOS(실시간 운영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취약점으로 인해 악의적인 공격자가 자동차, 의료 및 산업 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불구로 만들고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랙베리의 QNX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우주, 방위, 자동차, 의료, 로봇 공학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195만 대 이상의 차량과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원격 공격자는 취약점 CVE-2021-22156을 악용하여 서비스 거부 상태를 유발하거나 영향을 받는 장치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CVSS 점수 9.0점을 받은 CVE-2021-22156는 2021년 4월 Microsoft에서 처음 공개한 BadAlloc이라는 광범위한 취약점 모음 중 하나입..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9. 11:00

    GitHub, 사용자에 이중 인증 활성화 촉구해

    GitHub urges users to enable 2FA after going passwordless GitHub이 사용자들에게 Git 작업에 대한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중단 후 2단계 인증(2FA)를 활성화 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GitHub의 최고 보안 책임자인 Mike Hanley는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아직까지 하지 않으셨다면 시간을 내어 GitHub 계정에 대한 이중 인증을 활성화 하시기 바랍니다. 다단계 인증의 이점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피싱과 같은 광범위한 공격으로부터 계정을 보호합니다.” Hanley는 물리적 보안 키, 전화 기기, 랩탑에 내장된 가상 보안 키, TOTP(Time-based One-Time Password) 인증 앱을 포함한 GitHub에서 제공하는 여러 이중 인증..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9. 09:00

    리얼텍(Realtek) Wi-Fi SDK에서 취약점 발견!

    리얼텍(Realtek) 와이파이 모듈SDK에서 4개의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리얼텍 와이파이 모듈은 게이트웨이, 트래블 라우터, 와이파이 리피터, IP 카메라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AIgital, ASUSTek, Beeline, Belkin, Buffalo, D-Link, Edimax, Huawei, LG, Logitec, MT-Link, Netis, Netgear, Occtel, PATECH, TCL, Sitecom, TCL, ZTE, Zyxel 등 많은 제조사에서 취급하고 있습니다. 취약점 내용 CVE-2021-35392 : SSDP NOTIFY 메시지의 안전하지 않은 제작으로 인한 'WiFi Simple Config' 서버의 힙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 CVE-2021-35393 : U..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8. 16:00

    Colonial Pipeline, 5월 랜섬웨어 공격 이후 발생한 데이터 유출 사고 공개

    Colonial Pipeline discloses data breach after May ransomware attack Colonial Pipeline이 지난 5월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 이후 5000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공지하기 시작했습니다. Alabama 주 Pelham에 위치한 Colonial Pipeline 시설은 사이버 보안 공격을 받았으며, 이에 운영자는 시스템을 폐쇄해야 했습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매일 정제된 휘발유 및 제트 연료 250만 배럴을 동부 해안을 통해 텍사스에서 뉴욕까지 운반할 수 있으며, 이는 동부 해안 연료 공급의 45%를 차지합니다. 이 공격은 Darkside 랜섬웨어 운영자가 수행했으며, 해당 시설은 도난당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 랜섬머니로 5백만 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8. 14:00

    Fortinet, FortiWeb OS 명령 주입 취약점 패치 계획 발표해

    Fortinet FortiWeb OS Command Injection allows takeover servers remotely 2021년 8월 17일 Fortinet이 FortiWeb WAF 설치를 실행하는 서버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명령 주입 취약점을 수정했으며 8월 말에 출시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인증된 공격자는 SAML 서버 구성 페이지를 통해 기본 시스템에서 루트 사용자로 임의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취약점이 공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인증 우회 취약점(CVE-2020-29015)과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Fortinet FortiWeb 버전 6.3.11 및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치며 인증된 공격자는 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취약한 버전의 FortiWe..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8. 11:40

    Kalay 클라우드 플랫폼의 취약점, IoT 기기 수백만 대 해킹 위험에 노출시켜

    Kalay cloud platform flaw exposes millions of IoT devices to hack FireEye Mandiant의 연구원들이 Kalay 클라우드 플랫폼 내 핵심 컴포넌트에서 IoT 기기 수백만 대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취약점인 CVE-2021-28372를 발견했습니다. 원격 공격자는 이 취약점을 쉽게 악용해 IoT 기기의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으며, 공격에 필요한 유일한 정보는 타깃 사용자의 UID입니다. 공격자는 이 UID를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통해 얻어낼 수 있습니다. Mandiant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글에 설명된 취약점은 Kalay 플랫폼의 핵심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칩니다. Mandiant는 영향을 받는 기기 전체 목록을 만들 수는 없었..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18.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2 73 74 75 76 77 78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