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HAProxy, 치명적인 HTTP 요청 밀수 공격에 악용되는 취약점 수정돼

      2021.09.10 by 알약4

    • 새로운 Mēris 봇넷, 2,180만 RPS 공격으로 DDoS 기록 경신해

      2021.09.10 by 알약4

    • 9월 8일, 생체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개정안 공개

      2021.09.09 by 알약4

    • Groove 그룹, 해킹된 Fortinet 어플라이언스 크리덴셜 50만 건 유출해

      2021.09.09 by 알약4

    • Zoho 패치를 통해 ADSelfService Plus에서 적극적으로 악용된 취약점 수정

      2021.09.0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활발히 악용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데이 취약점 경고

      2021.09.09 by 알약4

    • Ghostscript 제로데이용 PoC 익스플로잇 게시돼

      2021.09.08 by 알약4

    • Microsoft와 CISA에서 Office 문서 취약점에 대한 완화 조치 촉구해

      2021.09.08 by 알약4

    HAProxy, 치명적인 HTTP 요청 밀수 공격에 악용되는 취약점 수정돼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로드 밸런서 및 프록시 서버인 HAProxy에서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이 공개되었습니다. CVE-2021-40346으로 등록된 해당 취약점은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에 악용될 수 있는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입니다. HTTP Request Smuggling은 웹사이트가 두 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HTTP 요청 시퀀스를 처리하는 방식을 변경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입니다. HTTP 비동기화라고도 하는 이 기술은 이는 프론트엔드 서버(예: HAProxy)와 백엔드 서버 간의 HTTP 요청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공격자는 일반적으로 본문에 추가 요청이 포함된 특수하게 조작된 요청을 전송하여 이 기술을 악용합니다. 공격자는 프록시 서버가 인식하지..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10. 11:40

    새로운 Mēris 봇넷, 2,180만 RPS 공격으로 DDoS 기록 경신해

    New Mēris botnet breaks DDoS record with 21.8 million RPS attack 지난 여름 동안 계속해서 성장해 온 새로운 DDoS 봇넷이 지난달 러시아의 IT 대기업인 Yandex를 공격했습니다. 해당 공격은 초당 요청 2,180만 건이라는 전례 없는 속도로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이 봇넷은 Mēris라 명명되었으며, 연구원들은 해당 봇넷이 해킹된 네트워킹 장비 수만 대로 이루어졌다고 추측했습니다. 크고 강력한 봇넷 Yandex를 공격한 대규모 DDoS 공격에 대한 소식이 이번 주 러시아 언론에서 보도되었으며, 러시아 언론은 이를 러시아 인터넷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공격이라 설명했습니다. Yandex와 DDoS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인 Qrator Labs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10. 09:00

    9월 8일, 생체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개정안 공개

    9월 8일, 기존의 '바이오정보 보호 가이드라인(2017.12)'을 개정한 '생체정보 보호 가이드라인'이 공개되었습니다. 개정 목적은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령 및 관련 고시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생체정보에 대하여 개념 및 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생체인식정보 보호를 위한 기본원칙과 처리 단계별 보호 조치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생체인식 정보의 안전한 활용기반을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생체정보란? 지문, 얼굴, 홍채, 정맥, 음성, 필적 등 개인의 신체적, 생리적, 행동적 특징에 관한 정보로서 특정 개인을 인증, 식별하거나 개인에 관한 특징(연령, 성별, 감정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일정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처리되는 정보입니다. 생체인식정보란? 생체정보 중 특정 개인을 인증, 식별할 목적으로 처리되는 정보..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9. 14:34

    Groove 그룹, 해킹된 Fortinet 어플라이언스 크리덴셜 50만 건 유출해

    Groove gang leaks list of 500k credentials of compromised Fortinet appliances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공격자 그룹인 Groove가 다수의 조직의 온라인 크리덴셜을 유출했습니다. 해당 랜섬웨어 그룹은 2021년 8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이중 갈취 전략을 사용합니다. 공격자는 Fortinet VPN 크리덴셜 약 50만 건을 포함한 목록을 유출해 공격자가 해킹된 VPN 어플라이언스를 사용하는 조직의 네트워크에 침투해 랜섬웨어를 드롭하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훔치는 등 악성 공격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해당 크리덴셜은 공격자가 지난 몇 개월 동안 Fortigate 어플라이언스에서 실행되는 Fortinet FortiOS의 C..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9. 14:00

    Zoho 패치를 통해 ADSelfService Plus에서 적극적으로 악용된 취약점 수정

    미국 CISA(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는 해커가 시스템 제어를 허용하는 Zoho의 ManageEngine ADSelfService Plus 암호 관리 솔루션의 치명적인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ADSelfService Plus는 Active Directory 및 클라우드 앱을 위한 통합 암호 관리와 싱글 사인온 솔루션이 필요한 대규모 조직을 대상으로 합니다. CVE-2021-40539로 식별된 취약점은 REST API URL에 영향을 미치는 인증 우회 취약점으로, 원격의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취약한 시스템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CVE-2021-40539는 올해 Zoho ManageEngine ADSelf..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9. 11:40

    마이크로소프트, 활발히 악용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데이 취약점 경고

    Microsoft warns of a zero-day in Internet Explorer that is actively exploited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재 공격자가 취약한 윈도우 시스템을 해킹하기 위해 인터넷 익스플로러 내 제로데이 취약점(CVE-2021-40444)을 활발히 악용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공격이나 공격자의 특성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무기화된 Office 문서를 퍼뜨리는 악성 스팸 공격을 실행하는 공격자가 악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SHTML에 존재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 영향을 미치며, CVSS 점수 8.8점을 받았습니다. MSHTML은 Windows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의 주요 HTML 컴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9. 09:00

    Ghostscript 제로데이용 PoC 익스플로잇 게시돼

    Researcher published PoC exploit for Ghostscript zero-day 보안 연구원인 Nguyen The Duc가 GitHub에 Ghostscript 제로데이 취약점에 대한 PoC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서버를 완전히 해킹하는데 악용할 수 있는 원격 코드 실행(RCE) 이슈 입니다. Ghostscript는 어도비(Adobe) 시스템의 PostScript 및 PDF 페이지 설명 언어용 인터프리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입니다. 문서 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인쇄하고, PostScript와 PDF 파일 간의 변환을 위한 페이지 설명 언어 파일의 래스터화 또는 렌더링에 주로 사용됩니다. 해당 라이브러리는 많은 서버에서 이미지 변환용으로 널리 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8. 14:00

    Microsoft와 CISA에서 Office 문서 취약점에 대한 완화 조치 촉구해

    마이크로소프트가 Windows 10의 Office 365 및 Office 2019에 영향을 미치는 MSHTML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표적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공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CISA는 사용자와 조직이 Microsoft Windows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인 CVE-2021-40444를 해결하기 위해 Microsoft의 완화 및 해결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2021년 9월 보고된 이 취약점은 EXPMON, Mandiant, Microsoft Security Intelligence와 같은 여러 사이버 보안 회사의 연구원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Microsoft Office 문서에서 사용되는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인 MSHTML에 존재합니다. 공격자는 브라우저 렌더..

    국내외 보안동향 2021. 9. 8. 11:4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