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03)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03)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ESRC 12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2022.01.26 by 알약3

    • 국제 행사 동시 통역사를 겨냥한 北 연계 해킹 시도 등장

      2022.01.26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셋째주)

      2022.01.25 by 알약1

    • Apache Log4j 취약점(CVE-2022-23302,CVE-2022-23305,CVE-2022-23307) 주의!

      2022.01.21 by 알약4

    •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01.21 by 알약5

    • Trojan.Ransom.Rook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01.20 by 알약5

    • "Don't forget to pay the tax within 2 days!" 제목으로 유포중인 혹스(Hoax) 메일 주의!

      2022.01.18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둘째주)

      2022.01.18 by 알약1

    ESRC 12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12월은 11월과 마찬가지로 택배 스미싱이 공격을 주도했습니다.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은 88.19%로 11월 대비 17% 정도 증가하며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이 9.59%,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이 1.52%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건강검진을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은 0.58%로 11월 대비 22% 정도 감소하며 공격자들이 다시 택배 키워드를 스미싱 공격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통계를 통해 주요 스미싱 공격 키워드가 건강검진에서 다시 택배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2월의 스미싱 트렌드를 살펴보도록 하겠..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6. 16:27

    국제 행사 동시 통역사를 겨냥한 北 연계 해킹 시도 등장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국제 행사 동시 통역사를 겨냥한 해킹 시도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ESRC는 최근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의 소행으로 분류된 새로운 사이버 위협 활동을 다수 포착하였습니다. 새로 발견된 공격은 마치 국제 행사의 동시 통역을 의뢰하는 것처럼 조작된 해킹 이메일을 다수의 통역 분야 종사자들에게 전송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통역사를 집중 겨냥한 표적 공격 사례는 매우 이례적으로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에 능통한 통역사들이 위협 대상에 대거 포함되었습니다. ESRC는 특정 통역사 대상 공격 의도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다각적 분석을 면밀히 진행 중이며, 측면 공격루트를 확보하기 위한 다단계 침투 시나리오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6. 09:43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1월 16일~01월 22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32건이고 그중 악성은 45건으로 34.09%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50건 대비 45건으로 5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9건(악성 3건)에서 최대 34건(악성 14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45건 중 Attach-Phishing형이 46.7%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e..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5. 09:30

    Apache Log4j 취약점(CVE-2022-23302,CVE-2022-23305,CVE-2022-23307) 주의!

    2022년 1월 20일, Apache는 Log4j에 대한 보안공지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공지는 CVE-2022-23302, CVE-2022-23305, CVE-2022-23307 취약점에 대한 내용이며, 취약점은 각각 JMSSink, JDBCAppender, Chainsaw 모듈에 존재합니다. CVE-2022-23302 : Apache log4j JMSSink 역직렬화 취약점 공격자가 Log4j 설정에 대해 수정 권한을 갖고있거나 구성이 공격자가 엑세스 할 수 있는 LDAP 서비스를 참조하는 경우 모든 Log4j 1.x 버전 중 JMSSink가 데이터 역직렬화에 취약합니다. 공격자는 TopicConnectionFactoryBindingName 설정을 전달하여 JMSSink로 하여금 JNDI reques..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1. 15:26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몇 년째 지속되고 있는 팬데믹 상황으로 모바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활용하려는 악성 앱들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 앱들이 활발히 유포되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럽에서도 스마트폰 사용자의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 앱들이 널리 유포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악성 앱들은 피해자의 은행 앱 로그인 정보, 신용카드 정보, 개인 정보(주민 번호) 등의 민감한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Trojan.Android.Banker 공격은 2차 공격을 통한 금전 갈취가 주요 목적입니다. 이 악성 앱의 주요 유포 방법은 변조된 웹 사이트나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를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1. 09:00

    Trojan.Ransom.Rook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지난해 말 새로운 Rook 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랜섬웨어는 지난해 4월 워싱턴 DC 경찰서를 침투해 파일 암호화 공격을 시행한 바북 락커(Babuk Locker) 코드와 유사합니다. Rook 데이터 유출 사이트에는 현재 두 명의 피해자로 한 은행과 인도 항공이 게시되어 있고 앞으로 기업 네트워크를 침해하고 장치를 암호화 해 많은 돈을 벌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Rook 랜섬웨어는 사용자 PC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Babuk 랜섬웨어 코드와 유사하나 ADS 사용, 암호화 로직에 차이가 있고 32비트 간격으로 암호화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로컬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된 모든 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20. 09:00

    "Don't forget to pay the tax within 2 days!" 제목으로 유포중인 혹스(Hoax)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Don't forget to pay the tax within 2 days!" 제목으로 혹스(Hoax)메일이 유포중에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혹스메일은 영문으로 발송되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Hi. How are you? I know, it's unpleasant to start the conversation with bad news, but I have n= choice. Few months ago, I have gained access to your devices that used by you for int=rnet browsing. Afterwards, I could track down all your internet..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18. 14:48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1월 09일~01월 15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15건이고 그중 악성은 50건으로 43.48%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8건 대비 50건으로 42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5건)에서 최대 28건(악성 21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50건 중 Attach-Phishing형이 48.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e..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 18. 09:3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