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스트시큐리티

    • ACE 압축 파일이 첨부된 악성 메일 주의

      2018.05.09 by 알약(Alyac)

    • ‘견적 의뢰’ 제목의 악성 메일 주의

      2018.05.08 by 알약(Alyac)

    • 입사지원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GandCrab 랜섬웨어 주의

      2018.05.04 by 알약(Alyac)

    • 제품 견적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2018.04.25 by 알약(Alyac)

    • 2018년 1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31,042건!

      2018.04.24 by 알약(Alyac)

    • 가상화폐 거래소 설명서 글로 위장한 게시글, 가상화폐 이용자를 위협하다.

      2018.04.23 by 알약(Alyac)

    • Trojan.Agent.Emote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8.04.23 by 알약(Alyac)

    • '메신저 파일 정리', 알약M으로 쉽고 안전하게!

      2018.04.19 by 알약(Alyac)

    ACE 압축 파일이 첨부된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지금은 널리 쓰이지 않는 압축 파일 포맷 중 하나인 'ACE' 파일을 첨부하고, 나름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작성된 해킹 이메일이 국내에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습니다. 2018년 5월 8일 오후 10시 10분경 유포되기 시작한 이 악성 이메일은 다수의 한국 무료 이메일 계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격자는 한국의 특정 기업을 사칭해 수신자로 하여금 보다 신뢰할 수 있도록 가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한국인 명의를 사용함과 동시에 기업의 공식 이메일 계정이 아닌 무료 웹 메일 서비스를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어 기업 내부 보안에 각별한 주의와 보안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ESRC에서는 해당 위협이 한국내 다수의 이용자에게 전파되고 있는 사..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5. 9. 17:49

    ‘견적 의뢰’ 제목의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견적 의뢰’ 제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이 국내에 유포되는 정황이 포착되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국내에 유입된 전신 송금 확인 악성 메일 주의 ▶ 제품 견적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Quote Request” (견적 의뢰) 제목으로 이 제품에 공유할 사진이 있는지 문의하는 내용으로 대용량의 첨부 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악성 메일 메일에 첨부된 파일 image-scan0687.zip에는 ‘image-scan068739624829.exe’ PE 파일이 있습니다. [그림 2] 악성 메일에 첨부된 파일 만일 이용자가 이미지 확인을 위해 무심결에 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5. 8. 16:42

    입사지원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GandCrab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입사지원서 메일로 위장하여 GandCrab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정황이 발견되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악성 메일로 유포되는 GandCrab 2.1 랜섬웨어 주의 ▶ 실존 디자이너 명의를 사칭한 악성 메일로 GandCrab 랜섬웨어 국내 유포 주의 ▶ '저작권 위반 그림 사용 확인 메일'로 위장한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 주의 ▶ 가상화폐 모네로(XMR) 채굴기능의 한국 맞춤형 표적공격 증가 ▶ 국가 기관 및 기업 대상으로 랜섬웨어 다량 유포돼… 관계자 주의 필요 ▶ '저작권 위반 그림 사용 확인 메일'로 위장한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 주의 ▶ 확장자 숨겨 악성파일 열어보게 만드는 메일 유포… 고소장, 방 예약 문의 등으로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5. 4. 10:04

    제품 견적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제품 견적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이 국내에 유포되는 정황이 포착되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국내에 유입된 전신 송금 확인 악성 메일 주의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모델과 시리얼 넘버(S/N) 내용의 제품 견적을 참고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첨부 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제품 견적 내용을 담고 있는 악성 메일 메일에 첨부된 파일 '(기업명) (PJT) 20120152RMH063.HRQ3_455 28E WITH 400 SETS.zip', '(기업명) CATALOGUE.ace'에는 모두 동일하게 '_outputD876E0.exe' PE 파일이 있습니다. [그림 2] 악성 메일에 첨부된 파일 만일 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4. 25. 11:36

    2018년 1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31,042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2018년 1분기에 '알약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기능'을 통해 차단된 랜섬웨어 공격 건수는 총 331,042건이었습니다. 이를 환산하면 최소 월 평균 110,348 건의 랜섬웨어 공격이 감지되었으며, 하루 평균 3,679건의 공격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해당 통계는 알약 공개용 사용자 대상으로만 집계된 행위기반 차단 수치이므로 패턴기반 공격까지 포함하면 실제 랜섬웨어 공격 수는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7년 4분기에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가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전세계적으로 그 가치가 폭등했습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채굴을 노린 CoinMiner(코인마이너) 류의 악성코드의 유포가 증가하면서 랜섬웨어의 유포 건 수가 기존에 비해 소폭 ..

    전문가 기고 2018. 4. 24. 14:38

    가상화폐 거래소 설명서 글로 위장한 게시글, 가상화폐 이용자를 위협하다.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국내 가상화폐 커뮤니티 및 사이트 게시판에서 외국 가상화폐 사용 설명서 글로 위장된 게시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어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공격자는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이트 주소와 함께 해외 코인거래소의 재정거래, 마진거래 등에 대한 설명과이용방법이 소개된 게시물을 작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가상 화폐 거래에 관심 많은 이들을 현혹하려는 것으로 보여집니다.[그림 1] 커뮤니티에 올라온 가상화폐 설명서 게시물 만일 사용자가 호기심에 게시물에 표기된 주소로 접속할 경우, 가상 화폐 거래소 화면과 함께 취약점이 포함된 스크립트가 은밀히 실행됩니다. [그림 2] 가상화페 거래소로 위장한 화면 마치 가상화폐 거래소 화면처럼 교묘하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4. 23. 10:57

    Trojan.Agent.Emote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2014년 독일 및 오스트리아 은행 고객을 대상으로 처음 등장한 EMOTET 악성코드가 최근 다시 등장하고 있습니다. EMOTET 악성코드는 사용자 PC를 감염시키고, C&C 통신을 통해서 시스템 정보와 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등의 악성 행위를 시도합니다. EMOTET 악성코드는 주로 이메일을 통해 유포됩니다. 공격자는 이메일 안에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포함된 문서 파일을 첨부하거나, 악성코드가 다운로드되는 URL링크를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 가질만한 거래 및 청구서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의심을 최소화하고 악성코드에 감염되도록 유도합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EMOTET 악성코드를 상세 분석 하고자 합니다. 악성코드 상세 분석 1. EMOTET 악성코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4. 23. 08:32

    '메신저 파일 정리', 알약M으로 쉽고 안전하게!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나날이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고 고해상도의 미디어 콘텐츠가 여기저기 공유되면서, 스마트폰의 저장공간이 금세 꽉차버린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같은 스마트폰 기기더라도 자체 용량이 큰 제품을 사려면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에 부담이 되기도 하고, 넉넉한 줄 알았지만 오랜 기간 쓰다 보면 어느 샌가 용량이 부족해진 것을 확인하게 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스마트폰 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걸까요? 여러분의 기기 저장공간을 확인해보시면 애플리케이션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용량 순으로 배열했을 때 사용중인 메신저 앱들이 대부분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데요. 이는 사실 메신저 앱 자체의 용량이 크지는 않지만, 매일 주고받는 대..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8. 4. 19. 16: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8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