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ESRC 11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2020.12.04 by 알약3

    • '메일함 용량 초과' 경고로 위장한 피싱 메일 유포중!

      2020.12.02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1월 넷째주)

      2020.12.01 by 알약1

    • 이중 확장자로 위장한 AsyncRAT 유포 중!

      2020.11.30 by 알약2

    • 전자세금계산서가 도착했습니다. ‘국세청 사칭’ 악성 이메일 유포 중!

      2020.11.25 by 알약4

    • '찌라시'로 위장한 악성 HWP 파일 주의!

      2020.11.25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1월 셋째주)

      2020.11.24 by 알약1

    • [스페셜 리포트] 탈륨(김수키)과 코니 APT 그룹의 연관관계 분석 Part3

      2020.11.22 by 알약(Alyac)

    ESRC 11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개요 코로나19가 3차 팬데믹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지속되는 전염병 위험에 지쳐가고 있지만 스미싱 공격자들은 지속적으로 공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바뀐 생활 패턴에 택배 주문이 급증했으며 스미싱 공격자들도 이런 특징들을 공격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11월 스미싱 트렌드 ESRC에서 수집 한 11월의 스미싱 공격을 데이터와 통계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1월 한 달간 수집된 스미싱을 키워드로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키워드 SMS 내용 택배 택배 도착 등의 문구로 구성 건강검진 건강 검진 결과 등의 문구로 구성 금융 대출과 연관된 문구로 구성 수사기관 수사 기관을 사칭 [표 1] 수집 스미싱 문자들의 키워드 기반 분..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2. 4. 15:59

    '메일함 용량 초과' 경고로 위장한 피싱 메일 유포중!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LINE WORKS '메일함 용량 초과' 경고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림 1] '메일함 용량 초과' 경고로 위장한 피싱 메일 발견된 공격은 메일 수신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의 이메일을 발송해, 첨부된 악성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전형적인 ‘스피어 피싱’ 방식입니다. 기존 이메일 스피어 피싱 공격에는 압축 파일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워드(WORD) 문서 형태의 악성 파일이 첨부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 발견된 이메일 내부에는 별도의 파일이 첨부되지 않았으며 이미지 외 텍스트로 작성된 내용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웹 메일 알림'이라는 제목으로 전송된 이메일 본문에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 상단에..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2. 2. 13:46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1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1월 22일~11월 28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56건이고 그중 악성은 37건으로 23.72%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42건 대비 37건으로 5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3건(악성 1건)에서 최대 37건(악성 10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37건 중 Attach-Malware형이 54.1%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2. 1. 09:30

    이중 확장자로 위장한 AsyncRAT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 시큐리티 시큐리티 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중요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다량으로 발견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어 기업 담당자와 개인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ESRC에서 발견한 악성 파일 이름 목록입니다. 관리정산 및 모든자료_xls(3).scr전체정산표_및_관리자정보.zip전체정산표 및 관리자정보.xlsx .exe팬더티비 유출검색.zip1번 중요![검색서치]필수먼저키세요.exe2번 검색용(누르셔서bj명입력).exe기업은행 2020-11-13 입출금 거래내역.xlsx .exe전체회원정보 및 비밀번호포함_xls(4).scr거래안내_및_가격표_신청안내_xls3.exe[표 1] 악성 파일 이름 목록 전체회원정보 및 비밀번호포함_xls(4..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30. 14:59

    전자세금계산서가 도착했습니다. ‘국세청 사칭’ 악성 이메일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 입니다.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메일 안내’로 위장한 악성 이메일이 국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국내에 급속히 유포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림 1] 국세청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안내로 사칭한 이메일 화면 발견된 공격은 메일 수신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의 이메일을 발송해, 첨부된 악성 파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하는 전형적인 ‘스피어 피싱’ 방식입니다. 다만 기존 이메일 스피어 피싱 공격에는 압축파일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워드(WORD) 문서 형태의 악성 파일을 흔히 사용했으나, 이번 공격은 파워포인트 문서인 PPT 파일을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메일 수신자가 신뢰하고 첨부파일을 열어보도록, 발신지 주소까지 실제 홈택스 도..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25. 14:46

    '찌라시'로 위장한 악성 HWP 파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 입니다. 최근 국내 유통 대기업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보안 담당자의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사설정보지(속칭 ‘찌라시’)로 위장한 악성 한글 파일(HWP)이 발견돼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당 문서는 ‘정세균 총리 교체 시기 미뤄질 수도’, ‘비서실장직 선긋는 양정철’ 등 정치, 외교, 사회 등 언론 보도와 출처를 알 수 없는 소문 등을 짜깁기 한 내용으로 이뤄져 있어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그림 1] 사설정보지로 내용을 채운 악성 HWP 파일 해당 악성 문서는 공격 방식이나 특징으로 미뤄볼 때 북한 해킹 조직 ‘탈륨(Thallium)’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문서는 수정/편집이 불가능한 ‘한글 배포용 문서’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25. 09:48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1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1월 15일~11월 21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34건이고 그중 악성은 42건으로 31.3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66건 대비 42건으로 24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4건(악성 1건)에서 최대 37건(악성 12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42건 중 Attach-Malware형이 78.6%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24. 09:30

    [스페셜 리포트] 탈륨(김수키)과 코니 APT 그룹의 연관관계 분석 Part3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 입니다. 2020년 한해 대한민국은 다양한 사이버 침해사고를 당했고, 아직도 크게 나아지진 않았습니다. 북한, 중국 등이 배후로 의심되거나 실제 연계된 것으로 조사된 정부차원의 사이버 안보 위협은 이제 일상화 됐다해도 전혀 과언이 아닙니다. 이런 위협은 한국의 발전된 인터넷 인프라와 함께 우리 실생활 가깝게 도사리고 있지만, 사이버 공간의 특성상 쉽게 인지하거나 체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평소 보안의 중요성과 경각심을 유지하는건 어찌보면 어려운 것이 당연합니다. 해당 유형의 초기 침해사고는 내부 기밀자료 탈취 목표로 주로 정부나 공공기관, 기반시설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지만 지금은 각종 민간단체와 특정기업을 넘어 불특정 다수의 국민들까지 위협에 노출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22. 17:3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