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이메일 첨부파일로 국내외 대량 유포 중인 이모텟(Emotet) 악성코드 주의

      2020.09.01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넷째주)

      2020.09.01 by 알약1

    • 해커들, 통신사 급 라우터에서 실행되는 Cisco IOS XR 소프트웨어 악용 시도

      2020.09.01 by 알약4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악성 Terracotta 앱 다수 제거

      2020.09.01 by 알약4

    • 악성 npm 패키지, 민감 Discord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훔치려 시도해

      2020.08.31 by 알약4

    • Emotet 악성코드의 새로운 악성 첨부파일인 ‘Red Dawn’ 발견

      2020.08.31 by 알약4

    • [스미싱][Web발신]2020국가 건강검진 공단 건강검진통지서 내용확 인

      2020.08.28 by 알약3

    • Qbot, 확산을 목적으로 피해자 이메일 스레드 훔쳐

      2020.08.28 by 알약4

    이메일 첨부파일로 국내외 대량 유포 중인 이모텟(Emotet) 악성코드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이모텟 악성코드가 국내 외로 유포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 부탁드립니다. 공격자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이메일, 메시지를 통하여 이모텟 악성코드를 유포중입니다. 실제 악성 행위 수행하는 파일 유포 방법은 스크립트가 삽입된 악성 문서 파일을 첨부하거나 특정 URL로 클릭을 유도하여 최종 페이로드 다운로드를 유도합니다. [그림 1] 첨부파일이 포함된 이모텟 유포 악성 메일 [그림 2] 링크가 포함된 이모텟 악성 메일 유형 악성 문서 파일을 첨부하여 유포된 경우, 아래와 같은 3가지 케이스로 위장하여 유포되며 파워셸을 통하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스크립트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그림 3] 악성 문서 템플릿 1 [그림 4] 악성 문서 템플릿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1. 17:02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8월 23일~08월 29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232건이고 그중 악성은 98건으로 42.2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04건 대비 98건으로 6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7건(악성 1건)에서 최대 61건(악성 39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98건 중 Attach-Malware형이 83.7%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1. 16:49

    해커들, 통신사 급 라우터에서 실행되는 Cisco IOS XR 소프트웨어 악용 시도

    Hackers are trying to exploit DoS flaw in Cisco IOS XR software running in carrier-grade routers Cisco가 지난 주말 동안 공격자들이 통신사 급 라우터에서 실행되는 Cisco IOS XR Network OS에 존재하는 심각도 높은 메모리 소모 서비스 거부 (DoS) 취약점인 CVE-2020-3566을 악용하려 시도했다고 경고했습니다. Cisco IOS XR Network OS는 현재 NCS 540 & 560, NCS 5500, 8000, ASR 9000 시리즈 라우터를 포함한 라우터 제품 군 다수에서 실행되고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활성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라우팅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Cisco IOS XR Softwar..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1. 14:00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악성 Terracotta 앱 다수 제거

    Google removed malicious Terracotta apps from the Play Store 보안 회사인 White Ops의 연구원들이 공식 플레이스토어 내에서 광고를 포함한 페이지를 로드하여 광고 사기를 저지르기 위해 숨겨진 브라우저를 설치하는 안드로이드 앱 다수를 발견했습니다. 회사는 발견한 내용을 구글에 제보했으며 구글은 재빠르게 대응하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제거했습니다. 제거한 앱의 수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구글에 따르면 이 앱은 TerraCotta 광고 사기 봇넷의 일부로 추정됩니다. 해당 보안 연구 팀은 2019년 말부터 Terracotta 봇넷을 추적해오고 있었습니다. Terracotta 운영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앱을 업로드 했으며 기기에 앱을 설치할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1. 09:00

    악성 npm 패키지, 민감 Discord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훔치려 시도해

    Malicious npm package caught trying to steal sensitive Discord and browser files Npm 보안 팀이 Npm 포털에서 감염시킨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Discord 애플리케이션의 민감 정보를 훔치도록 설계된 악성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제거했습니다. 이 악성 패키지는 “fallguys”라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로 "Fall Guys: Ultimate Knockout" 게임 API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고 광고했습니다. 개발자들이 해당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후 프로젝트에 통합하여 코드를 실행하면 악성 패키지 또한 실행됩니다. Npm 보안 팀에 따르면 이 코드는 로컬 파일 5개에 접근하여 내용을 읽은 후 Discord 채널에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31. 14:00

    Emotet 악성코드의 새로운 악성 첨부파일인 ‘Red Dawn’ 발견

    Emotet malware's new 'Red Dawn' attachment is just as dangerous Emotet 봇넷이 악성 첨부파일에 새로운 템플릿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첨부파일은 이전 것들 보다 훨씬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motet 악성코드는 5개월의 공백기를 거친 후 2020년 7월 돌아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양의 악성 스팸을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스팸 캠페인은 아래와 같이 인보이스, 배송 정보, 코로나19 정보, 이력서, 금융 관련 문서, 스캔된 문서 등으로 위장합니다. 이 이메일에는 악성 워드(.doc)파일이나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링크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이 첨부파일을 열람할 경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활성화’하라는 알림이 표시됩니다. 이를 활성화하게..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31. 09:00

    [스미싱][Web발신]2020국가 건강검진 공단 건강검진통지서 내용확 인

    [8월 네번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2020국가 건강검진 공단 건강검진통지서 내용확 인:x.xxxxx[.]site2 [Web발신][건강검진 통지서] 자세 내용보기:xx.xxxxx[.]club3 [한진택배]고객 상품 전표가 파손되어 배송이 불가능합니다.사진URL:bit[.]ly/xxxxx4 [한진택배]택배가 당신을 위해 배송되지 않습니다 주 소 변경xxxxx.xxxxx[.]me5 [CJ대한통운]고객 상품 전송 실패 주소 틀렸어 변경해죠bit[.]ly/xxxxx 출처 : 알약M기간 : 2020년 8..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0. 8. 28. 14:55

    Qbot, 확산을 목적으로 피해자 이메일 스레드 훔쳐

    Qbot steals your email threads again to infect other victims Qbot 트로이목마가 또 다시 이메일 스레드를 훔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추후 실행될 악성 스팸 캠페인을 위한 악성 이메일을 기존 이메일 대화로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Qbot(QakBot)은 뱅킹 및 정보 스틸링 악성코드로 지난 10년간 활발히 활동하며 많은 피해자를 감염시켰습니다. Qbot이 설치되면 피해자의 저장된 비밀번호, 쿠키, 신용카드, 이메일, 온라인 뱅킹 자격 증명을 훔치려 시도합니다. 또한 이 트로이목마는 해킹된 컴퓨터에 ProLock 랜섬웨어를 포함한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Qbot은 2020년 7월 악명 높은 Emo..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28. 14: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91 292 293 294 295 296 297 ··· 6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