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3)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3)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Cisco, Jabber의 치명적인 RCE 취약점 수정

      2020.12.11 by 알약4

    • [스미싱] 배송 업체에서 배송을 준비했으며 오늘 16:00에 배송 될 예정입니다 자세히보기.

      2020.12.10 by 알약3

    • Apache Struts 2의 코드 실행 취약점 수정돼

      2020.12.10 by 알약4

    • 공격자들, CSS 파일에 소프트웨어 스키머 숨겨

      2020.12.10 by 알약4

    • D-Link VPN 라우터에서 치명적인 원격 해킹 취약점 발견

      2020.12.09 by 알약4

    • 북한 동향정보, 통일 이야기 공모전 문서 사칭… 北 연계 APT 조직 공격 주의보

      2020.12.0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서 ‘제로 클릭’ 웜 RCE 취약점 발견

      2020.12.09 by 알약4

    • 사업자등록증을 이용한 지능형 국내 포탈 사이트 피싱 메일 주의!!

      2020.12.08 by 알약4

    Cisco, Jabber의 치명적인 RCE 취약점 수정

    Cisco addresses critical RCE vulnerability in Jabber Cisco가 윈도우, macOS 및 모바일 플랫폼용 Cisco Jabber의 버전 다수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RCE) 취약점을 수정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Cisco Jabber는 XMPP를 통해 사용자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및 웹 회의용 데스크톱 프로그램입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CEF(Chromium Embedded Framework)에서 빌드되었으며 UI에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웹 기술을 사용합니다. 지난 9월, Cisco는 Cisco Jabber에 존재하는 XSS(Cross-Site Scripting) 이슈로 인해 발생하는 또 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11. 09:00

    [스미싱] 배송 업체에서 배송을 준비했으며 오늘 16:00에 배송 될 예정입니다 자세히보기.

    [12월 두번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배송 업체에서 배송을 준비했으며 오늘 16:00에 배송 될 예정입니다 자세히보기. hxxps://tinyurl[.]com/xxxxxx2 제품이 배송되었으며 구매 주문이 완료되었습니다. hxxps://tinyurl[.]com/xxxxxx3 제품이 배송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아래 URL을 클릭하십시오` hxxps://tinyurl[.]com/xxxxxx4 상품이 해당 위치로 배송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xxps://tinyurl[.]com/xxxxxx5 [국..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0. 12. 10. 18:09

    Apache Struts 2의 코드 실행 취약점 수정돼

    Apache Software Foundation fixes code execution flaw in Apache Struts 2 Apache Software Foundation이 Struts2에 존재하는 OGNL(Object-Graph Navigation Language) 기술과 관련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수정하기 위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CVE-2020-17530로 등록된 이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은 tag 속성 내 raw 사용자 입력을 평가 시 수행되는 강제 OGNL 평가에 존재합니다. Apache Software Foundation는 권고문을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태그 속성의 raw 사용자 입력을 평가할 때 수행되는 강제 OGNL 평가는 S2-059와 유사하게 원격 코..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10. 14:00

    공격자들, CSS 파일에 소프트웨어 스키머 숨겨

    Crooks hide software skimmer inside CSS files 보안 연구원들이 공격자가 웹사이트에 소프트웨어 스키머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한 새로운 기술을 발견했습니다. 공격자는 CSS 파일에 악성코드를 숨겼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지난 몇 달 동안 여러 Magecart 공격 기술을 분석했으며, 공격자들은 실시간 채팅 창, 이미지, 파비콘을 포함한 사이트 컴포넌트 다수에 악성 코드를 숨기는 방식으로 웹사이트를 해킹했습니다. 보안 회사인 Sansec의 연구원들은 소프트웨어 스키머 CSS 파일을 숨기는 Magecart 공격을 발견했습니다.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가 어떻게 표현될지 설명하는 스타일 시트 언어입니다. CSS..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10. 09:01

    D-Link VPN 라우터에서 치명적인 원격 해킹 취약점 발견

    WARNING — Critical Remote Hacking Flaws Affect D-Link VPN Routers D-Link VPN 라우터 모델 중 일부에서 위험도 높은 보안 취약점 3개가 발견되어 가정 및 비즈니스용 네트워크 수백만 개가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었습니다. 네트워크가 강력한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Digital Defense의 연구원들이 발견한 이 세 가지 보안 취약점은 지난 8월 11일 D-Link 측에 제보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이 악용될 경우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요청을 통해 취약한 네트워킹 기기에서 원격으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거부(DoS) 공격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펌웨어 버전 3.14 및 3.17을 실행하는 D-Link DSR-..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9. 14:00

    북한 동향정보, 통일 이야기 공모전 문서 사칭… 北 연계 APT 조직 공격 주의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탈륨’과 ‘금성121'등 북한 연계 조직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APT 공격이 연이어 발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APT 공격은 통일부 사칭 악성 이메일 공격과 평화 통일 관련 이야기 공모전 신청서를 사칭한 악성 HWP 문서 공격입니다. [그림] 통일부 자료 사칭 이메일과 통일 관련 공모전 신청서 사칭 HWP 파일 먼저 통일부 사칭 공격은 악성 문서 파일을 첨부한 이메일을 발송해 수신자가 파일을 열어보도록 현혹하는 전형적인 스피어피싱 공격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첨부파일이 아닌 악성 링크를 활용한 공격입니다. 공격자가 발송한 이메일 본문에는 통일부에서 정식 발행한 것처럼 정교하게 조작된 문서 첫 장의 이미지가 삽입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2. 9. 13:41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서 ‘제로 클릭’ 웜 RCE 취약점 발견

    Zero-Click Wormable RCE Vulnerability Reported in Microsoft Teams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서 클릭이 필요하지 않은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특수 제작한 채팅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임의 코드를 실행하고 타깃의 시스템을 해킹할 수 있습니다. 이 이슈는 지난 8월 31일 Evolution Gaming의 보안 엔지니어인 Oscars Vegeris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제보한 후 10월 말에야 수정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취약점에 CVE 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없이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제품에는 CVE를 부여하지 않는 정책”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Vegeris는 이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9. 09:00

    사업자등록증을 이용한 지능형 국내 포탈 사이트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한 부품 수출 기업을 사칭하여 국내 유명 포털사이트 계정을 노리는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PRD Tech 견적”이라는 제목으로 수신되었으며 사업자 등록증 첨부 파일 확인 후 견적 요청을 보내달라는 내용으로 사용자 클릭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포털 사이트 계정을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그림 1] 포털사이트 계정 탈취를 위한 피싱 공격 이메일 화면 첨부 파일에는 '사업자등록증.pdf', '견적 ROQ-283631.PDF.htm', '견적 ROQ-283631.zip'과 같은 파일명이 사용되었고, zip 파일 내 포함되어 있는 'Dongwoo Estimate.htm' 파일은 '견적 ROQ-..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2. 8. 15:2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