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보기 (463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59) N
    • 국내외 보안동향 (2700)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944) N
    • 전문가 기고 (102)
    • 알약人 이야기 (61) N
    • PC&모바일 TIP (106)
    • 스미싱 알림 (454)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463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59) N
      • 국내외 보안동향 (2700)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944) N
      • 전문가 기고 (102)
      • 알약人 이야기 (61) N
      • PC&모바일 TIP (106)
      • 스미싱 알림 (454)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6·15 남북공동선언기념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으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주의

      2022.06.15 by 알약4

    • 6월 15일, 인터넷 익스플로어(Internet Explorer) 지원종료

      2022.06.15 by 알약4

    •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200만회 이상 다운로드 돼

      2022.06.15 by 알약4

    • 러시안 해커들, Follina 익스플로잇으로 우크라이나 노려

      2022.06.14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둘째주)

      2022.06.14 by 알약1

    • Chrome 브라우저, 7개 취약점 패치! 빠른 업데이트 권고

      2022.06.14 by 알약4

    •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2022.06.14 by 알약4

    • Atlassian Confluence 서버의 CVE-2022-26134 RCE 취약점, 랜섬웨어 배포에 악용돼

      2022.06.13 by 알약4

    6·15 남북공동선언기념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으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6·15 남북공동선언 22주년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처럼 위장한 해킹 공격이 발견돼 관계자 여러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번 공격은 새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방향을 진단하고 남북 평화를 모색하기 위해 준비된 통일정책포럼 관련 내용처럼 위장하고 있습니다. 공격자는 전형적인 이메일 피싱 수법을 활용하여 ‘동북아 신 지정학과 한국의 옵션.hwp’ 문서가 클라우드 첨부파일로 있는 것처럼 화면을 구성했고, 실제 포럼 행사에 발표자로 참석하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교수가 보낸 것처럼 사칭했습니다. 해당 포럼은 실제로 6월 1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되며, 외교·안보·통일 및 대북 분야 전문가들이 발표 및 토론자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만약 수신자가 해당 첨부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6. 15. 10:35

    6월 15일, 인터넷 익스플로어(Internet Explorer) 지원종료

    Internet Explorer (almost) breathes its final byte on Wednesday 6월 15일, Microsoft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의 지원이 종료됩니다. 이는 1995년 8월 24일 이후, 약 27년만입니다. 지원이 종료되면, Internet Explorer 데스크톱 응용프로그램이 비활성화 되며,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자동으로 Chromium 기반 Microsoft Edge로 대체됩니다. 다만, Windows 7 ESU, Windows 8.1 및 모든 버전의 Windows 10 LTSC 클라이언트, IoT 및 서버에서는 2022년 6월 15일 이후에도 Internet Explorer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지원되는 운영체제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5. 10:34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200만회 이상 다운로드 돼

    Android malware on the Google Play Store gets 2 million download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지난달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애드웨어 및 정보 탈취 악성코드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앱 중 최소 5개는 여전히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누적 다운로드 수는 2백만 회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원하지 않는 광고를 표시하는 애드웨어에 감염될 경우 사용자 경험 저하, 배터리 소모, 열 발생 등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증상이 나타나며 심지어는 승인하지 않은 요금이 청구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보통 호스트 기기에서 다른 소프트웨어로 위장해 숨으려 시도하고, 피해자가 제휴 광고를 보거나 클릭하도록 해 운영자가 원격으로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5. 09:00

    러시안 해커들, Follina 익스플로잇으로 우크라이나 노려

    Russian hackers start targeting Ukraine with Follina exploits 우크라이나 CERT가 러시아 해킹 그룹인 Sandworm이 현재 CVE-2022-30190으로 등록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지원 진단 도구(MSDT)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인 Follina를 악용 중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해당 보안 취약점은 특수하게 제작된 문서를 오픈하거나 선택할 경우 트리거될 수 있으며, 공격자들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공격에 이를 악용해 왔습니다. 우크라이나 CERT는 이 공격의 배후에 Sandworm 해커 그룹이 있을 것이라 어느정도 확신한다고 밝혔습니다. 미디어 조직 노려 CERT-UA에 따르면 러시아 해커들은 Follina를 악용한 새로운 악성 이메일 캠페인..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4. 14: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6월 05일~06월 11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03건이고 그중 악성은 36건으로 34.95%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37건 대비 36건으로 1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건(악성 2건)에서 최대 30건(악성 11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36건 중 Attach-Malware형이 58.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Link-Malware형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6. 14. 13:45

    Chrome 브라우저, 7개 취약점 패치! 빠른 업데이트 권고

    Time to update: Google patches seven Chrome browser bugs, four rated 'high' risk Google은 전 세계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브라우저에서 발견된 7개의 보안 취약점을 수정한 업데이트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에 수정된 7개의 보안 취약점에는 4개의 위험도 '높음'으로 분류된 취약점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미국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기관(CISA)은 공격자가 Windows, Mac 및 Linux용 크롬(Chrome) 취약점을 악용하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CISA는 보안 취약점 악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최신 버전의 크롬(102.0.5005.115)으로 업데이트 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이번에 패치된 7개의 취약점 중,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4. 12:43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New Syslogk Linux rootkit uses magic packets to trigger backdoor 새로운 리눅스 루트킷 악성코드인 'Syslogk'가 특수 제작된 "매직 패킷"을 통해 기기에서 휴면 상태인 백도어를 깨워 악성 프로세스를 숨기는 공격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현재 활발히 개발되는 중입니다. 제작자는 오래된 오픈소스 루트킷인 Adore-Ng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Syslogk는 모듈을 리눅스 커널(버전 3.x 지원)에 강제로 로드하고, 디렉토리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숨길 수 있으며, 결국에는 'Rekoobe'라는 백도어를 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매직 패킷을 사용하여 백도어 로드하기 리눅스 루트킷은 운영 체제에 커널 모..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4. 09:00

    Atlassian Confluence 서버의 CVE-2022-26134 RCE 취약점, 랜섬웨어 배포에 악용돼

    Ransomware gangs are exploiting CVE-2022-26134 RCE in Atlassian Confluence servers 여러 랜섬웨어 그룹이 Atlassian Confluence Server 및 Data Center에 존재하는 최근 공개된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CVE-2022-26134)을 활발히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Bleeping Computer는 CVE-2022-26134 취약점에 대한 PoC 익스플로잇이 온라인에 공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사이버 보안 회사인 GreyNoise의 연구원은 23개의 고유 IP 주소가 해당 Atlassian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원격 공격자는 이 OGNL 주입 취약점을 악용하여 취약한 서버를..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3. 14:00

    추가 정보

    인기글

    1. -
      -
      Atlassian Confluenc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6134) 주의!

      2022.06.03 13:50

    2. -
      -
      매그니배르(Magniber) 랜섬웨어, 타이포스쿼팅 방식을 통해 또 다시 유포중!

      2022.06.24 16:28

    3. -
      -
      보안 솔루션을 가장한 악성 앱 분석

      2022.06.08 11:23

    4. -
      -
      새로운 ‘DogWalk’ 윈도우 제로데이 버그 발견

      2022.06.08 09:00

    최신글

    1. -
      -
      ESRC 5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 -
      -
      국회입법조사처 사칭하여 '국방·외교·안보'분야 교수 해킹을 시도하는 北 연계 해킹공격 주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3. -
      -
      [보안뉴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문종현 센터장 인터뷰!

      알약人 이야기

    4. -
      -
      OpenSSL 원격 메모리 손상 버그 주의!

      국내외 보안동향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5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