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WannaRen 랜섬웨어 제작자, 보안 업체에 복호화 키 공개해

      2020.08.20 by 알약4

    • 사이버전에도 보안 불감증 심각.. 대한민국 보안의 현주소

      2020.08.19 by 알약5

    • 크립토재킹 웜, Docker 시스템에서 AWS 크리덴셜 훔쳐

      2020.08.19 by 알약4

    • 치명적인 Jenkins 서버 취약점, 민감 정보 노출로 이어질 수 있어

      2020.08.19 by 알약4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8.19 by 알약5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둘째주)

      2020.08.18 by 알약1

    • 화웨이 금지령, 미국 기술을 사용한 외산 칩까지 확대돼

      2020.08.18 by 알약4

    • 연구원들, Emotet의 취약점 활용하여 확산 막아

      2020.08.18 by 알약4

    WannaRen 랜섬웨어 제작자, 보안 업체에 복호화 키 공개해

    WannaRen ransomware author contacts security firm to share decryption key 올해 4월,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공격한 대규모 랜섬웨어 사건이 있었습니다. WannaRen으로 알려진 이 랜섬웨어는 약 일주일 동안 일반 가정, 중국과 대만 현지 기업을 포함한 수 만명의 피해자를 감염시켰습니다. WannaRen은 2017년 5월 전 세계를 감염시켰던 WannaCry를 대충 모델링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WannaRen 랜섬웨어는 EternalBlue 익스플로잇을 감염 체인에 통합하여 파일을 암호화하기 전 아무런 제약 없이 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도록 했습니다. WannaCry와 마찬가지로 WannaRen 또한 산불처럼 급격히 확산되어 제작자의 예상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20. 09:00

    사이버전에도 보안 불감증 심각.. 대한민국 보안의 현주소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 7월 7일 정부 기관을 포함한 여러 인터넷 사이트가 무차별 디도스 공격을 받아 서비스가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를 경험했습니다. 이후에도 이 같은 사이버 공격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지능형지속위협(APT) 공격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보안업체 분석 보고서와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는 사례가 있지만 이는 수많은 공격 가운데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그나마 알려진 내용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공격이 얼마나 위험한지 체감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일각에선 보안 불감증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보안 위협을 조기에 발견하고 탐지하면 다소 간단한 조치와 대응만으로 침해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

    전문가 기고 2020. 8. 19. 10:30

    크립토재킹 웜, Docker 시스템에서 AWS 크리덴셜 훔쳐

    Cryptojacking worm steals AWS credentials from Docker systems TeamTNT로 알려진 사이버 범죄 그룹이 크립토마이닝 웜을 통해 해킹된 Docker 및 Kubernetes 시스템에서 평문 상태의 AWS 크리덴셜 및 설정 파일을 훔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eamTNT의 가상화폐 마이닝 봇넷은 지난 5월 MalwareHunterTeam이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잘못 구성된 Docker 콘테이너와의 관련성을 발견한 Trend Micro 연구원들이 추가로 분석했습니다. Cado Security의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는 지극히 평범한 크립토마이닝 모듈 위에 AWS 크리덴셜 탈취 기능과 함께 제공되는 최초의 웜입니다. 이 봇넷은 노출된 Docker API를 찾..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9. 09:00

    치명적인 Jenkins 서버 취약점, 민감 정보 노출로 이어질 수 있어

    Critical Jenkins Server Vulnerability Could Leak Sensitive Information 인기있는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 소프트웨어인 Jenkins가 지난 월요일 메모리 충돌 및 기밀 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Jetty 웹 서버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취약점을 알리는 권고를 발표했습니다. CVE-2019-17638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CVSS 점수 9.4를 기록했으며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에 사용하는 Java HTTP 서버 및 웹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전 기능 도구인 Eclipse Jetty 버전 9.4.27.v20200227 ~ 9.4.29.v20200521에 영향을 미칩니다. “Jenkins는 java -jar jenkins.war를 통해 시작될 때 HTTP와 se..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9.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인도에서 문자를 통한 악성 앱 공격이 화제가 됐었습니다. 이는 악성 앱 자체나 공격 방법이 화젯거리 라기 보다 인도 정부의 반중 정서에 따라 중국의 유명 SNS 앱인 Tiktok을 인도에서 사용 금지하는 시점에 Tiktok을 사칭한 공격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Tiktok은 전체 사용자의 50% 이상이 인도 사용자일 정도로 인도에서의 인기는 대단합니다. 공격자는 이런 이슈에 편승하여 Tiktok 앱으로 사칭한 악성 앱을 유포하였습니다. 이렇게 유포된 악성 앱은 의외로 별다른 악성 행위를 하지는 않으며 단지 광고 노출을 통해 금전적인 수익을 노린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림] 악성 앱이 보낸 문자 Trojan.Android.Agent는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19. 09: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8월 9일~8월 15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337건이고 그중 악성은 103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140건 대비 37건(37%)이 감소한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25건(악성 1건)에서 최대 76건(악성 34건)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103건 중 Attach-Malware형이 8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9%를 차지했습니다. 3. 첨부파일 종류 첨부파일은 ‘Dow..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18. 17:47

    화웨이 금지령, 미국 기술을 사용한 외산 칩까지 확대돼

    Huawei ban expanded to include foreign-made chips using US tech 미 정부가 핵심 컴포넌트에 화웨이 제품을 제한했었던 것의 범위를 넓혀 미국 기술을 사용하는 외국 제조사의 칩을 구매하는 것을 제한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거래 제한 목록(Entity List)에 Huawei Cloud Singapore, Huawei Cloud France를 포함한 화웨이의 계열사 38곳을 추가했습니다. 미 상무부의 보안국은(BIS) 지난 월요일 제 3자를 통해 수출 통제를 우회하려는 화웨이의 노력을 ‘방해’하고자 이와 같이 개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BIS는 화웨이가 구매자, 중개자, 최종 사용자인 경우와 같이 거래 제한 목록과 관련된 당사자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기 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8. 14:00

    연구원들, Emotet의 취약점 활용하여 확산 막아

    Researchers Exploited A Bug in Emotet to Stop the Spread of Malware 여러 봇넷 기반 스팸 캠페인과 랜섬웨어 공격의 배후에 있는 악명 높은 이메일 기반 악성코드인 Emotet에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은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킬스위치를 작동시키고 악성코드가 6개월 동안 시스템을 감염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었습니다. Binary Defense의 James Quinn은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악성코드도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공격자가 합법적인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해를 입힐 수 있는 것처럼 방어자 또한 악성코드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취약점을 발견한 다음 이를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차..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8.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94 295 296 297 298 299 300 ··· 6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