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0 Spectre 2 보안을 위한 Retpoline 활성화

      2019.03.06 by 알약(Alyac)

    •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클롭(CLOP) 랜섬웨어 주의!

      2019.03.05 by 알약(Alyac)

    • Proton의 보안 팀으로 위장한 GarrantyDecrypt 랜섬웨어 변종 발견돼

      2019.03.05 by 알약(Alyac)

    • Google+ 서비스 2019년 4월 2일 종료

      2019.03.05 by 알약(Alyac)

    • Nexus Repository Manager 3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7238) 주의!

      2019.03.05 by 알약(Alyac)

    • Cisco 무선 라우터의 RCE 결점(CVE-2019-1663) 업데이트

      2019.03.04 by 알약(Alyac)

    • 이스트시큐리티, 제 8회 eGISEC 2019(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 참가 소식 (3/6(수)~8일(금))

      2019.03.04 by 알약(Alyac)

    • ColdFusion의 심각한 제로데이 버그 실제 공격에 악용 돼, 즉시 업데이트 필요

      2019.03.04 by 알약(Alyac)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0 Spectre 2 보안을 위한 Retpoline 활성화

    Microsoft enabled Retpoline mitigations against the Spectre Variant 2 for Windows 10 지난 주말, 마이크로소프트가 Spectre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Retpoline을 활성화하는 윈도우 10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2018년 1월 구글의 Project Zero 연구원들은 Intel, AMD, ARM 등 대부분의 최신 프로세서에 영향을 미치는 Meltdown과 Spectre 사이드 채널 공격을 발견했습니다. ▶ Meltdown&Spectre 취약점이란? Meltdown 공격(CVE-2017-5754)은 공격자들이 타겟 장비의 물리적 메모리 전체를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해 인증 정보, 개인 정보 등이 도난당할 수 있습니다. Meltdown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6. 10:09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클롭(CLOP)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입니다. 기업 대상 윈도우 서버를 공격하는 클롭(CLOP) 랜섬웨어가 대량으로 유포 중에 있어 기업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클롭(CLOP) 랜섬웨어는 개인이 아닌 기업들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하며, 이미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도 2월 22일 주의 공지를 게재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고 국내 기업들의 피해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어제(4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또 한번 주의 공지를 발표하였습니다. 클롭(CLOP) 랜섬웨어는 기업에서 운용중인 AD 관리자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업 서버에 침투하며, 다른 랜섬웨어들과는 다르게 유효한 전자 서명을 포함하고 있어 백신 우회를 시도합니다. [그림1..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3. 5. 15:29

    Proton의 보안 팀으로 위장한 GarrantyDecrypt 랜섬웨어 변종 발견돼

    Ransomware Pretends to Be Proton Security Team Securing Data From Hackers ProtonMail과 ProtonVPN을 운영하는 Proton Technologies의 보안 팀으로 위장한 GarrantyDecrypt 랜섬웨어의 최신 변종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랜섬웨어 패밀리는 지난 2018년 10월 랜섬웨어 연구원인 Michael Gillespie가 발견했으며, 다른 랜섬웨어와 같이 대규모 배포 공격을 한 적은 없지만 공개된 직후 꾸준히 피해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ID-Ransomware에 이 랜섬웨어의 랜섬노트나 암호화된 파일을 꾸준히 등록하고 있습니다. [그림] GarrantyDecrypt의 등록 현황 지난 2월 또 다시 발견된 Garra..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5. 14:33

    Google+ 서비스 2019년 4월 2일 종료

    Your Google+ account is being deleted on April 2 구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구글플러스가 올해 4월부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이에 앞서 2월 4일부터 구글플러스에서 신규 프로필 생성, 페이지 생성과 이벤트, 그룹 만들기 서비스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구글이 2011년부터 운영해온 소셜 미디어 '구글 플러스'에서 개인 정보 유출 사고가 원인이 되었습니다. 2018년 3월 구글의 내부 보안 감사 결과 구글 플러스의 보안 허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단순 버그가 아니라 외부 개발자가 구글 플러스 이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친구에게만 접근 가능한 데이터가 앱 개발자에게 모두 공개되는 치명적인 버그였습니다. 작년 10월 구글 플러스 이용자 50만..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5. 13:30

    Nexus Repository Manager 3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7238) 주의!

    최근, 중국의 Tencent가 Nexus Repository Manager 3 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7238)을 발견하였습니다. 취약점 개요 Nexus Repository Manager 3 액세스 제어 수단이 부재하여,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적 문제을 악용하여 서버에서Java 코드를 실행하는 특정 request를 보내 원격에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2월 5일, 해당 취약점은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 되었으며, 약 15일 이후부터 채굴 악성코드들이 악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취약점이 발견된 이후 악용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취약점 번호 CVE-2019-7238 영향받는 버전 Nexus Repository M..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5. 11:15

    Cisco 무선 라우터의 RCE 결점(CVE-2019-1663) 업데이트

    Cisco addressed CVE-2019-1663 RCE flaw in wireless routers Cisco가 몇몇 무선 라우터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취약점인 CVE-2019-1663을 업데이트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장비에서 원격으로 코드 실행이 가능하도록 허용합니다. 이 취약점은 CVSS 점수 9.8을 받았으며, 웹 기반 관리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3개의 라우터 모델에서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를 적절히 검증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이 웹 기반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로컬 LAN 연결이나 원격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할 수 있지만, 연구원들은 원격 관리 기능이 기본적으로 비 활성화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시스코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웹 기반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은 Cisc..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4. 13:59

    이스트시큐리티, 제 8회 eGISEC 2019(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 참가 소식 (3/6(수)~8일(금))

    이스트시큐리티에서 오는 3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제 8회 eGISEC 2019(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에 참가한다는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이스트시큐리티 부스에서는 10년 이상 엔드포인트 노하우와 1,600만 알약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려지지 않은 위협을 선차단하는 '알약 EDR' 솔루션과 악성코드 위협 대응 솔루션 'Threat Inside'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선보여 드릴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eGISEC 2019에서는 이스트시큐리티가 직접 진행하는 여러 세미나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전시 부스 내에서 매일 2회 진행되는 미니 세미나와, 전시회 장내에 따로 마련된 기술세미나장에서 진행되는 EDR 솔루션 주제의 기술 세미나를 통해 최신 보안 동향과 공격 사례,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9. 3. 4. 09:47

    ColdFusion의 심각한 제로데이 버그 실제 공격에 악용 돼, 즉시 업데이트 필요

    Update ColdFusion Now, Critical Zero-Day Bug Exploited in the Wild 금일 어도비가 ColdFusion 웹 앱 개발 플랫폼의 치명적인 취약점을 수정하는 긴급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이 버그는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 공격에 악용 되고 있습니다. 이 보안 이슈는 공격자가 파일을 업로드 하는데 걸린 제한을 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악용을 위해서 공격자들은 웹 서버의 파일 디렉토리에 실행 가능한 코드를 업로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도비에 따르면, 이후 이 코드는 HTTP 요청을 통해 실행이 가능합니다. 치명적인 버그, 실제 공격에 악용 돼 현재 업데이트를 받지 않은 모든 ColdFusion 버전이 플랫폼에 상관 없이 이 취약점 (CV..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4. 08:2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08 409 410 411 412 413 414 ··· 6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