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리눅스

    • 당신이 사용하고 있는 맥OS, 리눅스는 안전한가요?

      2024.02.22 by 알약5

    •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2022.06.14 by 알약4

    • 새로운 Symbiote 악성코드,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실행 중인 프로세스 감염시켜

      2022.06.10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리눅스 XorDDoS 악성코드 활동이 급증했다고 밝혀

      2022.05.20 by 알약4

    • 정교한 공격을 허용하는 리눅스의 Nimbuspwn 취약점 발견

      2022.04.28 by 알약4

    • 해커들, ATM 기기에서 자금을 훔치기 위해 새로운 루트킷으로 은행 네트워크 공격해

      2022.03.21 by 알약4

    • Log4J를 악용하고 DNS 터널링으로 통신하는 새로운 리눅스 봇넷 발견

      2022.03.16 by 알약4

    • 리눅스 커널 내 cgroup 기능의 CVE-2022-0492 취약점, 컨테이너 탈출 허용해

      2022.03.07 by 알약4

    당신이 사용하고 있는 맥OS, 리눅스는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NETMARKETSHARE의 전세계 데스크탑 OS 점유율에 따르면 윈도우 사용자는 80.67%, 맥OS(MacOS) 사용자는 14.9%, 리눅스(Linux) 사용자는 2.5%의 사용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PC 사용자 중 윈도우(Windows)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상대적으로 맥OS 및 리눅스 보안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루트를 통해 사이버 공격이 활개를 치고 있는 지금, 과연 맥OS와 리눅스를 타겟으로 한 위협은 없는 것일까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맥OS 및 개방형OS 점유율 최근 애플이 기업 컴퓨팅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할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애플로의 하드웨어 전환을 시도할 기업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4. 2. 22. 13:38

    새로운 Syslogk 리눅스 루트킷, 매직 패킷으로 백도어 트리거해

    New Syslogk Linux rootkit uses magic packets to trigger backdoor 새로운 리눅스 루트킷 악성코드인 'Syslogk'가 특수 제작된 "매직 패킷"을 통해 기기에서 휴면 상태인 백도어를 깨워 악성 프로세스를 숨기는 공격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현재 활발히 개발되는 중입니다. 제작자는 오래된 오픈소스 루트킷인 Adore-Ng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Syslogk는 모듈을 리눅스 커널(버전 3.x 지원)에 강제로 로드하고, 디렉토리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숨길 수 있으며, 결국에는 'Rekoobe'라는 백도어를 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매직 패킷을 사용하여 백도어 로드하기 리눅스 루트킷은 운영 체제에 커널 모..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4. 09:00

    새로운 Symbiote 악성코드,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실행 중인 프로세스 감염시켜

    New Symbiote malware infects all running processes on Linux systems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인 Symbiote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해킹된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감염시키고 계정 크리덴셜을 훔쳐 공격자에게 백도어 접근 권한을 부여합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에 자신을 주입한 후 시스템 전체를 감염시켜 심층 검사에서도 탐지할 수 있는 증거를 남기지 않습니다. Symbiote는 BPF(Berkeley Packet Filter) 후킹 기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을 스니핑하고 보안 툴에서 자체 통신 채널을 숨깁니다. 이 새로운 위협은 BlackBerry와 Intezer Labs의 연구원이 발견 및 분석했습니다. 이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0. 09:00

    마이크로소프트, 리눅스 XorDDoS 악성코드 활동이 급증했다고 밝혀

    Microsoft detects massive surge in Linux XorDDoS malware activity Linux 장치를 해킹하고 DDoS 봇넷을 구축하는 은밀한 모듈식 악성코드가 지난 6개월 동안 활동이 25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소 2014년 이후로 활동을 시작한 이 악성코드는 명령 및 제어(C2) 서버와의 통신에 XOR 기반 암호화를 사용하고 DDoS 공격에 사용되어 XorDDoS(또는 XOR DDoS)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해당 봇넷이 성공한 이유에 대해 은밀하고 제거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하는 다양한 회피 및 지속 전술을 폭넓게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라 밝혔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365 Defender Research Team은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20. 09:00

    정교한 공격을 허용하는 리눅스의 Nimbuspwn 취약점 발견

    Linux Nimbuspwn flaws could allow attackers to deploy sophisticated threats 마이크로소프트의 365 Defender 연구 팀이 두 가지 Linux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2-29799, CVE-2022-29800)으로 이루어진 "Nimbuspwn"을 발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권고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취약점을 함께 연결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어, 공격자가 루트 백도어와 같은 페이로드를 배포하고 임의 루트 코드 실행을 통해 기타 악성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타깃 시스템에 대한 루트 접근 권한을 얻고, 랜섬웨어 등 보다 정교한 공격을 실행하기 위해 약용이 가능합니다. 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8. 09:00

    해커들, ATM 기기에서 자금을 훔치기 위해 새로운 루트킷으로 은행 네트워크 공격해

    Hackers Target Bank Networks with new Rootkit to Steal Money from ATM Machines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공격자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Oracle Solaris 시스템을 노리는 새로운 루트킷을 배포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들의 목적은 ATM의 스위칭 네트워크를 해킹해 사기 카드를 사용하여 여러 은행에서 무단으로 현금을 인출하는 것이었습니다. 보안 사고 대응 회사인 Mandiant는 해당 클러스터를 UNC2891로 추적하고 있으며 해당 그룹의 전술, 기술, 절차 중 일부분은 다른 클러스터인 UNC1945와 중복됩니다. Mandiant의 연구원들은 이번 주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서 "높은 수준의 OPSEC을 포함하고, 증거를 없애고 대응하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21. 14:00

    Log4J를 악용하고 DNS 터널링으로 통신하는 새로운 리눅스 봇넷 발견

    New Linux botnet exploits Log4J, uses DNS tunneling for comms 최근 Linux 시스템을 노려 민감 정보를 훔치고, 루트킷을 설치하고, 리버스 셸을 생성하고, 웹 트래픽 프록시 역할을 하는 봇넷에 사용자의 시스템을 추가하려 시도하는 활발히 개발 중인 봇넷이 발견되었습니다. Qihoo 360의 360 Netlab의 연구원들이 새로이 발견한 악성코드인 B1txor20은 Linux ARM, X64 CPU 아키텍처 기기를 공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해당 봇넷은 Log4J 취약점을 노린 익스플로잇을 통해 새로운 호스트를 감염시킵니다. 공급 업체 수십 곳이 취약한 Apache Log4j 로깅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는 매우 매력적인 공격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16. 14:00

    리눅스 커널 내 cgroup 기능의 CVE-2022-0492 취약점, 컨테이너 탈출 허용해

    CVE-2022-0492 flaw in Linux Kernel cgroups feature allows container escape 공격자가 이미 패치된 심각도 높은 리눅스 취약점인 CVE-2022-0492(CVSS 점수: 7.0)를 악용하여 컨테이너를 탈출하여 호스트에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문제는 프로세스 모음의 리소스 사용량(CPU, 메모리, 디스크 I/O, 네트워크 등)을 제한, 처리, 격리하는 리눅스 커널 기능인 제어 그룹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권한 상승 취약점입니다. . 해당 취약점 관련 권고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kernel/cgroup/cgroup-v1.c 기능의 Linux 커널 cgroup_release_agent_write에서 취약점이 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7. 09: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