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6)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3)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6)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3)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랜섬웨어

    • CryptXXX 2.x 복호화툴 공개!

      2016.06.27 by 알약(Alyac)

    • 또 다시 유포되는 Locky 랜섬웨어 주의!

      2016.06.24 by 알약(Alyac)

    • 랜덤으로 확장자 명을 바꾸는 CryptXXX 랜섬웨어 변종 주의!

      2016.06.22 by 알약(Alyac)

    • JavaScript 만 사용한 랜섬웨어 발견!

      2016.06.17 by 알약(Alyac)

    • 멀버타이징을 활용한 랜섬웨어 대량유포 주의!

      2016.06.10 by 알약(Alyac)

    • 주말동안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에서 유포된 랜섬웨어 주의!

      2016.06.07 by 알약(Alyac)

    • 랜섬웨어 복호화 툴 한눈에 보기!

      2016.05.27 by 알약(Alyac)

    • CryptXXX 3.0 등장

      2016.05.25 by 알약(Alyac)

    CryptXXX 2.x 복호화툴 공개!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 알약에서 CryptXXX 2.x 버전 복호화 툴을 개발하였습니다. CryptXXX 2.x버전은 dll형태로 유포되고 있으며, DLLMain이 구동되면서 추가적인 Export 함수가 실행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PC를 감염시킨 후 시스템에 존제하는 드라이브 문자열을 얻어와 DriveType을 얻어오며, 이동식 드라이브, HDD, SSD, 네트워크 드라이브라면 암호화의 대상이 됩니다. 랜섬웨어 제작자는 암호화 하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가 13,631,488(0xD00000) 바이트를 넘을 경우 최대 13,631,488 바이트만 암호화 하고 나머지 부분은 암호화가 되지 않도록 해 두었습니다. 부분 암호화가 되더라도 파일의 구조가 손상되기 때문에 암호화가 된 것과 마찬가지이기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6. 6. 27. 14:53

    또 다시 유포되는 Locky 랜섬웨어 주의!

    또 다시 유포되는 Locky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 올해 2월에 최초 등장한 후 3월부터 4월까지 유행하였던 Locky 랜섬웨어가 또 다시 대량유포되고 있습니다. Locky 랜섬웨어는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유입되고 있으며, js파일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모르는 발신인에게서 온 이메일에 포함된 첨부파일 실행을 지양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에 유포되고 있는 Locky 랜섬웨어 역시, 알약 랜섬웨어 차단기능으로 정상적으로 차단이 가능합니다. 다만, 알약에서 랜섬웨어가 파일을 암호화 시키는 것은 성공적으로 차단하지만, 랜섬웨어에 의하여 사용자 바탕화면 배경이 변경되어 당황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런 상황이 만약 발생하신다면 사용자분들께서 다시 바탕화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6. 6. 24. 11:04

    랜덤으로 확장자 명을 바꾸는 CryptXXX 랜섬웨어 변종 주의!

    랜덤으로 확장자 명을 바꾸는 CryptXXX 랜섬웨어 변종 주의!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국내 대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피해가 속출했던 ’CryptXXX’ 랜섬웨어 변종이 또 다시 해외에서 등장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CryptXXX’ 랜섬웨어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한국어를 포함해 25개국의 다국적 언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2 BTC 비트코인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2일 현재 1 BTC 비트코인 시세는 한화로 약 80만원 정도 거래되고 있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약 100만원 상당의 금액 요구를 받게 됩니다. 감염된 후 100시간 정도 후에는 2.4 BTC 비트코인으로 2배 증가합니다. 새롭게 등장한 ‘CryptXXX’ 변종은 Neutrino Exploit Kit을 통..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6. 6. 22. 18:22

    JavaScript 만 사용한 랜섬웨어 발견!

    JavaScript 만 사용한 랜섬웨어 발견!Ransomware created using only JavaScript discovered 보안 연구진이 JavaScript 만을 사용해 제작된 새로운 랜섬웨어 RAA를 발견했습니다. JavaScript는 본래 고급 암호화 함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해당 랜섬웨어는 CryptoJS library를 사용하여 AES암호화를 통해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Word 문서로 가장한 이메일 및 첨부파일을 통해 배포되며, mgJaXnwanxlS_doc_.js 같은 이름을 사용합니다. 파일이 실행되면, 악성코드는 컴퓨터를 암호화 해 복호화에 $250 (0.39BTC)를 요구합니다. 해당 코드는 Windows Script Host (WSH)로 실행되며, 이는 시스템..

    국내외 보안동향 2016. 6. 17. 15:55

    멀버타이징을 활용한 랜섬웨어 대량유포 주의!

    멀버타이징을 활용한 랜섬웨어 대량유포 주의! 안녕하세요최근 국내 대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CryptXXX' 랜섬웨어 변종 유포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이번에 유포된 'CryptXXX' 랜섬웨어는 다양한 변종이 꾸준히 제작되고 있으며, 현재는 한국어를 포함하여 약 25개국의 다국어 언어 서비스를 제공할 정도로 국제적 사이버 범죄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랜섬웨어 공격자들은 유포지를 쉽게 파악할 수 없도록 하는 동시에 보안이 취약한 광고 플랫폼을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시다발적 공격을 수행하는 '멀버타이징(Malvertising)'공격 기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법은 주로 광고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플래시 플레이어' 등의 취약점을 이용합니다. 사용자가 취약한 버전의 플래시 플러..

    국내외 보안동향 2016. 6. 10. 14:05

    주말동안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에서 유포된 랜섬웨어 주의!

    주말동안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에서 유포된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알약입니다. 현충일 연휴동안 국내 유명 커뮤니티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에서 랜섬웨어가 유포되었습니다. 이번 랜섬웨어는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에 있는 광고 배너를 이용한 멀버타이징 형식으로 유포되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가 취약한 플래시 플레이어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사이트 접속만 하여도 랜섬웨어에 감염됩니다. 이번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여러 종류의 랜섬웨어가 유포되었으며,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다음과 같은 감염창이 뜨며 랜섬머니를 요구합니다. 다행히 알약에서는 이번 휴대폰 관련 대형 커뮤니티에서 유포된 랜섬웨어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차단했습니다. 또한 사용자들의 제보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6. 6. 7. 11:27

    랜섬웨어 복호화 툴 한눈에 보기!

    랜섬웨어 복호화 툴 한눈에 보기! 랜섬웨어가 점점 다양해지고 진화함에 따라, 랜섬웨어의 종류와 암호화 시키는 방법들도 다양해 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 전에 유행했었던 랜섬웨어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랜섬웨어가 생기는 순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TeslaCrypt 랜섬웨어가 돌연 암호화를 복호화 할 수 있는 마스터 키를 공개하고 영업(?)을 종료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랜섬웨어와 끊임없는 사투를 벌이고 있는 전 세계 백신업체들은, 랜섬웨어의 취약점을 발견하여 이를 통한 복호화 툴을 개발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만약 복호화 툴이 공개된 랜섬웨어로 암호화가 된 파일들을 보관하고 계신다면, 해당 툴들로 복호화 해 보시기 바랍니다. ▶ 랜섬웨어 복호화 툴 보러가기 감사합니다.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6. 5. 27. 15:17

    CryptXXX 3.0 등장

    CryptXXX 3.0 등장CryptXXX updated to version 3.0, Decryptors no longer Work 2016년 4월, 카스퍼스키 연구원들은 CryptXXX 랜섬웨어의 취약점을 찾아 복호화 툴을 개발하였습니다. ▶ CryptXXX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포스팅 보러가기 CryptXXX 랜섬웨어 제작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코드를 추가한 CryptXXX 2.0을 개발하였으며, 보안연구원들은 또다시 복호화 툴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2016년 5월 21일, CryptXXX 3.0이 출현하였습니다. 이 CryptXXX 3.0은 카스퍼스키가 개발한 RannohDecryptor 툴로 복호화가 불가능 합니다. 랜섬웨어 CryptXXX는 최초 출현 이후에 지속적으로 각종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25. 18:09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