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VLC 플레이어 3.0.11에서 심각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패치돼

      2020.06.17 by 알약(Alyac)

    • 오라클 EBS(E-Business Suite)에서 BigDebIT 취약점 패치

      2020.06.17 by 알약(Alyac)

    • Trojan.Android.SmsSpy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6.17 by 알약(Alyac)

    • Trojan.Ransom.PLUTO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6.16 by 알약(Alyac)

    • 호주의 음료 회사 Lion, 랜섬웨어 공격받아

      2020.06.16 by 알약(Alyac)

    • POS 단말기 통한 금융·개인정보 유출 사태, 악성코드 '고스트렛' 소행

      2020.06.16 by 알약(Alyac)

    • 남아프리카 은행, 직원이 마스터키 훔쳐 1,200만 카드 재발급할 위기에 처해

      2020.06.16 by 알약(Alyac)

    • n번방 이슈를 악용한 Konni 조직의 APT 공격 포착!

      2020.06.15 by 알약(Alyac)

    VLC 플레이어 3.0.11에서 심각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패치돼

    VLC Media Player 3.0.11 fixes severe remote code execution flaw VideoLan에서 윈도우, 맥, 리눅스용 VLC 플레이어 3.0.11을 공개했습니다. 이 패치는 공격자가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VLC 프로그램을 충돌시킬 수 있었던 보안 취약점을 포함한 취약점을 수정하고 기타 사항을 개선합니다. 이 취약점은 CVE-2020-13428로 등록되었으며 “VLC H26X packetizer 내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악용될 경우 공격자가 사용자와 동일한 보안 수준으로 명령을 실행하도록 허용합니다. VideoLan의 보안 공지에 따르면, 이 취약점은 피해자가 VLC로 특수 제작된 파일을 오픈하도록 속이는 방식으로 악용이 가능합니다. VideoLa..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7. 14:30

    오라클 EBS(E-Business Suite)에서 BigDebIT 취약점 패치

    Oracle E-Business Suite Flaws Let Hackers Hijack Business Operations 기업에서 운영 및 민감 정보 보안을 위해 오라클 EBS(E-Business Suite)를 사용한다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버 보안 회사인 Onapsis는 보고서를 통해 오라클 EBS에 제보한 취약점에 대한 기술적 세부사항을 공개했습니다. 오라클 EBS는 CRM, ERP, SCM 운영을 자동화하기 위해 설계된 통합 애플리케이션 그룹입니다. “BigDebIT”로 명명된 두 취약점은 CVSS 점수 9.9대를 기록했으며 지난 1월 오라클의 중요 패치 업데이트(CPU-Critical Patch Update)를 통해 수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라클은 EBS..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7. 09:25

    Trojan.Android.SmsSpy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스미싱 공격은 공격자들이 가장 애용하는 모바일 기기 공격 기법일 것입니다. 더불어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한 언택트의 확산으로 급증한 택배 문자가 공격자들에게는 좋은 공격 방법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의 스미싱 공격은 코로나19 관련 이슈가 주를 이루었지만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의 시행에 따라 택배 문자가 급증하게 되자 공격자들도 이에 편승하여 택배를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림] 악성 앱 설치 및 실행 화면 사용자가 스미싱 공격을 통해 악성 앱을 설치하게 되면 개인 정보가 탈취되고 연락처에 존재하는 지인들에게도 스미싱 공격 문자가 전달되는 피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피해를 입기 전 예방하는 것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6. 17. 09:00

    Trojan.Ransom.PLUTO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2019년 하반기 발견된 Nemty 램섬웨어는 최근까지 이력서를 위장하여 기업으로 다량 유포되었습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전파되고 있는 가운데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공격을 유도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과 다르게 코드를 변화시켜 백신 탐지 우회를 시도하였습니다. [그림] 파일 암호화 완료 후 바탕화면 변경 이 악성코드는 로컬에 존재하는 파일을 암호화시켜 감염자에게 파일 복호화를 대가로 돈을 받는 랜섬웨어의 한 종류입니다. 해당 랜섬웨어는 2019년 하반기부터 유포되었던 Nemty 랜섬웨어의 변종으로써 필요한 데이터와 감염 PC 정보 등을 저장하는 레지스트리가 동일합니다. 추가적으로 뮤텍스 값 등에서 러시아어를 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6. 16. 15:15

    호주의 음료 회사 Lion, 랜섬웨어 공격받아

    Ransomware attack disrupts operations at Australian beverage company Lion 호주의 음료 회사인 Lion이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제조 프로세스 및 고객 지원 운영에 문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ion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운영되는 일본 음료 대기업인 Kirin의 자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맥주, 와인, 탄산음료, 즉석 음료 및 주류, 유제품 및 기타 음료를 생산 및 판매합니다. 이 감염 사고는 6월 9일 발생했으며, 며칠 후 회사는 이 사고가 랜섬웨어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 확인했습니다. 회사는 이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맥주 생산이 지연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회사는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제조 공장을 폐쇄했으며, 아직까지도 운영하지 않고 있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6. 14:30

    POS 단말기 통한 금융·개인정보 유출 사태, 악성코드 '고스트렛' 소행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금일(6/16)자 기사를 통해 사상 최대 규모의 금융정보 유출 사건이 언론에 공개되었습니다. 무려 1.5테라바이트(TB) 분량의 신용·체크카드 각종 정보와 은행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등 금융·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건인데요, 해당 사건을 수사해 온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가 지난 3월 이스트시큐리티에 공식 협조 요청을 전달해 왔고, 최근 3개월 간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에서 이 사건에 대한 분석 작업을 수행해왔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의 분석 결과, 1.5테라바이트(TB) 용량의 외장하드에서 발견된 각종 금융·개인정보는 중국산 원격제어 악성코드 '고스트렛(Gh0stRAT)'으로 카드 결제기 포스(POS) 단말기를 공격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습..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0. 6. 16. 14:22

    남아프리카 은행, 직원이 마스터키 훔쳐 1,200만 카드 재발급할 위기에 처해

    South African bank to replace 12m cards after employees stole master key 남아프리카 우체국 은행인 Postbank에서 직원이 마스터키를 훔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은행은 이로 인한 사기성 거래로 320만 달러 이상을 잃었으며 고객의 카드 1,200만 장 이상을 재발급 해야 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남아프리카의 지역 언론인 Sunday Times에서는 이 사고가 2018년 12월 프리토리아 시의 구 데이터센터에서 누군가 은행의 마스터키를 종이에 프린트했을 때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은행은 유출 사건의 원인이 내부에 있다고 보고 내부 보안 감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스터키는 36자리 코드(암호화키)로 이 키를 가진 사람은 은행의 운영을 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6. 09:25

    n번방 이슈를 악용한 Konni 조직의 APT 공격 포착!

    안녕하세요.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Konni’ 조직의 APT 공격 방식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진 문서 파일이 포착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문서 파일은 본문 내용에 2020년 초 국내에서 큰 이슈가 되었던 악질적인 디지털 성범죄 이슈였던 'n번방' 관련 이슈를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제목 : nth_room_event1.doc) 이번에 확인된 악성문서는 기존 공격방식과 유사하게 문서 실행 시 아래와 같이 매크로 실행을 유도합니다. 이전에 발견된 Konni 악성코드 문서와 동일하게 본문 내용 색깔이 흰색으로 작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nth_room_event1.doc 실행 화면 매크로 기능은 %userprofile% 경로에 ‘ok.exe’ 파일..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6. 15. 17:56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10 311 312 313 314 315 316 ··· 6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