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43)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6)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5)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2)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43)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6)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5)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2)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OpenSSL, 치명적인 서비스 거부 및 인증서 검증 취약점 수정

      2021.03.26 by 알약4

    • 윈도우, macOS, 안드로이드, iOS용 Cisco Jabber에서 치명적인 이슈 발견

      2021.03.25 by 알약4

    • iOS, 안드로이드 개발자, 플리스웨어 수백 개 통해 4억 달러 이상 벌어들여

      2021.03.25 by 알약4

    • Purple Fox 악성코드, 노출된 윈도우 시스템에 침투해

      2021.03.24 by 알약4

    •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돼

      2021.03.24 by 알약4

    • Black Kingdom 랜섬웨어, Microsoft Exchange 서버 공격해

      2021.03.23 by 알약4

    • GuardMiner 크립토마이너, 9가지 취약점 악용해

      2021.03.23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3월 셋째주)

      2021.03.23 by 알약1

    OpenSSL, 치명적인 서비스 거부 및 인증서 검증 취약점 수정

    OpenSSL fixes severe DoS, certificate validation vulnerabilities OpenSSL 프로젝트가 OpenSSL 제품에 숨어있는 심각도 높은 취약점 2개인 CVE-2021-3449, CVE-2021-3450에 대한 보안 권고를 발행했습니다. OpenSSL은 보안 통신을 설정해야 하는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빌드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CVE-2021-3449: NULL 포인터 역참조로 인한 서비스 거부 취약점으로 OpenSSL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 인스턴스에만 영향을 미침 - CVE-2021-3450: 부적절한 인증 기관(CA) 인증서 검증 취약점으로 서버, 클라이언트 인스턴스 모두에 영향을..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6. 09:00

    윈도우, macOS, 안드로이드, iOS용 Cisco Jabber에서 치명적인 이슈 발견

    Cisco Jabber for Windows, macOS, Android and iOS is affected by a critical issue Cisco가 치명적인 임의 프로그램 실행 이슈를 수정했습니다. CVE-2021-1411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Windows, macOS, Android, iOS용 Cisco Jabber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일부 버전에 존재합니다. Cisco Jabber는 인스턴트 메시징, 음성 및 영상 통화, 음성 메시징, 데스크톱 공유, 회의 및 참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CVE-2021-1411 취약점은 수신 중인 메시지의 부적절한 입력 검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CVSS 점수 10점 만점에 9.9점을 기록했습니다. Cisco에서 게시한 보안 권고에서는 아래와 같이 언급되었..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5. 14:20

    iOS, 안드로이드 개발자, 플리스웨어 수백 개 통해 4억 달러 이상 벌어들여

    Hundreds of fleeceware apps earn dubious iOS, Android developers over $400 million 연구원들이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플리스웨어(fleeceware) 수백 개를 발견했습니다. 개발자는 플리스웨어 앱을 통해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토커웨어, 스파이웨어, 악성 광고 앱은 스파잉, 데이터 도용, 사용자들에게 광고 폭격을 가해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 기기를 감염시키지만, 플리스웨어는 ‘구독’ 요금을 부과하기 전 피해자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합니다. ‘무료’ 체험판이라고 설명하며 사용자에게 설치를 유도하는 플리스웨어는 앱을 사용하는 대가로 과도한 요금을 청구합니다. 일부 사례에서는 1년에 $3,000 이상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5. 09:42

    Purple Fox 악성코드, 노출된 윈도우 시스템에 침투해

    Purple Fox malware worms its way into exposed Windows systems 과거 익스플로잇 킷과 피싱 이메일을 통해 배포된 악성코드인 Purple Fox가 인터넷을 통해 노출된 윈도우 시스템을 검색해 감염시키는 웜 모듈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루트킷 및 백도어 기능과 함께 제공되며 2018년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당시 최소 3만대의 기기를 감염시켰으며, 다른 악성코드 변종을 배포하기 위한 다운로더로 사용되었습니다. Purple Fox의 익스플로잇 모듈은 과거에도 윈도우 시스템을 노렸습니다. 이들은 메모리 충돌 및 권한 상승 취약점을 악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윈도우 사용자를 감염시켰습니다. 2020년 5월 이후로 Purple Fox 공격이 크게..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4. 14:00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돼

    WARNING: A New Android Zero-Day Vulnerability Is Under Active Attack 공격자들이 Qualcomm 칩셋을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점을 무기화하여 타깃 공격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VE-2020-11261 (CVSS 점수 8.4)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Qualcomm의 그래픽 컴포넌트 내 “부적절한 입력 유효성 검사” 이슈이며, 공격자가 설계한 앱이 기기 메모리의 많은 부분에 접근을 요청할 때 메모리 충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글은 3월 18일 1월 보안 공지를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 했습니다. “CVE-2020-11261 취약점이 제한적인 타깃 공격에 악용되고 있다는 징후가 발견되었습니다.” CVE-2020-11261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4. 09:00

    Black Kingdom 랜섬웨어, Microsoft Exchange 서버 공격해

    Microsoft Exchange servers now targeted by Black Kingdom ransomware 'Black Kingdom' 랜섬웨어가 서버를 암호화하기 위해 Microsoft Exchange 서버의 ProxyLogon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주말, MalwareTech의 Marcus Hutchins는 트위터를 통해 공격자가 랜섬웨어를 배포하기 위해 ProxyLogon 취약점을 악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를 해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허니팟 로그 확인 결과 공격자가 'yuuuuu44[.]com'로부터 랜섬웨어 실행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로 푸시하는 PowerShell 스크립트를 실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허니팟은 공격자를 유인..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3. 14:33

    GuardMiner 크립토마이너, 9가지 취약점 악용해

    GuardMiner利用9种手法攻击传播,腾讯安全全面拦截 Tencent Security Threat Intelligence Center가 Elasticsearch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5-1427)을 포함한 9가지 취약점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호스트에 대한 공격을 시작한 GuardMiner 크립토마이너 트로이목마의 새로운 공격 활동을 감지했습니다. GuardMiner는 2019년에 처음 등장해 2년 이상 활동해 온 마이닝 트로이목마로, Go 언어로 작성된 바이너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Windows 플랫폼과 Linux 플랫폼을 공격합니다. GuardMiner는 crontab 타이밍 작업을 사용하고 SSH 공개 키 백도어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 트랜잭션..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3. 14:31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3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3월 14일~03월 20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91건이고 그중 악성은 44건으로 48.35%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45건 대비 44건으로 1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3건(악성 1건)에서 최대 21건(악성 12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44건 중 Attach-Malware형이 68.2%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3. 23.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