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러시아를 노린 캠페인에 사용된 Konni RAT의 새로운 변종 발견

      2021.08.31 by 알약4

    • Android 사용자의 전화 기능 차단하는 Google 앱 취약점 수정

      2021.08.31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에서 이메일 스누핑을 허용하는 ‘ProxyToken’ 취약점 발견

      2021.08.31 by 알약4

    • Phorpiex 봇넷, 운영 중단 후 소스코드 판매돼

      2021.08.30 by 알약4

    • 치명적인 Azure Cosmos DB 취약점, 전체 클라우드 계정 탈취 허용해

      2021.08.30 by 알약4

    • LockFile 랜섬웨어, 간헐적 파일 암호화 통해 탐지 우회해

      2021.08.30 by 알약4

    • Atlassian Confluence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주의!

      2021.08.27 by 알약4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스위치용 Cisco APIC의 치명적인 취약점 패치

      2021.08.27 by 알약4

    러시아를 노린 캠페인에 사용된 Konni RAT의 새로운 변종 발견

    New variant of Konni RAT used in a campaign that targeted Russia Malwarebytes Labs의 보안 연구원이 Konni RAT을 통해 러시아를 노리는 현재 진행 중인 악성코드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Konni RAT은 2017년 Cisco Talos 연구원이 처음 발견했으며, 2014년부터 탐지되지 않은 채 고도의 타깃 공격에 악용되었습니다. 이 RAT은 지속적으로 진화하여 탐지를 피할 수 있었고, 타깃 시스템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훔칠 수 있었습니다. Konni RAT는 Thallium, APT37로 알려진 북한 관련 공격자의 작업으로 추측됩니다. Malwarebytes의 전문가들은 러시아어로 작성된 무기화된 문서 2건을 발견했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1. 14:00

    Android 사용자의 전화 기능 차단하는 Google 앱 취약점 수정

    Google App bug blocks Android users from receiving, making calls 구글은 일부 안드로이드 폰 모델의 사용자들이 구글 앱 취약점으로 인해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용 구글 검색 앱의 최신 업데이트 이후 특정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전화를 걸고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영향을 받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이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업데이트를 출시했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 휴대폰은 일요일에 게시된 Google 앱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장치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한 사용자는 Google Play 스토어에서 수동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휴대폰에 최신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Google P..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1. 11:35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에서 이메일 스누핑을 허용하는 ‘ProxyToken’ 취약점 발견

    Microsoft Exchange ‘ProxyToken’ Bug Allows Email Snooping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에서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타깃의 메일함에 접근해 이메일을 훔치도록 허용하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인 'ProxyToken'이 발견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는 웹사이트 두 개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프론트엔드로 사용자가 이메일에 접근할 때 연결하며, 다른 하나는 백엔드 사이트로 인증 기능을 처리합니다. Trend Micro는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프론트엔드 웹사이트는 대부분 백엔드에 대한 프록시입니다. 프론트엔드는 양식 인증이 필요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owa/auth/logon.aspx와 같은 페이지를 제공합니다. 프론트엔드의 역할은 모든 사후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1. 09:00

    Phorpiex 봇넷, 운영 중단 후 소스코드 판매돼

    Phorpiex botnet shuts down and authors put source code for sale Phorpiex 봇넷을 운영하는 조직이 운영을 중단하고 다크웹의 사이버 범죄 포럼에서 봇의 소스코드를 판매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소식은 보안 회사 Cyjax의 전문가들이 과거 봇넷 운영에 관련된 공격자가 게시한 광고를 발견한 후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악성코드의 원 작성자 2명이 떠난 후 소스코드를 판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메인 봇을 포함한 모든 모듈은 C++로 작성되었으며, 제작자는 봇이나 모듈이 방화벽/UAC 프롬프트를 트리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The Record는 CheckPoint의 악성코드 연구원인 Alexey Bukhteyev의 도움을 받아 해당 광고가 유효..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0. 14:00

    치명적인 Azure Cosmos DB 취약점, 전체 클라우드 계정 탈취 허용해

    Critical Cosmos Database Flaw Affected Thousands of Microsoft Azure Customers 클라우드 인프라 보안 회사인 Wiz가 Azure 사용자의 승인 없이 다른 고객의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전체 관리자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잠재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Azure Cosmos 데이터베이스 취약점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모든 정보에 대해 읽기, 쓰기 및 삭제 권한을 부여하는 이 취약점은 "ChaosDB"라고 명명되었습니다. 클라우드 취약점이 해당 시스템 내에서 지정되지 않기 때문에 ChaosDB에는 CVE가 없습니다. Cosmos DB는 자동 관리, 업데이트 및 패치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돕는 마이크로소프..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0. 11:48

    LockFile 랜섬웨어, 간헐적 파일 암호화 통해 탐지 우회해

    LockFile Ransomware Bypasses Protection Using Intermittent File Encryption 지난달 새롭게 등장한 랜섬웨어 패밀리가 새로운 기술인 “부분 암호화”를 통해 랜섬웨어 탐지 기술을 우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ockFile이라 명명된 이 랜섬웨어는 최근 공개된 취약점인 ProxyShell과 PetitPotam을 악용하여 윈도우 서버를 해킹하고 랜섬웨어를 배포합니다. 이 랜섬웨어는 파일의 16바이트만 암호화하여 랜섬웨어 탐지 기술을 우회합니다. Sophos의 기술 이사인 Mark Loman은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부분 암호화 기술은 일반적으로 랜섬웨어에서 암호화 프로세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며 BlackMatter, DarkS..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30. 09:00

    Atlassian Confluence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주의!

    2021년 8월 26일, Atlassian 공식 홈페이지는 공지를 통해 Atlassian Confluence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인증된 사용자와, 경우에 따라서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Confluence Server 또는 Data Center 인스턴스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OGNL 인젝션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1-26084 영향받는 버전 Atlassian Confluence Server/Data Center 모든 4.x~6.12.x 버전 Atlassian Confluence Server/Data Center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7. 16:00

    Cisco, Nexus 9000 시리즈 스위치용 Cisco APIC의 치명적인 취약점 패치

    Cisco fixed a critical flaw in Cisco APIC for Nexus 9000 series switches Cisco가 Nexus 9000 시리즈 스위치에 사용되는 APIC(Application Policy Infrastructure Controller)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을 패치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CVE-2021-1577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악용될 경우 공격자가 취약한 시스템에서 임의 파일을 읽거나 쓰도록 허용합니다. 해당 취약점은 부적절한 액세스 제어로 인해 발생하며, 인증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어플라이언스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Cisco는 권고문을 발행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Cisco..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7. 14: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