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페이스북, 사용자 데이터 수집 혐의로 크롬 확장 프로그램 2개 고소

      2020.10.05 by 알약4

    • 비너스락커 조직, Makop 랜섬웨어 유포 중!

      2020.10.05 by 알약4

    • Telegram, Threema 앱으로 위장한 새로운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발견

      2020.10.05 by 알약4

    • FinSpy의 맥/리눅스 버전, 이집트 스파잉 캠페인에서 발견돼

      2020.09.29 by 알약4

    • [스미싱][우체국]운송번호[33**38]미배송/반송물품1건 확인부탁합니다

      2020.09.29 by 알약3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넷째주)

      2020.09.29 by 알약1

    • UHS 병원, Ryuk 랜섬웨어 공격 받아

      2020.09.2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소스코드,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2020.09.28 by 알약4

    페이스북, 사용자 데이터 수집 혐의로 크롬 확장 프로그램 2개 고소

    Facebook sues two Chrome extension makers for scraping user data 페이스북이 두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회사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에서 무단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악성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생성 및 배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송을 당한 두 회사는 델라웨어에 자회사를 둔 이스라엘 회사인 BrandTotal Ltd.와 델라웨어의 Unimania Inc.입니다. 이 두 회사는 크롬 공식 웹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인 UpVoice와 Ads Feed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각 2019년 9월, 11월에 등록되었으며 다운로드 횟수는 5,000회, 10,000회 이상에 달합니다. 페이스북은 법원 서..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5. 14:00

    비너스락커 조직, Makop 랜섬웨어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이력서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유포 정황이 포착되어 기업 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림 1] Makop 랜섬웨어 이메일 본문 첨부파일은 ZIP, LZH 이중 압축으로 되어 있으며 pdf로 위장되어 있는 ‘exe’ 파일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pdf로 위장된 랜섬웨어 파일 이 파일은 설치 파일 NSIS로 제작되었으며 실행 시 암호화된 랜섬웨어 파일을 복호화하여 child 프로세스에 인젝션하는 형태를 가집니다. 이는 백신의 탐지로부터 우회하기 위한 행위로 보입니다. 섀도 볼륨을 삭제하기 위해 cmd.exe를 실행하여 파이프를 통해 명령을 전달합니다. [그림 3] 섀도 볼륨 삭제 명령 또한 특정 프로세스들을 종료시킵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0. 5. 11:37

    Telegram, Threema 앱으로 위장한 새로운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발견

    Beware: New Android Spyware Found Posing as Telegram and Threema Apps 중동에서 발생한 공격으로 알려진 해킹 그룹이 Telegram, Threema와 같은 정식 앱으로 위장한 새로운 악성 코드를 통해 안드로이드 기기를 감염시키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를 분석한 ESET은 아래와 같이 언급했습니다. “Android/SpyC23.A의 2017년 문서화된 버전과 비교했을 때 스파잉 기능이 더욱 확장되었습니다. 메시징 앱의 알림 읽기, 전화 기록, 화면 녹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내장 안드로이드 보안 앱의 알림을 없애는 등 새로운 스텔스 기능이 생겼습니다.” 2017년 Qihoo 360에서 Two-tailed Scorpion (APT-C-23..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5. 09:00

    FinSpy의 맥/리눅스 버전, 이집트 스파잉 캠페인에서 발견돼

    Unknown FinSpy Mac and Linux versions found in Egypt 국제 앰네스티에서 이집트의 시민 단체를 노리는 새로운 스파잉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악명높은 FinSpy 감시 스파이웨어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이 캠페인에 사용된 FinSpy의 새로운 버전은 리눅스 및 맥OS 시스템에서 스파잉이 가능합니다. Finisher(FinFisher로도 알려짐)는 정부 및 법 집행 기관에서 조사용으로 사용하는 멀티 플랫폼 감시 소프트웨어입니다. 하지만 이는 압제 정권이 반 체제 인사, 활동가, 언론을 감시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2011년부터 바레인, 에티오피아, UAE를 포함한 많은 국가의 인권 수호자(HRD)를 노린 공격에 사용되..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9. 14:00

    [스미싱][우체국]운송번호[33**38]미배송/반송물품1건 확인부탁합니다

    [9월 다섯번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우체국]운송번호[33**38]미배송/반송물품1건 확인부탁합니다 ShOrTUrl[.]at/xxxxx2 [Web발신][CJ대한통운] 고객님의 택배상품 배달완료(보관 완료 1박스) 사진:itsssl[.]com/xxxxx3 로젠택 배배송했습니다 ShorTUrL[.]AT/xxxxx4 [Web발신]2020 국민 건강검진 통지서 내용을 확인하세요:xx.xxxxx[.]mobi5 [Web발신] 안전을 위해 근처 전염병 상황을 확인하십시오 bitly[.]kr/xxxxx 출처 : 알약M기..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0. 9. 29. 11:38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9월 20일~09월 26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258건이고 그중 악성은 69건으로 26.7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01건 대비 69건으로 32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0건(악성 2건)에서 최대 54건(악성 20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69건 중 Attach-Malware형이 91.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29. 11:08

    UHS 병원, Ryuk 랜섬웨어 공격 받아

    UHS hospitals hit by reported country-wide Ryuk ransomware attack 병원 및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인 UHS(Universal Health Services)이 지난 월요일 아침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미국 전역 의료시설 시스템을 중단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UHS는 미국과 영국에서 400곳이 넘는 의료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직원 수는 9만 명 이상입니다. 또한 매년 약 350만명의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Fortune에서 선정한 500대 기업 중 하나인 UHS의 연 매출은 2019년 114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Forbes에서는 미국 최대규모 상장 기업 330위로 선정했습니다. 밤 중에 공격당해 UHS 직원들의 보고서에 따..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9. 09:0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소스코드,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Microsoft Windows XP Source Code Reportedly Leaked Online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XP 및 윈도우 서버 2003의 소스코드가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19년된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는 토렌트 파일의 형태로 ‘4chan’ 사이트에 게시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가 대중에 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여러 보고에 따르면 해당 토렌트 파일의 크기는 43GB이며 윈도우 서버 2003 및 다른 구버전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파일에 소스코드가 포함된 운영 체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Windows 2000 Windows CE 3 Windows CE 4 Windows CE 5 Windows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8. 14: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78 279 280 281 282 283 284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