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리눅스

    • [해외보안동향] NetUSB 드라이버에서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2015.05.22 by 알약(Alyac)

    •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2015.03.04 by 알약(Alyac)

    • CVE-2015-0235 Ghost 취약점 발견

      2015.01.28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Grinch, 배시버그보다 더 심각한 취약점 발견!

      2014.12.19 by 알약(Alyac)

    • SSLv3 'POODLE' 취약점 주요 정보

      2014.10.17 by 알약(Alyac)

    • 하트블리드보다 치명적인 배시 버그(Bash Bug) 발견! 패치 방법은?

      2014.09.30 by 알약(Alyac)

    [해외보안동향] NetUSB 드라이버에서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NetUSB 드라이버에서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NetUSB 드라이버에서 수만 대의 라우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을 공격자의 원격 공격에 노출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NetUSB는 프린터, 웹캠, 외장 하드 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USB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나 인터넷상의 다른 기기들과 연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미지 출처: Amazon NetUSB는 라우터, 커널 드라이브와 같이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드라이브는 KCodes Technology라는 대만 회사가 개발하고 있습니다. SecConsult사의 한 보안 전문가는 연결된 컴퓨터의 이름이 64자리 이상일 경우, NetUSB에서 스택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만일 공격자가 해..

    국내외 보안동향 2015. 5. 22. 10:46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Samba는 컴퓨터간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얼마 전 Samba에 매우 심각한 취약점이 공개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samba 데몬이 운영중인 서버에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Samba는 공식 홈페이지에 이미 관련 패치를 공개하였으며, 리눅스 업체들 역시 패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패치를 완료한 후에는 samba 데몬을 재시작해야 합니다. 영향받는 버전 Samba 3.5.x ~ 4.2.0rc4 취약점 검사 Redhat 계열$ rpm –qa | grep samba Debian, Ubunt 및 기타제품$ dpkg –l | grep samba Samba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3. 4. 16:50

    CVE-2015-0235 Ghost 취약점 발견

    CVE-2015-0235 Ghost 취약점 발견 Ghost 취약점이 발견되어, 사용자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해당 취약점은 Linux glibc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공격자가 시스템 상황을 모르는 상태에서 원격으로 시스템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glibc이란?glibc란 'GNU C library'의 약자로 GNU시스템과 Linux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C라이브러리입니다. Linux 시스템에서 가장 로우레벨 api로 거의 모든 운영 라이브러리가 glibc를 참조하고 있습니다. Ghost(CVE-2015-0235) 취약점 해당 취약점은 gethostbyname*() 함수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취약점이 발생하면 sizeof(char*)개의 바이트가 오버플로우 됩니다. (주의할 것은 여..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 28. 18:17

    [해외보안동향] Grinch, 배시버그보다 더 심각한 취약점 발견!

    Grinch, 배시버그보다 더 심각한 취약점 발견! 최근 Linux시스템에서 Grinch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Linux시스템에 존재하며, Bash버그와 같이 권한상승을 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Bash버그는 올해 9월 발견되어 보안업계에 큰 파장을 몰고 왔습니다. 해당 버그는 의도적으로 조작된 코드를 Bash가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모든 UNIX, Linux, Mac시스템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Grinch 취약점 역시 Bash버그와 유사하며, 권한이 없는 공격자가 시스템 Root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Linux인증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일반 유저권한에서 Root권한으로 권한을 상승시킬..

    국내외 보안동향 2014. 12. 19. 16:27

    SSLv3 'POODLE' 취약점 주요 정보

    SSLv3 'POODLE' 취약점 주요 정보Important information about SSLv3 'POODLE' flaw 구글이 오늘 아침, SSLv3 프로토콜에 대한 공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 공격은 몇 번의 시도를 통해 보안쿠키를 복호화하는 MITM 공격을 가능케 합니다. 해당 이슈는 CVE-2014-3566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취약한 SSLv3 프로토콜로 내려갈 수 있는 많은 인터넷 연결 서버들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 공격은 암호화된 트래픽이 악성노드(ex : 라우터나 컴퓨터)를 통과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둘 다 취약 프로토콜(SSLv3)로 다운그레이드되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SSLv3는 1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더 탄력적인 TLS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러나 레거시 제약 때문..

    국내외 보안동향 2014. 10. 17. 13:16

    하트블리드보다 치명적인 배시 버그(Bash Bug) 발견! 패치 방법은?

    CVE-2014-6271 : Bash bug 취약점 발견 오픈소스인 리눅스(Linux)의 배시(Bash)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배시 버그(Bash Bug 또는 Shellshock)는 배시 환경변수에 정의해 놓은 함수를 처리할 때, 해당 함수 명령 뒤에 따라오는 추가적인 명령도 함께 실행되는 것입니다.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원하는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Bash(Bourne again shell)란 대다수의 리눅스, 유닉스, Mac OS X 시스템에 내장된 명령어 shell 프로그램입니다. 일단 해당 취약점을 이용할 수 있는 공격환경만 주어진다면, 원격에서 공격자가 손쉽게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시 버그(Bash Bug)는 서버에서 정보를 유출하는 하트..

    전문가 기고 2014. 9. 30. 10: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 7 8 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