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리눅스

    • 리눅스와 VMware ESXi용으로 개발된 첫번째 LockBit 랜섬웨어 발견

      2022.01.28 by 알약4

    • CWP 취약점, 리눅스 서버에서 루트 권한으로 코드 실행 허용해

      2022.01.25 by 알약4

    • 전문가들, SFile 랜섬웨어의 새로운 리눅스 변종 경고

      2022.01.18 by 알약4

    • AvosLocker 랜섬웨어의 리눅스 버전, VMware ESXi 서버 노려

      2022.01.11 by 알약4

    • 유효하지 않은 날짜를 사용하는 cron 작업에 숨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 발견

      2021.11.26 by 알약4

    • 해커들, 온라인 상점 서버에 리눅스 악성코드와 웹 스키머 배포해

      2021.11.19 by 알약4

    • 리눅스 커널의 TIPC 모듈에서 치명적인 RCE 취약점 발견

      2021.11.05 by 알약4

    • 리눅스 시스템을 노리는 FontOnLake 루트킷 악성코드 발견

      2021.10.12 by 알약4

    리눅스와 VMware ESXi용으로 개발된 첫번째 LockBit 랜섬웨어 발견

    Experts analyze first LockBit ransomware for Linux and VMware ESXi LockBit 랜섬웨어가 새 버전에 Linux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추가했습니다. 해당 버전은 VMware ESXi 가상 머신을 노렸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가상화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모든 조직을 포함하여 잠재적 타깃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인 것으로 보입니다. LockBit은 2021년 10월부터 VMware ESXi 가상 머신을 노리는 새로운 Linux 버전을 광고하고 있었습니다. Trend Micro는 이들이 지난 10월부터 언더그라운드 포럼인 "RAMP"에서 리눅스 버전인 LockBit Linux-ESXi Locker 버전 1.0을 발표하여 광고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Tre..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 28. 09:00

    CWP 취약점, 리눅스 서버에서 루트 권한으로 코드 실행 허용해

    CWP bugs allow code execution as root on Linux servers, patch now CWP(제어 웹 패널)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두 가지가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취약한 리눅스 서버에서 루트 권한으로 원격 코드 실행(RCE) 공격을 실행하는데 악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entOS 웹 패널로 알려진 CWP는 전용 웹 호스팅 서버 및 가상 사설 서버를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리눅스 제어판입니다. Octagon Networks의 Paulos Yibelo가 발견한 이 두 가지 보안 취약점은 파일 포함 취약점(CVE-2021-45467)과 파일 쓰기(CVE-2021-45466) 버그로, 함께 연결될 때 RCE 공격이 가능합니다. 공격자가 이를 성..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 25. 14:00

    전문가들, SFile 랜섬웨어의 새로운 리눅스 변종 경고

    Experts warn of attacks using a new Linux variant of SFile ransomware SFile 랜섬웨어(Escal) 운영자가 작업을 확장하기 위해 리눅스 버전의 악성코드를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SFile 랜섬웨어는 당시 윈도우 시스템만 노렸습니다. 랜섬웨어의 일부 변종은 암호화된 파일의 이름에 타깃 회사의 영어 이름을 추가합니다. 중국 보안 회사인 Rising은 최근 RSA+AES 알고리즘 모드를 사용하는 SFile 랜섬웨어의 리눅스용 변종을 탐지했습니다. Rising에서는 분석문을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에 발견된 변종은 nuctech-gj0okyci(nuctech는 Nuctech Technology..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 18. 14:00

    AvosLocker 랜섬웨어의 리눅스 버전, VMware ESXi 서버 노려

    Linux version of AvosLocker ransomware targets VMware ESXi servers AvosLocker 랜섬웨어가 VMware ESXi 가상 머신을 노린 최근 악성코드 변종에 리눅스용 시스템 암호화 지원을 추가했습니다. BleepingComputer는 100만 달러의 랜섬머니를 요구를 받은 피해자가 적어도 한 명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몇 달 전, AvosLocker는 최신 랜섬웨어 변종인 Windows Avos2 및 AvosLinux를 광고하면서 파트너들에 구소련 및 CIS를 공격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새로운 변종(avos2 / avoslinux)은 경쟁업체에 비해 높은 성능과 많은 양의 암호화를 제공하는 두 가지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 11. 14:00

    유효하지 않은 날짜를 사용하는 cron 작업에 숨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 발견

    New Linux malware hides in cron jobs with invalid dates 보안 연구원들이 존재하지 않는 2월 31일에 실행되도록 예약된 작업에 숨어 거의 보이지 않는 프로필을 유지하는 새로운 리눅스용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RAT)를 발견했습니다. CronRAT이라 명명된 이 악성코드는 현재 웹 스토어를 노리고 있으며 공격자가 리눅스 서버에 온라인 지불 스키머를 배포하여 신용 카드 데이터를 훔칠 수 있도록 합니다. CronRAT은 현재 많은 바이러스 백신 엔진에서 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영리한 방법으로 페이로드 숨겨 CronRAT은 2월 31일과 같이 달력에서 존재하지 않는 날짜에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여 리눅스 작업 스케줄링 시스템인 cron을 악용합니다. Linux cro..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26. 14:00

    해커들, 온라인 상점 서버에 리눅스 악성코드와 웹 스키머 배포해

    Hackers deploy Linux malware, web skimmer on e-commerce servers 보안 연구원들이 공격자가 온라인 상점 웹사이트에 신용 카드 스키머를 삽입 후 해킹된 온라인 상점의 서버에 리눅스 백도어를 배포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PHP로 코딩된 웹 스키머(고객의 결제 및 개인 정보를 도용 및 유출하도록 설계된 스크립트)는 추가된 후/app/design/frontend/ 폴더에 .JPG 이미지 파일로 위장합니다. 공격자는 이 스크립트를 통해 해킹된 온라인 상점에서 고객에게 표시되는 결제 페이지에 가짜 결제 양식을 다운로드해 삽입합니다. Sansec의 위협 연구 팀은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공격자가 온라인 상점 공격을 자동화하여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상점 플랫폼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19. 14:00

    리눅스 커널의 TIPC 모듈에서 치명적인 RCE 취약점 발견

    Critical RCE Vulnerability Reported in Linux Kernel's TIPC Module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리눅스 커널의 TIPC(Transparent Inter Process Communication) 모듈에서 커널 내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하고 취약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로컬 및 원격으로 악용 가능한 취약점을 공개했습니다. 사이버 보안 회사인 SentinelOne은 금일 보고서를 발표해 해당 힙 오버플로우 취약점이 "커널 권한을 얻기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로컬 또는 원격으로 악용 가능하며 공격자가 전체 시스템을 해킹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TIPC는 동적 클러스터 환경에서 실행되는 노드용으로 설계된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와 같은 다른 프로토콜보다 더욱 효율..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1. 5. 09:00

    리눅스 시스템을 노리는 FontOnLake 루트킷 악성코드 발견

    Researchers Warn of FontOnLake Rootkit Malware Targeting Linux System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크리덴셜을 수집하고 프록시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운영자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기업을 노리는 새로운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사이버 보안 회사인 ESET에서 "FontOnLake"라 명명한 이 악성 프로그램은 "잘 설계된 모듈"이 특징이며, 광범위한 기능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 활발한 개발 단계임을 보여줍니다. VirusTotal에 업데이트된 샘플로 미루어볼 때 이 공격은 최소 2020년 5월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Avast와 Lacework Labs는 동일한 악성코드를 HCRo..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12. 14: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