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6)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3)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6)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3)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랜섬웨어

    • 아마존 고객 노리는 랜섬웨어, 하지만 고객들은 랜섬웨어가 무엇인지 모른다.

      2016.05.25 by 알약(Alyac)

    • TeslaCrypt 복호화 키 공개!

      2016.05.19 by 알약(Alyac)

    •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

      2016.05.17 by 알약(Alyac)

    • 랜섬웨어 전문 다크 웹 Ran$umBin

      2016.04.29 by 알약(Alyac)

    • CryptXXX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2016.04.28 by 알약(Alyac)

    • 랜섬웨어,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지우자!

      2016.04.27 by 알약(Alyac)

    • Hacking Team관련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익스플로잇, 활발히 활동 중

      2016.04.26 by 알약(Alyac)

    •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2016.04.18 by 알약(Alyac)

    아마존 고객 노리는 랜섬웨어, 하지만 고객들은 랜섬웨어가 무엇인지 모른다.

    아마존 고객 노리는 랜섬웨어, 하지만 고객들은 랜섬웨어가 무엇인지 모른다.Ransomware Targets Amazon Users, Though They're Likely Clueless 탈취한 발신자 주소를 사용해 아마존 고객을 노리는 새로운 랜섬웨어 공격이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해당 공격의 타깃이 랜섬웨어가 무엇인지 모르고,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는 고객들로 확인되었습니다. Comodo 위협 연구소는 Amazon.com에서 보낸 것으로 위장한 피싱 이메일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해당 이메일은 발신자가 “auto-shipping@amazon.com"으로 되어 있으며 Microsoft Word 첨부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메일 계정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첨부..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25. 15:13

    TeslaCrypt 복호화 키 공개!

    TeslaCrypt 복호화 키 공개! 지금까지 알약에서는 알약의 랜섬웨어 차단기능을 통하여 알약 사용자들이 TeslaCrypt 랜섬웨어로 인하여 파일들이 암호화 되는 것을 차단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알약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분들께서 이미 암호화 된 파일들을 복호화 해달라는 도움을 요청해 주셨을 때에는 저희도 도움을 드리지 못해 안타까웠습니다. 하지만 이제 TeslaCrypt로 파일들이 암호화 되었던 사용자들은 걱정을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TeslaCrypt 랜섬웨어의 마스터 복호화 키가 공개되었기 때문입니다. ESET의 분석가에 따르면, TeslaCrypt의 제작자들이 점차 그 활동을 멈춰갔으며, 기존 배포자들이 CryptXXX 랜섬웨어의 배포로 넘어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복호화 키가 공개되어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9. 15:25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CERBER RANSOMWARE ON THE RISE, FUELED BY DRIDEX BOTNETS Fireeye는 지난 4월부터 스팸을 통해 유포되는 Cerber 랜섬웨어가 급증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들은 Cerber 랜섬웨어의 급증이 Dridex 금융 악성코드와 동일한 스팸구조를 띄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erber 랜섬웨어는 2월 경 처음 발견되었으며, 랜섬 텍스트 메시지를 읽어주는 랜섬웨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기존에는 Adobe Flash Player내 제로데이 취약점(CVE-2016-1019)을 이용한 Magnitude 및 Nuclear 익스플로잇 킷을 이용하여 유포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Cerber가 Dridex 봇넷과 연계된 스팸공격..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7. 09:00

    랜섬웨어 전문 다크 웹 Ran$umBin

    랜섬웨어 전문 다크 웹 Ran$umBinRan$umBin a dark web service dedicated to ransomware 최근 한 사이버 범죄 그룹이 Ran$umBin이라는 다크웹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Ran$umBin은 약 두달 전부터 활설중인 것으로 보이며, 해당 사업모델은 사용자 친화적이면서도 간단합니다. 기존의 사용자 로컬 PC에 있는 파일들을 암호화 시켜 금전을 요구하는 일반 랜섬웨어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인질로 잡고 금전을 요구하는 형태의 랜섬웨어입니다. 공격자들은 침투한 사용자의 크리덴셜, 신용카드 데이터, 신상 등이 포함된 중요한 데이터들을 Ran$umBin 페이지에 올립니다. 해당 페이지에 정보가 올라간 사용자들에게는 Ran$umBin에 로그인 하는 방법과 금액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29. 14:41

    CryptXXX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CryptXXX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How to unlock a .crypt file 4월 15일, Proofpoint 보안 연구원들은 Angler Exploit Kit을 통하여 유포되는 새로운 형태의 랜섬웨어를 발견하였습니다. 파일들을 .crypt 확장자로 암호화 시키며, Angler Exploit Kit을 통하여 유포된다고 하여 Angler Exploit Kit의 별명인 XXX를 조합하여 CryptXXX라 명명하였습니다. CryptXXX에게 일단 감염되면 감염된 PC와 연결된 모든 데이터를 짧은 시간의 딜레이를 거친 후 암호화를 시작하는데, 이는 공격자가 피해자가 피해를 당한 시점을 혼동시키고, 랜섬웨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웹사이트를 찾기 어렵게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최근의 랜섬웨어들은 복호화..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28. 09:22

    랜섬웨어,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지우자!

    랜섬웨어,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지우자! 최근 몇 년간 보안업계의 핫이슈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랜섬웨어(Ransomware)’입니다. 이미 많이 알고 계시겠지만 랜섬웨어는 문서, 사진, mp3파일 등 사용자의 자료를 암호화하여 그것을 인질로 금품을 요구하는 악독한 악성코드 종류입니다. 또한, 이미 감염되어 파일이 암호화되었다면 그것을 복구하는 방법이 굉장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따로 백업해놓지 않았다면 사실상 자료를 회복하기도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이버 위협 정보 공유 시스템인 「CTA(Cyber Threat Alliance)」의 조사에 의하면, ‘CryptoWall 3.0’ 랜섬웨어가 총 3억 2,500만 달러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랜섬웨어 종류 하나가 이 정도의 규모라면 전체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6. 4. 27. 09:37

    Hacking Team관련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익스플로잇, 활발히 활동 중

    Hacking Team관련 치명적인 안드로이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익스플로잇, 활발히 활동 중Active drive-by exploits critical Android bugs, care of Hacking Team 최근 안드로이드 구 버전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이 랜섬웨어를 유포시키고 있습니다. 영향을 받는 버전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수백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공격에는 안드로이드 4.0~4.3 버전의 적어도 두 가지의 치명적인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커에게 무제한 "root"권한을 주는 Towelroot 익스플로잇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익스플로잇 코드는 지난 7월 이탈리아 Hacking Team에서 유출된 안드로이드 공격 스크립트를 많이 가져온 것으로 추정..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26. 15:40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

    Jigsaw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Jigsaw Ransomware Decrypted: Will delete your files until you pay the Ransom Jigsaw 랜섬웨어에 일단 감염되면 사용자가 1시간 이내에 랜섬머니 0.4비트코인을 지불하지 않는다면, 시스템 내의 모든 중요문서를 삭제해 버립니다. 더 무서운 것은, 만약 사용자가 컴퓨터를 재부팅 한다면, 이 랜섬웨어는 시스템 중의 천개의 문서를 삭제해 버립니다. 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화면에 영화 의 이미지가 뜨며 사용자를 위협합니다. 하지만 더이상 Jigsaw 랜섬웨어의 위협 때문에 두려움에 떨지 않아도 됩니다. 최근 보안연구원들은 Jigsaw 랜섬웨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Jigsaw 랜섬웨어로 암호화 된 문서를 무료로..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18. 13:23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