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2016년 예상 보안이슈!

      2015.12.14 by 알약(Alyac)

    • 2015년 주요보안이슈 정리!

      2015.12.14 by 알약(Alyac)

    • [스미싱] 친구야 선물택배로 보냈다 확인해

      2015.12.11 by 알약(Alyac)

    • ‘vvv랜섬웨어’, 감염경로는 ‘스팸’과 ‘취약성 공격사이트’

      2015.12.10 by 알약(Alyac)

    • 일본, .vvv 확장자로 암호화 시키는 랜섬웨어 발견

      2015.12.08 by 알약(Alyac)

    • 리눅스를 타겟으로 하는 Rekoobe 악성코드 발견!

      2015.12.07 by 알약(Alyac)

    • 인기 있는 모바일 앱들, 3년 된 취약점에 위협 받아

      2015.12.07 by 알약(Alyac)

    • [스미싱] [우체국] 중요등기 부재중 전달불가. 간편확인>>>

      2015.12.04 by 알약(Alyac)

    2016년 예상 보안이슈!

    안녕하세요 알약맨입니다. 2016년에 발생할 보안이슈들을 예상해 보았습니다. 1. 랜섬웨어 공격대상 범위의 확대2015년 상반기부터 조금씩 증가하기 시작한 랜섬웨어 공격은, 2015년 하반기에 그 피해사례가 급증하였고, 2016년에도 랜섬웨어 공격은 여전히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기존 Windows OS 사용자뿐만 아니라 리눅스나 OS X같은 타OS,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등을 타겟으로 랜섬웨어의 공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IE 구버전 지원종료로 인한 제로데이 공격 2016년 1월 12일을 기점으로 IE11을 제외한 IE 구버전에 대한 MS 지원이 종료됩니다. IE에 대한 지원이 종료됨에 따라, IE 구버전에서 새로운 취약점이 발견되어도 취약점 패치가 제공..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5. 12. 14. 16:13

    2015년 주요보안이슈 정리!

    안녕하세요 알약맨입니다. 2015년에도 다양한 보안이슈들이 일어났는데요, 연말을 맞이하여 한해동안 발생했던 여러 보안이슈들 중 TOP 5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다양한 영역에서의 보안 취약점 발견Linux glibc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한 Ghost 취약점(cve-2015-0235), Samba 취약점(cve-2015-0204), FREAK SSL 취약점(cve-2015-0204) 등 PC영역에서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Serialization 취약점, Stagefright 취약점 등 모바일 영역에서도 보안 취약점들이 발견되어, 보안위협이 PC뿐만 아니라 모바일까지 확대된 한 해였습니다. 가장 이슈가 되었던 Stagefright 취약점과 관련해서는 다행히도 아직까지는 관련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5. 12. 14. 16:06

    [스미싱] 친구야 선물택배로 보냈다 확인해

    [12월 둘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국외발신] 고객님 오늘 배송예정 우체구.2 고객님 배송 반송되었습니다.운송장확인 가능한 서비스주소[ 3 친구야 선물택배로 보냈다 확인해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a^(축8하(:해8주)세q요^^ 2 택배가 도착하면 내용물을 확인하세요 3 생일파티에 초대합니다 8월28일19시 꼭와주세요^^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5년 12월 7일 ~ 12월11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5. 12. 11. 09:30

    ‘vvv랜섬웨어’, 감염경로는 ‘스팸’과 ‘취약성 공격사이트’

    ‘vvv랜섬웨어’, 감염경로는 ‘스팸’과 ‘취약성 공격사이트’「vvvランサムウェア」、感染経路は「スパム」と「脆弱性攻撃サイト」 최근 일본 SNS에서 이슈가 되었던 'vvv랜섬웨어'에 관하여 트렌드 마이크로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 'vvv랜섬웨어' 자세히 보기) 트렌드 마이크로 조사에 따르면, 이번 vvv랜섬웨어의 주된 감염경로는 '스팸메일'과 '취약한 웹사이트'라고 하였습니다. 처음에 트렌드마이크로는 이번 vvv악성코드가 다른 악성코드와 비교하였을 때 특별하게 확산범위나 피해가 크지 않으며, 일본 내에서의 피해도 한정적이라는 견해를 12월 7일날 밝혔지만, 일본 내 관심이 높은 화제라서 조사를 진행했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일본에서 이슈된 vvv랜섬웨어는 사용자 PC에 있는 문서들을 암호화 하고..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2. 10. 14:10

    일본, .vvv 확장자로 암호화 시키는 랜섬웨어 발견

    일본, .vvv 확장자로 암호화 시키는 랜섬웨어 발견「.vvv」ウイルスの被害と対策。強制暗号=ランサムウェアが、サイト表示=広告だけで感染してしまう 최근 일본에서 파일들을 .vvv 확장자로 변환시키는 랜섬웨어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12월 5일부터, 일본의 SNS에서는, .vvv 확장자로 변환시키는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는 글들이 속속 올라왔으며, Malvertising형태로 유포되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MalvertisingMalware + Advertising의 줄임말로, 광고서버가 해킹되어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유포되는 것 감염된 일본 사용자들에 따르면, 해당 랜섬웨어에 감염 후 감염 PC에 존재하는 특정 확장자 파일들을 .vvv 확장자로 암호화 시킬 뿐만 아니라, Windows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2. 8. 13:00

    리눅스를 타겟으로 하는 Rekoobe 악성코드 발견!

    리눅스를 타겟으로 하는 Rekoobe 악성코드 발견!Rekoobe a new malware targeting Linux users 최근 Rekoobe라는 리눅스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10월달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2개월이 지난 12월, 분석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Rekoobe 악성코드는 최초에 Linux SPARC 구조를 감염시켰으나, 점점 진화하여, 32비트 및 64비트 인텔 칩 상에 있는 리눅스를 감염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Rekoobe악성코드 구조 자체는 매우 간단하지만, 탐지하기가 힘듭니다. 자신의 구성파일 및 C&C서버와 주고받는 데이터들을 암호화하기 때문입니다. 악성코드의 구성파일들은 xor 방식의 암호화를 통하여 문서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문서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2. 7. 17:02

    인기 있는 모바일 앱들, 3년 된 취약점에 위협 받아

    인기 있는 모바일 앱들, 3년 된 취약점에 위협 받아High-Profile Mobile Apps At Risk Due to Three-Year-Old Vulnerability 스마트폰, 라우터, 스마트 TV를 포함한 총 610만대의 기기들이 2012년에 수정 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인해 위협에 노출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Portable SDK for UPnP™ 기기에 존재하며, libupnp라 불리기도 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미디어 플레이백(DLNA) 또는 NAT traversal (UPnP IGD)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스마트폰의 앱들은 미디어 파일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 안의 다른 기기에 연결할 때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해당 취약점은 지난 2012..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2. 7. 11:15

    [스미싱] [우체국] 중요등기 부재중 전달불가. 간편확인>>>

    [12월 첫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우체국] 중요등기 부재중 전달불가. 간편확인>>>2 오빠 8282 3 명절 상품권 보내드렸습니다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엔씨소프트.택배가 도착하면 내용물을 확인하세요 2 나 기억해 우리 옛날 사진 함 보라 3 결lO(혼)oO초(*^3^*)v청e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5년 11월 30일 ~ 12월4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5. 12. 4. 09: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09 610 611 612 613 614 615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