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펌웨어 해킹해 기기를 녹일 수 있는 급속 충전 해킹 공격

      2020.07.22 by 알약(Alyac)

    • Emotet 봇넷, QakBot 악성코드 배포해

      2020.07.22 by 알약(Alyac)

    • ESRC Email 위협 통계 (7월 셋째주)

      2020.07.22 by 알약(Alyac)

    • REVil 랜섬웨어, Telecom Argentina의 컴퓨터 18,000대 감염시켜

      2020.07.21 by 알약(Alyac)

    • Zoom의 Vanity URL 기능에서 취약점 발견, 피싱 공격에 이용되었을 가능성 있어

      2020.07.21 by 알약(Alyac)

    • 트위터 해커, 해킹된 계정 8개의 데이터 다운로드

      2020.07.20 by 알약(Alyac)

    •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3곳을 악용하는 새로운 피싱 캠페인 발견

      2020.07.20 by 알약(Alyac)

    • 코로나19, 스마트폰 씻지 않으면 손씻기 의미 없다? 스마트폰 관리 꿀팁!

      2020.07.20 by 알약(Alyac)

    펌웨어 해킹해 기기를 녹일 수 있는 급속 충전 해킹 공격

    Fast-charging hacks can melt phones, compromise firmware 사용자들은 급속 충전 기능을 통해 몇 시간이 아닌 단 몇 분 내에 전화 기기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encent Security의 Xuanwu Labs의 블로그 포스트에 따르면 일부 충전기는 모바일 기기를 녹일 수 있으며 공격자의 손에 넘어갈 경우 펌웨어가 해킹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원들은 충전기와 급속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기기 간에 침투할 수 있는 공격을 “BadPower”라 명명했습니다. 이 연구원들은 급속 충전 기기 약 234개 중 35개를 테스트했으며 그중 8개 브랜드의 최소 18개 모델에서 BadPower 문제를 발견했으며 11개는 디지털 터미널을 통해 공격을 받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2. 15:00

    Emotet 봇넷, QakBot 악성코드 배포해

    Emotet botnet is now heavily spreading QakBot malware Emotet 봇넷을 추적 중인 연구원들이 오랫동안 배포되어온 TrickBot 페이로드를 제치고 매우 빠른 속도로 QakBot 뱅킹 트로이목마를 푸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주, Emotet이 5개월의 공백 끝에 다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7월 20일부터 시작된 악성 스팸 작전은 해킹된 윈도우 시스템에 다시 TrickBot을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금일 연구원들은 Emotet이 QakBot을 드롭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되어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악성코드 내 문자열은 이 트로이목마가 Emotet 봇넷의 파트너임을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연구원 그룹 및 시스템 관리자들은 Emotet 작전과의 싸움을 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2. 10:08

    ESRC Email 위협 통계 (7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앞으로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유입된 이메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지난주(7월 12일~19일)까지의 이메일 통계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81건이고 그중 악성은 103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172건 대비 69건(-40%)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3건(악성 1건)에서 최대 46건(악성 25건)으로 주로 평일에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103건 중 Attach-Malware형이 55%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29%를 차지했습니다. 3. 첨부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2. 09:00

    REVil 랜섬웨어, Telecom Argentina의 컴퓨터 18,000대 감염시켜

    REVil ransomware infected 18,000 computers at Telecom Argentina 아르헨티나의 최대 규모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 중 하나인 Telecom Argentina가 랜섬웨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랜섬웨어 운영자들은 지난 주말 동안 컴퓨터 약 18,000대를 감염시켰으며 랜섬머니로 750만 달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사고는 지난 토요일인 7월 18일 발생했으며 회사 업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공격자들은 먼저 회사 네트워크로의 접근 권한을 얻어 내부 도메인 관리자 권한을 탈취해 만 대가 넘는 컴퓨터를 감염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 사고로 인해 해당 ISP 고객의 연결성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유선 통신 및 케이블 TV 서비스 또한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1. 14:00

    Zoom의 Vanity URL 기능에서 취약점 발견, 피싱 공격에 이용되었을 가능성 있어

    A flaw in Zoom’s Vanity URL feature could have been exploited in phishing attacks 해커들이 피싱 공격에 Zoom 기능인 Vanity URL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해왔을 가능성이 발견되었습니다. Zoom 화상 회의 서비스는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후 여러 조직, 학교, 개인들이 협업 툴로 사용하기 시작해 인기가 폭발적으로 치솟았습니다. Check Point의 연구원들은 Zoom Vanity URL에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회사의 커스텀 URL(예: yourcompany.zoom[.]us)인 ‘Vanity URL’을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직 내에서는 Vanity URL 메커니즘을 통해 Zoom 초대 링크..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1. 09:36

    트위터 해커, 해킹된 계정 8개의 데이터 다운로드

    Twitter reveals that hackers also downloaded data from eight compromised accounts 트위터 측이 지난 주 해커가 계정 130개를 해킹 후 이중 45개를 통해 트윗을 게시하고 8개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들은 소수의 직원을 성공적으로 조종하여 그들의 크리덴셜을 사용해 이중 인증을 뚫고 트위터의 내부 시스템에 접근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한 사실은 해커가 내부 지원 팀만 사용이 가능한 툴에 접근해 트위터 계정 130개를 노렸다는 것입니다.” “공격자는 이 계정 중 45개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고 계정이 로그인해 트윗을 게시할 수 있었습니다.” 트위터는 해커가 접근한 계정 130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0. 15:00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3곳을 악용하는 새로운 피싱 캠페인 발견

    New phishing campaign abuses a trio of enterprise cloud services 사용자의 로그인 크리덴셜을 훔치기 위해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인 마이크로소프트 Azure, Dynamics, IBM Cloud 3곳을 악용하는 새로운 피싱 캠페인이 발견되었습니다. BleepingComputer는 최근 “servicedesk[.]com”라는 헬프 데스크에서 온 것으로 가장하여 기업 환경의 실제 IT 헬프 데스크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단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피싱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이 이메일은 직장에서 이메일 보안 제품 및 스팸 필터에서 종종 발송되는 대기열에 걸린 메시지를 “해제”할 것을 요구하는 “검역된 메일” 알림을 모방했습니다. 이 이메일의 송신자는..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0. 11:30

    코로나19, 스마트폰 씻지 않으면 손씻기 의미 없다? 스마트폰 관리 꿀팁!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요즘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함께 마스크 쓰기, 손씻기는 우리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손을 아무리 잘 씻어도 오염된 “스마트폰”을 만지면 손씻기는 아무 의미가 없어진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눈 뜰 때부터 잠들기 전까지 손으로 가장 많이 만지는 스마트폰의 위생관리는 코로나19 예방에 필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코로나19 유사종인 사스 바이러스의 경우, 시멘트벽 재질에서 36시간, 플라스틱 재질에서 72시간동안 생존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액정화면과 같은 유리 재질에서는 최장 96시간이나 생존한다고 하니 스마트폰 위생관리는 어쩌면 손씻기보다 더 중요하겠네요! 스마트폰은 우리가 매일 손으로 만지고 비말이 쉽게 묻는 기기이기 때문에..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20. 7. 20. 11:26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95 296 297 298 299 300 301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