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8)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2)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8)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2)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기기 160만대 이상을 감염시킨 Pink 봇넷 악성코드 발견

      2021.11.02 by 알약4

    • 이메일 내 링크가 포함된 이미지를 통하여 유포중인 NanoCore 악성코드 주의!

      2021.11.01 by 알약4

    • [스미싱] [CJ대한통운]고 객에게/연락할:수:없으니 배 송정 보확인해,주/세요.

      2021.11.01 by 알약3

    • 11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개인정보보호법> 정식 시행

      2021.11.01 by 알약4

    • Linux, FreeBSD를 암호화하는 Hive 랜섬웨어 변종 발견돼

      2021.11.01 by 알약4

    • 새로운 'Shrootless' 버그, macOS 시스템에 루트킷을 설치하도록 허용해

      2021.11.01 by 알약4

    • '오징어게임 다음시즌 캐스팅'을 위장한 피싱메일 주의!

      2021.10.29 by 알약4

    • 루팅 기능이 포함된 새로운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인 AbstractEmu 발견

      2021.10.29 by 알약4

    기기 160만대 이상을 감염시킨 Pink 봇넷 악성코드 발견

    Researchers Uncover 'Pink' Botnet Malware That Infected Over 1.6 Million Device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지난 6년 동안 실제 공격에서 발견된 "규모가 가장 큰 봇넷"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이 봇넷은 주로 중국에 위치한 기기 160만대 이상을 감염시켰습니다. 목적은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을 실행하고, 주의가 부족한 사용자들이 방문하는 HTTP 웹사이트에 광고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Qihoo 360의 Netlab 보안 팀은 이 봇넷을 "Pink"라 명명했습니다. 2019년 11월 21일 발견한 샘플에 "pink"로 시작하는 함수 이름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주로 MIPS 기반 광섬유 라우터를 노리는 이 봇넷은 봇과 컨트롤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2. 09:00

    이메일 내 링크가 포함된 이미지를 통하여 유포중인 NanoCore 악성코드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이메일 내 링크가 포함된 이미지를 통하여 악성코드를 유포중인 악성 메일이 확인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메일은 첨부문서 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습니다. 해당 이메일을 클릭하면 어떠한 내용도 없이 이미지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이미지에는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링크를 클릭 시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해당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scr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의 확장자는 .scr 파일이지만, 실제로는 압축파일로 압축파일 내에는 다음과 같이 여러개의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는 압축파일인지 확인하기는 힘들며, 다운로드 된 .scr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자신을 레지스트리..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11. 1. 17:23

    [스미싱] [CJ대한통운]고 객에게/연락할:수:없으니 배 송정 보확인해,주/세요.

    [10월 다섯 번째 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 문자내용 1 [CJ대한통운]고 객에게/연락할:수:없으니 배 송정 보확인해,주/세요.[ t9y[.]me/xxxx ] 2 구매 한 선물은 우체국택배 배송되었으며 배송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3 (택배CJ)알림 택배조회. hxxp://tinyurl[.]com/xxxxxxxx 4 [Web발신][국가보험공단]종합건강검진 진단서내용조회:xxx.xxxx[.]top 5 [Web발신] 한국의료재단 IFC종합검진센터 검진내용 발송완료. 내용..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1. 11. 1. 16:09

    11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개인정보보호법> 정식 시행

    8월 20일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30차 회의에서 이 가결되었으며, 2021년 11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되었습니다. 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자동화된 방식을 통하여 개인에게 정보 푸쉬, 마케팅, 개인의 특성과 관련이 없는 옵션을 제공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생체정보, 의료건강, 금융계정, 소재위치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에 대해 처리를 할 경우 반드시 개별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처리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 정지 혹은 해지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총 8장 74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법령을 기반으로 더 정교하고 완전하게 개인정보보호에서 준수해야 할 원칙과 개인정보처리규정에 대해 정의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1. 14:47

    Linux, FreeBSD를 암호화하는 Hive 랜섬웨어 변종 발견돼

    ESET found a variant of the Hive ransomware that encrypts Linux and FreeBSD ESET의 연구원들이 Linux 및 FreeBSD를 암호화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새로운 Hive의 새로운 랜섬웨어 변종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 새로운 랜섬웨어가 아직 개발 단계에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이 두 변종 모두 Golang으로 제작되었지만 문자열, 패키지 이름, 함수 이름은 난독화된 상태였습니다. Linux 변종은 일부 버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연구원들은 악성코드가 명시적 경로로 실행될 때 암호화 프로세스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랜섬웨어의 윈도우용 변종은 최대 5개의 실행 옵션을 지원하지만, 새로운 Linux 및 FreeBSD 변..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1. 14:00

    새로운 'Shrootless' 버그, macOS 시스템에 루트킷을 설치하도록 허용해

    New 'Shrootless' Bug Could Let Attackers Install Rootkit on macOS Systems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목요일 공격자가 macOS의 보안 제한을 우회하고 기기를 완전히 제어해 기존의 보안 솔루션에 탐지되지 않은 채 기기에서 임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취약점을 발견해 세부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Shrootless"라 명명되었으며 CVE-2021-30892로 등록되었습니다. Microsoft 365 Defender Research Team의 Jonathan Bar Or는 기술 문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post-install 스크립트가 포함된 Apple 서명 패키지가 설치되는 방식에 존재합니다." "공격자는 설치..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1. 09:00

    '오징어게임 다음시즌 캐스팅'을 위장한 피싱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한국의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드라마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오징어 게임을 사칭한 악성 메일들도 유포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ESRC에서는 오징어게임 시즌2의 탤런트 캐스팅 일정이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는 악성 메일을 수집하였습니다. 해당 메일은 "Squid game upcoming season background talent cast schedule"이라는 메일제목으로 유포중이며, 메일에는 "Casting Invite"라는 제목의 엑셀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엑셀 파일을 열어보면 오징어게임 TALENT FORM이라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이미지를 미리보기처럼 흐리게 보이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사용]을 클릭하도록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10. 29. 15:05

    루팅 기능이 포함된 새로운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인 AbstractEmu 발견

    AbstractEmu, a new Android malware with rooting capabilities Lookout Threat Labs의 보안 연구원이 구글 플레이 및 유명 타사 스토어(Amazon Appstore, Samsung Galaxy Store 등)에 배포되는 루팅 기능이 포함된 AbstractEmu라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발견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분석을 피하기 위해 코드 추상화 및 안티 에뮬레이션 검사 기능을 사용했습니다. 연구원들은 보고서에서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는 분석 중에 실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코드 추상화 및 안티 에뮬레이션 검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악성코드를 "AbstractEmu"라 명명했습니다. 관련 앱 총 19개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 7개에..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29. 14: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